[include(틀:세리에 B)] ---- ||<-2> [[파일:베네치아 FC 로고.svg|height=250]] || ||<-2><#000> '''{{{#ff5e00 {{{+1 베네치아 FC}}}}}}''' || ||<-2><#ff5e00> '''{{{#000 {{{+1 Venezia FC}}}}}}''' || || '''정식 명칭''' ||Venezia Football Club S.r.l.|| || '''[[축구단 별명|{{{#ff5e00 __별칭__}}}]]''' ||Arancioneroverdi (오렌지-검정-초록)[br]Lagunari(석호인들)[br]Leoni Alati (날개달린 사자들) || || '''창단''' ||[[1907년|{{{#000,#ddd 1907년}}}]] [[12월 14일|{{{#000,#ddd 12월 14일}}}]] '''^^([age(1907-12-14)]주년)^^''' || || '''소속 리그''' ||[[세리에 B]] (Serie B) || || '''연고지''' ||[[베네토]] 주 [[베네치아]] || || '''홈구장''' ||[[스타디오 피에르 루이지 펜초]] (Stadio Pier Luigi Penzo) [br] (11,150명 수용) || || '''구단주''' ||[[파일:미국 국기.svg|width=25]] 던컨 니더라우어 (Duncan Niederauer) || || '''감독''' ||[[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25]] [[파올로 바놀리]] (Paolo Vanoli) || || '''주장''' ||[[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25]] [[마르코 모돌로]] (Marco Modolo) || || '''공식 웹사이트''' ||[[https://www.veneziafc.it|[[파일:베네치아 FC 로고.svg|height=25]]]]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VeneziaFC_IT, 크기=25)] [[https://www.facebook.com/veneziafc|[[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5]]]] [[https://www.instagram.com/veneziafc/|[[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5]]]] [[https://www.youtube.com/@veneziafootballclub|[[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 [[https://www.tiktok.com/@veneziafc.official|[[파일:틱톡 아이콘.svg|width=25]]]] [[https://www.linkedin.com/company/veneziafc|[[파일:LinkedIn 아이콘.svg|width=25]]]] || || '''팬 커뮤니티'''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lists/?id=veneziafc|[[파일:디시인사이드 아이콘.svg|width=25]]]] || ||<-2><#ff5e00> '''{{{#000 우승 기록}}}''' || || '''[[코파 이탈리아|{{{#ff5e00 __코파 이탈리아__ }}}]]'''[br](1회) ||1940-41 || || '''[[세리에 B|{{{#ff5e00 __세리에 B__ }}}]]'''[br](2회) ||1960-61, 1965–66 || [목차] [clearfix] == 개요 == [[이탈리아]] [[베네토]] 주 [[베네치아]]를 연고로 하는 축구팀으로, 현재 [[세리에 B]] 소속으로 활동하고 있다. == 역사 == ||
<:>[[파일:베네치아 FC 엠블럼.svg|width=60%]] || ||<:> 과거 엠블럼 (2015~2022) || 1907년 12월 14일, [[베네치아]]의 캄포 산 바르톨로메오 지역에 있는 두 스포츠 클럽인 팔레스트라 마찌알레, 콘스탄티노 레예르가 합병되며 Venezia football club으로 창단되었다. 그리고 1919년 A.C 베네치아 (Associazione calcio Venezia)로 팀명을 변경했다. 1990년 A.C. venezia 1907로 팀명 변경했는데, 이 당시의 베네치아는 한때 [[알바로 레코바]], [[크리스티안 비에리]]와 같은 선수를 보유하며 대부분의 시즌을 [[세리에 A]]와 [[세리에 B]]에서 보냈으며 1999-2000 시즌에는 [[나카타 히데토시]]에 이어 두 번째로 세리에 A에 진출한 일본 선수인 [[나나미 히로시]]가 활약하기도 했다. 그러던 2002년 [[세리에 B]]로 강등되었는데 이 때가 베네치아 클럽 쇠퇴기의 시작이었다. 당시 클럽의 구단주였던 [[마우리치오 잠파리니]]는 팀의 무능력과 새 구장 신축에 전혀 관심없는 베네치아 의회의 분위기 속에 좌절하여 [[US 치타 디 팔레르모]] 구단을 인수하였다.[* 그리고 주요선수와 감독을 버스로 팔레르모까지 실어갔다...] 하지만 2005년 베네치아는 또다시 [[세리에 B]]로 강등당했으며 파산을 선언하고 만다. 결국 2005년 여름 05/06 시즌을 앞두고 SSC 베네치아로 팀명을 변경, 세리에 C2에 참가했다. 하지만 2008년 세리에 C에서도 파산을 선언, FBC 우니오네 베네치아로 팀명을 변경하고 세리에 D에 참가해야 했다. 그리고 2012년 11/12시즌 세리에 D 우승 후 세리에 C로 승격하였으나 곧 다시 파산했다. 2015년 뉴욕의 변호사이자 전직 뉴욕 증권거래소 CEO인 조 타코피나를 비롯한 미국 투자가들이 베네치아를 인수해. 15/16시즌을 앞두고 [[베네치아 FC]]로 팀명을 변경하고 세리에 D에 참가했다. 그리고 15/16시즌에 세리에 D를 우승해 세리에 C로 승격 하며 [[필리포 인자기]]를 감독으로 선임했다. 16/17시즌에는 세리에 C를 우승하며, 다이렉트로 세리에 B로 승격했다. 그리고 17/18시즌 [[세리에 B]]에서 5위로 승격 플레이오프에 진출했으나 승격에는 실패했다. 만약 승격에 성공했으면 [[파르마 칼초 1913]]과 함께 파산 후 4부리그에서 1부 리그로 연달아 논스톱 승격한 역사상 최초의 클럽이 될뻔했다. 2019년에는 드라마틱한 잔류를 보여주었는데 본래 15위로 마쳐서 강등 플레이오프를 펼쳐서야 했지만 [[US 치타 디 팔레르모]]가 회계 규정 위반을 해서 대신 세리에 C로 강등되었었다. 그러나 이후 승점 20점 감점으로 감면되어서 결국 16위인 [[US 살레르니타나 1919]]와 강등 플레이오프를 했다. 이후 1차전과 2차전 합산 점수가 동일해 연장전과 승부차기까지 가는 혈투끝에 결국 패배해 세리에 C로 강등되는줄 알았는데, 7월 12일 이탈리아 연방평의회에서 팔레르모 징계를 강화해 '''세리에 D'''로 강등시킴에따라, 베네치아는 다시 세리에 B로 재승격되었다. 2020-21 시즌, [[세리에 B]]에서 정규 시즌을 5위로 마치며 승격 플레이오프 진출에 성공하였고 4강전에서 [[US 레체]]를 꺾으며 [[AC 몬차]]를 꺾고 올라온 [[AS 치타델라]]와 승격 플레이오프 결승전을 치러 합계 2-1로 승리를 거두며 19년만에 [[세리에 A]] 복귀를 확정지었다.[* 2차전에서 베네치아가 합계 1-1 상황에서 추가시간에 득점하며 2-1이 됐는데, 득점이 없었어도 정규리그 순위와 승점이 치타델라보다 높아서 규정상 승격이 가능했다.] 하지만 21-22시즌 [[세리에 A]]에서 20위, 즉 꼴찌로 1시즌만에 다시 2부로 복귀하게 되었다. === 2021-22 시즌 === 19년만의 세리에A 첫 경기인 [[SSC 나폴리]] 원정에서 오시멘의 퇴장으로 얻은 수적 우세에도 2-0 패배를 당했다. [[우디네세 칼치오]] 원정에서 3-0 패배를 당했으나 9월 11일 3라운드 [[엠폴리]] 원정에서 오케레케의 환상적인 단독 드리블 후 득점으로 2-1 승리를 거둬 감격의 첫 승을 기록했다. 맨유 출신 골키퍼 [[세르히오 로메로]]가 10월 12일 1년 계약에 동의 하면서 자유계약 신분으로 이적했다. 이후 무리뉴가 이끄는 [[AS 로마]]를 3-2로 승리하는 이변을 일으키고, A매치 휴식기 이후 치러진 [[볼로냐 FC 1909]]와의 경기를 1-0으로 잡으며 리그 2연승을 달렸다. 14R [[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인테르]]전에서 2:0으로 패배했다. 16R [[엘라스 베로나 FC|베로나]]전에서 전반 30분도 채 되지 않아 3:0으로 앞서간 채로 전반이 끝났으나, 15분만에 자책골, PK 등 3골을 먹히다 85분에 시메오네의 골로 3:4으로 더비 매치에서 패배했다. 주전 공격수 [[데이비드 오케레케]]가 부상당하고, 주전 센터백 [[피에트로 체카로니]]는 [[다비데 파라오니]]의 헤더를 손으로 막으며 퇴장을 받아 출전 정지를 먹는 등 여러모로 잃은 게 많은 경기. 17R [[유벤투스 FC|유벤투스]]전에서 전반 32분 코너킥 상황에서 [[알바로 모라타]]의 벼락같은 골로 1:0으로 끌려 갔으나, 후반 10분 [[마티아 아라무]]의 왼발 원더골로 1:1 동점을 만들었고, 무승부를 얻어내었다. 현재까지 후반에만 20실점이었으나 유벤투스의 맹공에도 후반에 실점을 하지 않고 되려 득점을 얻어냈던 것은 고무적이다. 코파 이탈리아 2라운드에서 [[테르나나 칼초]]를 3-1로 잡고 16강으로 올라갔다. 16강 상대는 [[아탈란타 BC]]. 18R [[UC 삼프도리아]]전에서 경기 시작 38초만에 실점을 했으나, 87분에 [[토마 앙리]]의 원더골로 1대1 무승부를 만들어냈다. 하지만 현재까지 5경기째 리그에서 승리가 없다. 19R [[SS 라치오]]전에서 또 3분만에 이른 실점을 했으나, 30분에 포르테의 골로 다시 동점을 만들었다. 하지만 후반 48분 실점하고, 후반 추가시간에 나온 심판의 이해할 수 없는 [[태너 테스만]]에 대한 다이렉트 퇴장과 함께 경기 종료 직전 한 번 더 실점하며 1-3으로 패배했다. 리그 6경기 연속 승리가 없다. 20R [[US 살레르니타나 1919|살레르니타나]]전은 살레르니타나 팀 내의 코로나 이슈로 살레르니타나 측에서 경기 취소를 요청했으나 리그에서 거부하며 베네치아 선수단은 살레르노까지 이동하고 살레르니타나 선수단은 나오지 않는 촌극이 벌어졌다. 이후 공식 자료를 통해 구단 부회장이 이동하는 데에 드는 경제적 손실, 코로나 노출 위험 등을 언급하며 이에 대해 비판했다. 21R [[AC 밀란]]전은 경기 시작하자마자 실점을 하는 최근 베네치아의 문제점이 또다시 터지면서 2분만에 실점, 결국 계속 끌려가면서 3-0으로 패배했다. [[파올로 자네티]] 감독도 경기 후 인터뷰에서 경기 극초반 실점에 대해 언급하며 이를 고쳐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22R [[엠폴리 FC]]전은 [[나니]]가 베네치아에 들어온 이후 첫 경기가 되었다. 26분에 실점했으나 73분에 [[데이비드 오케레케]]가 72분에 들어온 [[나니]]의 어시스트를 받아 골을 성공시켜 1대1 무승부를 기록했다. 23R [[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인테르]]전은 팀에 확진자가 14명이나 생겨난 상황에서 치러졌다. 평소 4백에서 5백으로 전술을 바꾸었고, 공격진까지 전원 수비에 가담하며 거의 텐백과 다름없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초반에 실점을 하지 않았고, 되려 [[토마 앙리]]의 헤더로 먼저 앞서나갔으나 [[에딘 제코]]가 동점골과 90분에 나온 역전골을 둘 다 넣으면서 아쉽게 패배했다. 이후 부진 속에 20위 꼴지로 추락하여 36라운드까지 6승 7무 25패로 20위이다. 그나마, 2경기 여부에 따라 리그 잔류 희망이 있긴 하지만, 17위인 살레르니티나 가 30점이라서 남은 2경기를 다 이기고 다른 팀들이 부진해야 하는 조건이라 그런지 승리하지 못하면 강등 확정이다. 결국 37라운드 [[AS 로마]]와의 경기에서 1대1 무승부를 기록하면서 승격 직후 1시즌만에 강등이 확정되었다. === 2022-23 시즌 === 노르셸란에서 미드필더 [[마그너스 코포드 안데르센]]을 영입해왔으며 이외에도 [[이사 바]], [[프셰미스와프 뷔시니에비스키]], [[프란체스코 잠파노]]를 영입했다. 한편 [[파스칼레 마조치히]]를 [[US 살레르니타나 1919]]로 보냈다. 비시즌 기간에 구단 엠블럼을 변경했다. 그러나 6R 기준 강등된 팀들중 유일하게 강등권에 있다. 반면에 같이 강등된 칼리아리, 제노아는 승격권에서 놀고 있다. 한때 시즌 순위가 리그 최하위까지 떨어졌으나 시즌 후반 반등하며 리그 8위로 리그를 마무리하여 승강 플레이오프에 진출하였다. 첫 상대는 [[칼리아리 칼초]]. 하지만 칼리아리와의 경기를 패배하며 다음 시즌도 2부 리그에서 보내게 되었다. === 2023-24 시즌 === 시즌 첫 경기인 [[스페치아 칼초]]와의 [[코파 이탈리아]] 1R 경기에서 120분간 2:2로 승부를 가르지 못했고, 결국 승부차기 끝에 4:3으로 패배하며 두 시즌 연속으로 코파 1R에서 탈락하게 되었다. 시즌 초 강등권까지 떨어졌던 작년 시즌과는 달리 이번 시즌에는 6R에서 3승 3무로 [[파르마 칼초 1913]]의 뒤를 이어 2위를 달리고 있다. 리그 10R, 파르마 칼초와의 경기에서 3:2로 승리, 리그 3위이다. === 요약 === * 1부/[[세리에 A]]: 1939-1947, 1949-1950, 1961-1963, 1966-1967, 1998-2000, 2001-2002, 2021-2022 (13시즌) == 선수 명단 == [include(틀:베네치아 FC)] == 여담 == * 베네치아 본 섬 안에 베네치아 FC 상품 샵이 있다. 상품 샵의 면적은 작은 편이지만 베네치아의 유니폼, 열쇠고리, 모자 등 여러 상품을 판매하고 있기에 베네치아에 관광하는 관광객들은 한번쯤 방문하면 좋다. 베네치아 본 섬 근처에 있는 [[나이키]] 매장에도 베네치아 FC 관련 상품을 판매하나 베네치아 FC 상품 샵보다 종류도 적고 사이즈도 많지 않다. * 팀의 2021-2022 시즌 1부 리그 승격 기념으로 유니폼을 리뉴얼 했는데 역시 패션의 도시 베네치아다운 디자인으로 일찌감치 품절 사태에 직면했다. (축구 유니폼치고 굉장히 예쁘다.) [[https://shop.veneziafc.it/|#]] 그리고 21년 10월에는 4번째 유니폼도 공개했는데, 이것도 상당히 호평을 받았다.[[http://naver.me/5AmAPzVG|#]] 21-22시즌에 일으킨 유니폼 센세이션 이후 유니폼을 이용한 자금 조달이라는 방법을 구단이 택했는지, 22-23시즌에 공개한 3종의 유니폼 모두 아름다운 디자인으로 출시하자마자 품절되는 등 흥행을 일으키고 있다. * 2023-24 시즌 중반 대한민국의 패션 브랜드인 니벨크랙과의 협업을 발표했다. [[https://www.instagram.com/p/CyM-m-EPb2b/?utm_source=ig_web_copy_link|#]] [[분류:베네치아 F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