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베니스 국제 영화제)] [목차] == 개요 == '''"Leone d'argento - Gran premio della giuria"'''[* 심사위원대상의 정식 명칭이며 Leone d'argento(은사자상)이라는 명칭에서 알수있듯이 2등상이라는 의미에서 심사위원대상도 은사자상을 수여한다.] (Grand Jury Prize) 1951년부터 시작된 [[베니스 국제 영화제]]의 경쟁부문 상으로 우수한 작품에 주어지는 최고상인 [[황금사자상]]에 이은 2등상이다.[* 그러나 세계 영화제가 다 그렇듯, 감독에게 주어지는 상인 [[베니스 국제 영화제/은사자상|은사자상-감독상]]이 사실상 2등상으로 더 받아들여지기도 한다.] [[칸 영화제]]에 [[칸 영화제/그랑프리|그랑프리]] 상이 있는 것과 같다. 2013년에 [[베니스 국제 영화제/심사위원 특별상|심사위원특별상]](Special Jury Prize)이 신설되기 전까진 이 상이 특별심사위원상으로 불리기도 하였다. 상이 제정된 1951년부터 1982년까지는 특별 심사위원상("Special Jury Prize"), 1983년부터 2005년까지는 특별 심사위원대상 ("Special Jury Prize")이라는 명칭을 사용하였다가 2006년부터 2012년까지는 다시 특별 심사위원상("Special Jury Prize")으로 회귀하였고, 2013-2015년에는 심사위원 특별 대상 ("Grand Special Jury Prize")이라는 명칭을 새로 사용했지만, 2016년부터는 간단하게 심사위원대상 ("Grand Jury Prize")이라는 명칭을 공식 명칭으로 사용하고 있다. == 수상작 == ||
{{{#e5d85c '''년도'''}}} || {{{#e5d85c '''수상작'''}}} || {{{#e5d85c '''원제'''}}} || {{{#e5d85c '''감독'''}}} || {{{#e5d85c '''국가'''}}} || ||<-6> {{{#0c0000 '''특별 심사위원상("Special Jury Prize")[br](1951~1982)'''}}} || ||<-6> {{{#e5d85c 1950년대}}} || || 1951년 제15회 || [[욕망이라는 이름의 전차]] || A Streetcar Named Desire || [[엘리아 카잔]]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5]] [[미국]] || ||<|2> 1952년 제16회 || [[왕과 새]] || La Bergère et le Ramoneur || 폴 그리몰트 ||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 [[프랑스]] || || 맨디 || Mandy || 알렉산더 맥켄드릭 || [[파일:영국 국기.svg|width=25]] [[영국]] || || 1953년 제17회 ||<-5> 수상작 없음 || ||<|2> 1954년 제18회 || [[워터프론트]] || On the Waterfront || [[엘리아 카잔]]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5]] [[미국]] || || 이그제큐티브 쉬트[* 작품 속 배우들의 연기 앙상블에 대한 특별상 격으로 수상했다.] || Executive Suite || [[로버트 와이즈]]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5]] [[미국]] || || 1955년 제19회 ||<-5> 수상작 없음 || || 1956년 제20회 ||<-5> 수상작 없음 || || 1957년 제21회 ||<-5> 수상작 없음 || ||<|2> 1958년 제22회 || 연인들 || Les amants || [[루이 말]] ||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 [[프랑스]] || || 도전 || La sfida || 프란체스코 로시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25]] [[이탈리아]], [[파일:스페인 국기.svg|width=25]] [[스페인]] || || 1959년 제23회 || 마술사 || Ansiktet || [[잉마르 베리만]] || [[파일:스웨덴 국기.svg|width=25]] [[스웨덴]] || ||<-6> {{{#e5d85c 1960년대}}} || || 1960년 제24회 || 로코와 그의 형제들 || Rocco e i suoi fratelli || [[루키노 비스콘티]] ||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 [[프랑스]], [[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25]] [[이탈리아]] || || 1961년 제25회 || 피스 투 힘 후 엔터즈 || Мир входящему || 알렉산드르 알로프, 블라디미르 나우모프 || [[파일:소련 국기.svg|width=25]] [[소련]] || || 1962년 제26회 || [[비브르 사 비]] || Vivre sa vie || [[장뤽 고다르]] ||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 [[프랑스]] || ||<|2> 1963년 제27회 || 도깨비불 || Le feu follet || [[루이 말]] ||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 [[프랑스]], [[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25]] [[이탈리아]] || || 삶으로의 입장 || Вступление || 이고르 탈란킨 || [[파일:소련 국기.svg|width=25]] [[소련]] || ||<|2> 1964년 제28회 || 마태복음 || Il vangelo secondo Matteo || [[피에르 파올로 파졸리니]]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25]] [[이탈리아]],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 [[프랑스]] || || 햄릿 || Гамлет || 그리고리 코진체프 || [[파일:소련 국기.svg|width=25]] [[소련]] || ||<|3> 1965년 제29회 || 나는 스무살 || Мне двадцать лет || 마를렌 후치예프 || [[파일:소련 국기.svg|width=25]] [[소련]] || || Modiga mindre män || Modiga mindre män || 레이프 크란츠 || [[파일:스웨덴 국기.svg|width=25]] [[스웨덴]] || || 시몬 오브 더 데저트 || Simón del desierto || [[루이스 부뉴엘]] || [[파일:멕시코 국기.svg|width=25]] [[멕시코]] || ||<|2> 1966년 제30회 || 샤파쿠아 || Chappaqua || 콘래드 룩스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5]] [[미국]] || || 어제와의 고별 || Abschied von gestern || 알렉산더 클루게 || [[파일:독일 국기.svg|width=25]] [[서독]] || ||<|2> 1967년 제31회 || 중국은 가깝다 || La Cina è vicina || [[마르코 벨로키오]]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25]] [[이탈리아]] || || [[중국 여인]] || La Chinoise || [[장뤽 고다르]] ||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 [[프랑스]] || ||<|2> 1968년 제32회 || 아워 레이디 오브 더 턱스 || Nostra Signora dei Turchi || 카르멜로 베네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25]] [[이탈리아]] || || 르 소크라테 || Le Socrate || 로베르 라포우자드 ||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 [[프랑스]], [[파일:독일 국기.svg|width=25]] [[서독]] || || 1969년~1980년 ||<-5> 수상작 없음[* 1970년부터 1980년까지는 비경쟁 영화제이던 시절이라 수상 자체가 없다.] || ||<-6> {{{#e5d85c 1980년대}}} || ||<|2> 1981년 제38회 || 좋은 꿈 || Sogni d'oro || [[난니 모레티]]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25]] [[이탈리아]] || || They Don't Wear Black-tie || Eles não usam black tie || 레온 허츠먼 || [[파일:브라질 국기.svg|width=25]] [[브라질]] || || 1982년 제39회 || 임페러티브 || ''Imperativ'' || 크쥐시토프 자누시 || [[파일:폴란드 국기.svg|width=25]] [[폴란드]],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 [[프랑스]], [[파일:독일 국기.svg|width=25]] [[서독]] || ||<-6> {{{#0c0000 '''특별 심사위원대상 ("Special Jury Prize")[br](1983~2005)'''}}} || || 1983년 제40회 || Biquefarre || ''Biquefarre'' || 조르주 루키에 ||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 [[프랑스]] || || 1984년 제41회 || 달의 총아들 || ''Le favoris de la lune'' || 오타르 이오셀리아니 ||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 [[프랑스]] || || 1985년 제42회 || 가르델의 망명 || ''Tangos, el exilio de Gardel'' || 페르난도 E. 솔라나스 ||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width=25]] [[아르헨티나]],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 [[프랑스]] || ||<|2> 1986년 제43회 || 사랑 이야기 || Storia d'amore || 프란체스코 마셀리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25]] [[이탈리아]] || || 야생 비둘기 || Чужая белая и рябой || 세르게이 솔로비요프 || [[파일:소련 국기.svg|width=25]] [[소련]] || || 1987년 제44회 || 건배! || ''Hip hip hurra!'' || 키엘 그레데 || [[파일:덴마크 국기.svg|width=25]] [[덴마크]], [[파일:노르웨이 국기.svg|width=25]] [[노르웨이]], [[파일:스웨덴 국기.svg|width=25]] [[스웨덴]] || || 1988년 제45회 || Camp de Thiaroye || ''Camp de Thiaroye'' || 우스만 셈벤, 티에르노 파티 소우 || [[파일:알제리 국기.svg|width=25]] [[알제리]], [[파일:튀니지 국기.svg|width=25]] [[튀니지]] || || 1989년 제46회 || 빛이 있었다 || ''Et la lumière fut'' || 오타르 이오셀리아니 ||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 [[프랑스]] || ||<-6> {{{#e5d85c 1990년대}}} || || 1990년 제47회 || [[내 책상 위의 천사]] || ''An Angel at My Table'' || [[제인 캠피온]] || [[파일:뉴질랜드 국기.svg|width=25]] [[뉴질랜드]] || || 1991년 제48회 || 신곡 || ''A Divina Comédia'' || [[마노엘 드 올리베이라]] || [[파일:포르투갈 국기.svg|width=25]] [[포르투갈]],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 [[프랑스]] || || 1992년 제49회 || 나폴리 수학자의 죽음 || ''Morte di un matematico napoletano'' || 마리오 마르토네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25]] [[이탈리아]] || || 1993년 제50회 || 배드 보이 버비 || ''Bad Boy Bubby'' || 롤프 드 히어 || [[파일:호주 국기.svg|width=25]] [[호주]], [[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25]] [[이탈리아]] || || 1994년 제51회 || 내츄럴 본 킬러 || ''Natural Born Killers'' || [[올리버 스톤]]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5]] [[미국]] || ||<|2> 1995년 제52회 || 신의 코미디 || A Comédia de Deus || [[주앙 세자르 몬테이루]] || [[파일:포르투갈 국기.svg|width=25]] [[포르투갈]],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 [[프랑스]], [[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25]] [[이탈리아]], [[파일:덴마크 국기.svg|width=25]] [[덴마크]] || || 스타 메이커 || L'uomo delle Stelle || [[주세페 토르나토레]]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25]] [[이탈리아]] || || 1996년 제53회 || 불한당들 || ''Brigands, chapitre VII'' || 오타르 이오셀리아니 || [[파일:스위스 국기.svg|width=25]] [[스위스]],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 [[프랑스]], [[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25]] [[러시아]], [[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25]] [[이탈리아]] || || 1997년 제54회 || 오보소도 || ''Ovosodo'' || 파올로 비르지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25]] [[이탈리아]] || || 1998년 제55회 || 종착역 || ''Terminus Paradis'' || 루시앙 핀틸리에 || [[파일:루마니아 국기.svg|width=25]] [[루마니아]],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 [[프랑스]] || || 1999년 제56회 || [[바람이 우리를 데려다 주리라]] || ''باد ما را خواهد برد'' || [[압바스 키아로스타미]] || [[파일:이란 국기.svg|width=25]] [[이란]],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 [[프랑스]] || ||<-6> {{{#e5d85c 2000년대}}} || || 2000년 제57회 || 비포 나잇 폴스 || ''Before Night Falls'' || 줄리앙 슈나벨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5]] [[미국]] || || 2001년 제58회 || 개같은 나날 || ''Hundstage'' || 울리히 사이들 ||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width=25]] [[오스트리아]] || || 2002년 제59회 || 하우스 오브 풀스 || ''Дом дураков'' || 안드레이 콘찰롭스키 || [[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25]] [[러시아]] || || 2003년 제60회 || 연 || ''Tayyara men wara'' || 랜다 차할 사바그 || [[파일:레바논 국기.svg|width=25]] [[레바논]],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 [[프랑스]] || || 2004년 제61회 || 씨 인사이드 || ''Mar adentro'' || [[알레한드로 아메나바르]] || [[파일:스페인 국기.svg|width=25]] [[스페인]] || || 2005년 제62회 || 마리아 || ''Mary'' || [[아벨 페라라]]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5]] [[미국]],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 [[프랑스]], [[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25]] [[이탈리아]] || ||<-6> {{{#0c0000 '''특별 심사위원상 ("Special Jury Prize")[br](2006~2012)'''}}} || || 2006년 제63회 || 다라트 || ''Daratt'' || 마하마트 살레 하룬 || [[파일:차드 국기.svg|width=25]] [[차드]], [[파일:벨기에 국기.svg|width=25]] [[벨기에]],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 [[프랑스]], [[파일:독일 국기.svg|width=25]] [[독일]] || ||<|2> 2007년 제64회 || [[아임 낫 데어]] || I'm Not There || [[토드 헤인즈]]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5]] [[미국]] || || 생선 쿠스쿠스 || La graine et le mulet || 압델라시프 케시시 ||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 [[프랑스]] || || 2008년 제65회 || 테자 || ''Teza'' || 하일레 게리마 || [[파일:에티오피아 국기.svg|width=25]] [[에티오피아]],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 [[프랑스]], [[파일:독일 국기.svg|width=25]] [[독일]] || || 2009년 제66회 || 소울 키친 || ''Soul Kitchen'' || 파티 아킨 || [[파일:독일 국기.svg|width=25]] [[독일]] || ||<-6> {{{#e5d85c 2010년대}}} || || 2010년 제67회 || [[이센셜 킬링]] || ''Essential Killing'' || [[예지 스콜리모프스키]] || [[파일:폴란드 국기.svg|width=25]] [[폴란드]], [[파일:헝가리 국기.svg|width=25]] [[헝가리]], [[파일:노르웨이 국기.svg|width=25]] [[노르웨이]], [[파일:아일랜드 국기.svg|width=25]] [[아일랜드]] || || 2011년 제68회 || 테라페르마 || ''Terraferma'' || 에마누엘 크리알리스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25]] [[이탈리아]],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 [[프랑스]] || || 2012년 제69회 || 파라다이스: 신념 || ''Paradies: Glaube'' || 울리히 사이들 ||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width=25]] [[오스트리아]],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 [[프랑스]], [[파일:독일 국기.svg|width=25]] [[독일]] || ||<-6> {{{#0c0000 '''심사위원 특별 대상 ("Grand Special Jury Prize")[br](2013~2015)'''}}} || || 2013년 제70회 || [[떠돌이 개]] || ''郊遊'' || [[차이밍량]] || [[파일:대만 국기.svg|width=25]] [[대만]],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 [[프랑스]] || || 2014년 제71회 || [[침묵의 시선]] || ''Senyap'' || [[조슈아 오펜하이머]] || [[파일:덴마크 국기.svg|width=25]] [[덴마크]], [[파일:핀란드 국기.svg|width=25]] [[핀란드]],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width=25]] [[인도네시아]], [[파일:노르웨이 국기.svg|width=25]] [[노르웨이]], [[파일:영국 국기.svg|width=25]] [[영국]] || || 2015년 제72회 || [[아노말리사]] || ''Anomalisa'' || [[찰리 카우프만]]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5]] [[미국]] || ||<-6> {{{#0c0000 '''심사위원대상 ("Grand Jury Prize")[br](2016~)'''}}} || || 2016년 [[제73회 베니스 국제 영화제|제73회]] || [[녹터널 애니멀스]] || ''Nocturnal Animals'' || [[톰 포드]]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5]] [[미국]] || || 2017년 [[제74회 베니스 국제 영화제|제74회]] || 폭스트롯 || ''פוֹקְסטְרוֹט'' || 사무엘 마오즈 || [[파일:이스라엘 국기.svg|width=25]] [[이스라엘]],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 [[프랑스]], [[파일:스위스 국기.svg|width=25]] [[스위스]], [[파일:독일 국기.svg|width=25]] [[독일]] || || 2018년 [[제75회 베니스 국제 영화제|제75회]] || [[더 페이버릿: 여왕의 여자]] || ''The Favourite'' || [[요르고스 란티모스]] || [[파일:영국 국기.svg|width=25]] [[영국]], [[파일:미국 국기.svg|width=25]] [[미국]], [[파일:아일랜드 국기.svg|width=25]] [[아일랜드]] || || 2019년 [[제76회 베니스 국제 영화제|제76회]] || [[장교와 스파이]] || J'accuse || [[로만 폴란스키]] ||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 [[프랑스]], [[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25]] [[이탈리아]] || ||<-6> {{{#e5d85c 2020년대}}} || || 2020년 [[제77회 베니스 국제 영화제|제77회]] || [[뉴 오더(영화)|뉴 오더]] || ''Nuevo Orden'' || 미셸 프랑코 || [[파일:멕시코 국기.svg|width=25]] [[멕시코]],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 [[프랑스]] || || 2021년 [[제78회 베니스 국제 영화제|제78회]] || [[신의 손(2021)|신의 손]] || ''È stata la mano di Dio'' || [[파올로 소렌티노]]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25]] [[이탈리아]] || || 2022년 [[제79회 베니스 국제 영화제|제79회]] || 생토메르 || ''Saint Omer'' || 알리스 디옵 ||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 [[프랑스]] || || 2023년 [[제80회 베니스 국제 영화제|제80회]] || [[악은 존재하지 않는다]] || 悪は存在しない || [[하마구치 류스케]]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5]] [[일본]] || == 2회 이상 수상자 == '''3회 수상''' * [[파일:조지아 국기.svg|width=28]] '''오타르 이오셀리아니''' – 《달의 총아들》 (1984), 《빛이 있었다》 (1989), 《불한당들》 (1996) '''2회 수상'''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8]] '''[[엘리아 카잔]]''' – 《[[욕망이라는 이름의 전차]]》 (1951), 《[[워터프론트]]》 (1954) *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8]] '''[[장뤽 고다르]]''' – 《[[비브르 사 비]]》 (1962), 《[[중국 여인]]》 (1967) *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8]] '''[[루이 말]]''' – 《연인들》 (1958), 《도깨비불》 (1963) *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width=28]] '''울리히 사히들''' – 《개같은 나날》 (2001), 《파라다이스: 신념》 (2012) == 기타 == [[분류:베니스 국제 영화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