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D439B 0%, #1A2842 20%, #1A2842 80%, #1D439B)" {{{#ffffff '''베르나르 라콩브의 감독직 및 기타 직책'''}}}}}}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4> {{{#333333,#cccccc '''둘러보기 틀 모음'''}}} || ||<-4> {{{#333333,#cccccc '''대표팀'''}}} || || || || || || ||<-4> {{{#333333,#cccccc '''클럽'''}}} || || [[틀:올랭피크 리옹 감독|[[파일:올랭피크 리옹 엠블럼.svg|height=50]]]][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14387F; font-size: 0.9em" [[틀:올랭피크 리옹 감독|{{{#CF9C5B '''리옹'''}}}]]}}}[br]{{{-2 19대}}} || || || ||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D439B 0%, #1A2842 20%, #1A2842 80%, #1D439B)" {{{#ffffff '''베르나르 라콩브의 수상 이력'''}}}}}}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fff [[UEFA 유러피언 챔피언십|{{{#fff UEFA 유러피언 챔피언십}}}]] 우승 멤버}}}''' || || '''[[UEFA 유로 1984|{{{#06c 1984}}}]]''' || }}}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rgba(50%, 50%, 50%, 30%) 0%, transparent)" {{{+1 {{{#000000,#e5e5e5 ''' 프랑스의 축구인 '''}}}}}}}}} || ||<-3>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Bernard lacombe.jpg|width=100%]]}}} || ||<-2> {{{#000000,#e5e5e5 ''' 이름 ''' }}} || {{{+1 '''베르나르 라콩브'''}}}[br]'''Bernard Lacombe''' || ||<-2> {{{#000000,#e5e5e5 ''' 출생 ''' }}} ||[[1952년]] [[8월 15일]] ([age(1952-08-15)]세) / [br] {{{-2 [[프랑스 제4공화국|프랑스]] [[오베르뉴론알프|오베르뉴론지방]] [[리옹]]}}} || ||<-2> {{{#000000,#e5e5e5 ''' 국적 ''' }}} ||[include(틀:국기, 국명=프랑스)] || ||<-2> {{{#000000,#e5e5e5 ''' 신체 ''' }}} ||[[키(신체)|키]] 171cm || ||<-2> {{{#000000,#e5e5e5 ''' 직업 ''' }}} ||[[축구선수]] ([[중앙 공격수|스트라이커]] / ^^은퇴^^)[br][[축구 감독]][br][[축구행정가]] || ||<|3> {{{#000000,#e5e5e5 ''' 소속 ''' }}} || {{{#000000,#e5e5e5 ''' 선수 ''' }}} ||CS 퐁테네스 (1960~1969 / ^^유스^^)[br]'''[[올랭피크 리옹]] (1969~1978)'''[br][[AS 생테티엔]] (1978~1979)[br]'''[[FC 지롱댕 드 보르도]] (1979~1987)''' || || {{{#000000,#e5e5e5 ''' 감독 ''' }}} ||[[올랭피크 리옹]] (1996~2000) || || {{{#000000,#e5e5e5 ''' 행정 ''' }}} ||[[올랭피크 리옹]] (1988~1996 / ^^디렉터^^)[br][[올랭피크 리옹]] (2000~2019 / ^^이사^^) || ||<-2> {{{#000000,#e5e5e5 ''' 국가대표 ''' }}} ||[[프랑스 축구 국가대표팀|[[파일:프랑스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원정).svg|width=20]]]] 38경기 12골 ^^([[프랑스 축구 국가대표팀|프랑스]] / 1973~1984)^^ || [목차] [clearfix] == 개요 == >나는 [[카림 벤제마|벤제마]]를 (프랑스) 역대 최고의 스트라이커로 보지 않는다. 벤제마는 그 세대에서 최고의 스트라이커이다. 창의적인 스타일이다. [[레알 마드리드 CF|레알 마드리드]]에서 오랜 기간 주전으로 뛴다는 게 그의 능력을 보여준다. 하지만 나에게 있어서 가장 위대한 스트라이커는 라콩브이다. >---- >[[장피에르 파팽]] (2021년 프랑스의 축구매체 르퀴프에 실린 프랑스 역대 최고의 스트라이커는 누구인가? 라는 주제에 대한 장피에르 파팽의 의견과 평가.) 프랑스의 축구인이다. [[리그 1]] 역대 최다 득점 2위에 빛나는 프랑스와 리그앙의 레전드이다.[* 255골. 최다 득점자인 델리오 오니스(299골)는 아르헨티나인이기 때문에 프랑스 선수들 가운데에서는 최다 득점자이다. [[https://www.ligue1.com/Articles/NEWS/2020/03/24/top-guns|#]]] == 선수 경력 == === 클럽 경력 === 1969년 [[올랭피크 리옹]]에서 데뷔한 라콩브는 1987년까지 18년 동안 올랭피크 리옹, [[AS 생테티엔]], [[FC 지롱댕 드 보르도]]에서 활약하며 총 592경기에 출전하여 304골을 넣었고,[* 리옹(258경기 149골) + 생테티엔(37경기 18골) + 보르도(297경기 137골)] 리그 우승 3회, [[쿠프 드 프랑스]] 우승 2회, [[트로페 데 샹피옹]] 우승 2회를 이끌었다. 특히 1971-72 시즌부터 1984-85 시즌까지 부상으로 시즌 절반 이상 결장한 1975-76 시즌 단 1시즌을 제외한 나머지 13시즌 동안 매시즌 리그 두 자릿수 득점을 기록하며 장기간 꾸준히 최고 수준의 퍼포먼스를 선보였다.[* 1971-72 시즌(19골), 1972-73 시즌(23골), 1973-74 시즌(13골), 1974-75 시즌(17골), 1976-77 시즌(21골), 1977-78 시즌(24골), 1978-79 시즌(14골), 1979-80 시즌(11골), 1980-81 시즌(18골), 1981-82 시즌(17골), 1982-83 시즌(20골), 1983-84 시즌(18골), 1984-85 시즌(22골)] === [[프랑스 축구 국가대표팀|국가대표]] 경력 === 1972-73 시즌 리그 득점 순위 2위에 오르는 활약으로 [[슈테판 코바치]] 감독의 부름을 받아 성인 대표팀에 발탁되었고, 1973년 9월 8일 [[그리스 축구 국가대표팀|그리스]]와의 친선전에서 [[A매치]] 데뷔전을 치렀다. 1974년 4월 27일 [[체코 축구 국가대표팀|체코]]와의 친선전에서 멀티골을 터뜨리며 A매치 데뷔골을 기록했다. [[1978 FIFA 월드컵 아르헨티나]]에 참가하여 조별리그 첫 경기인 [[이탈리아 축구 국가대표팀|이탈리아]]전에서 킥오프 후 1분도 지나기전에 디디에 식스의 크로스를 헤더로 마무리하며 선제골을 기록했으나 이 경기에서 프랑스는 이탈리아에게 1:2 역전패를 허용하며 활약이 빛을 바랬다. 또한 이후에 치러진 개최국 [[아르헨티나 축구 국가대표팀|아르헨티나]]전에서 편파판정으로 1:2 석패하면서 조별리그에서 탈락하는 고배를 마셨다. [[1982 FIFA 월드컵 스페인]]에서는 3-4위전까지 7경기 중 3경기에 출전하여 1도움을 기록하며 프랑스가 대회 4위를 차지하는 데 일조했다. [[UEFA 유로 1984]]에서는 결승전까지 5경기 중 조별리그 마지막 경기인 [[유고슬라비아 축구 국가대표팀|유고슬라비아]]전을 제외한 전경기 모두 출전하여 [[덴마크 축구 국가대표팀|덴마크]]전에서 1도움을 기록했고 주전으로 프랑스의 첫 메이저 대회 우승을 도왔다. 대회 종료 후 명예롭게 은퇴했다. == 감독 경력 == 성적 부진으로 경질된 기 스테판 감독의 후임으로 친정팀 [[올랭피크 리옹]]의 지휘봉을 잡게 되었다. 4시즌 동안 팀의 리그 순위를 3위까지 끌어올렸고, [[UEFA 인터토토컵]] 우승, [[UEFA컵]] 8강을 달성했다. 통산 전적은 167전 92승 27무 48패(승률 55%)이다. == 대회 기록 == === 선수 === * [[올랭피크 리옹]] (1969~1978) * [[쿠프 드 프랑스]]: 1972-73 * [[트로페 데 샹피옹]]: 1973 * [[FC 지롱댕 드 보르도]] (1979~1987) * [[리그 1|프랑스 디비시옹 1]]: 1983-84, 1984-85, 1986-87 * 쿠프 드 프랑스: 1985-86, 1986-87 * 트로페 데 샹피옹: 1987 * [[프랑스 축구 국가대표팀]] (1973~1984) * [[UEFA 유러피언 챔피언십]]: 1984 === 감독 === * [[올랭피크 리옹]] (1996~2000) * [[UEFA 인터토토컵]]: 1997 == 여담 == * 리그앙 역사상 두 번째로 많은 득점을 기록한 선수이지만 의외로 리그 득점왕 타이틀은 없다.[* 두 번의 기회가 있었으나 1972-73 시즌과 1984-85 시즌 각각 [[요시프 스코블라르]]와 [[바히드 할릴호지치]]에 밀려 2위에 머물렀다. 재미있는 사실은 이 둘 모두 [[유고슬라비아]] 선수라는 것.] 이는 5대 리그 역대 최다 득점 3위 안에 드는 선수들 가운데 [[웨인 루니]]와 더불어 유이하다. [각주] [[분류:1952년 출생]][[분류:1969년 데뷔]][[분류:1987년 은퇴]][[분류:리옹 출신 인물]][[분류:프랑스의 축구선수]][[분류:프랑스의 축구감독]][[분류:축구행정가]][[분류:축구경영인]][[분류:공격수]][[분류:올랭피크 리옹/은퇴, 이적]][[분류:AS 생테티엔/은퇴, 이적]][[분류:FC 지롱댕 드 보르도/은퇴, 이적]][[분류:올랭피크 리옹/역대 감독]][[분류:프랑스의 FIFA 월드컵 참가 선수]][[분류:1978 FIFA 월드컵 아르헨티나 참가 선수]][[분류:1982 FIFA 월드컵 스페인 참가 선수]][[분류:프랑스의 UEFA 유러피언 챔피언십 참가 선수]][[분류:UEFA 유로 1984 참가 선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