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SBS Sports)] [include(틀:KBO 하이라이트)] [[파일:SBS 베이스볼S.png]] ||<#d01c10> '''{{{#white 진행}}}''' ||평일(화~목) : [[김세연(아나운서)|김세연]] [BR] 주말(금~일) : [[진달래(아나운서)|진달래]] || ||<#d01c10> '''{{{#white 출연}}}''' ||해설: [[이순철]], [[김동수(야구)|김동수]] [[이종열]], [[이동현(1983)|이동현]][br]기자: 유병민(SBS), 김하진(스포츠경향) || [목차] [clearfix] == 개요 == [[SBS Sports]]에서 2011년 4월 4일부터 방송하는 [[KBO 리그|프로야구]] 하이라이트 프로그램이다. [[http://programs.sbs.co.kr/sports/baseballs|홈페이지]] 사실 처음부터 베이스볼 S라는 이름은 아니었다. 2010년에는 베이스볼 터치라는 이름으로 방송했는데, 그냥 망한것도 아니고 '''아주 처참하게 망하면서''' 흑역사가 되어버렸다. 그도 그럴 것이 경쟁 프로그램이었던 [[아이 러브 베이스볼]]은 [[이지윤(1982)|이지윤]], [[김석류]]에 새로 합류해 단기간에 야구 아나운서 1인자로 등극한 [[최희]]까지 쟁쟁한 아나운서들이 활약했고, 베이스볼 투나잇 또한 최희 김석류만큼의 인기는 아니지만 [[송지선]], [[김민아(아나운서)|김민아]]의 원투펀치가 맹활약중이었는데, 이 베이스볼 터치는 유독 '''남자 아나운서가 진행을'''했었다. 그래서 당연히 인기가 없었고, 2011년부터는 배지현 아나운서가 진행을 맡게 되면서 본격적으로 인지도를 쌓기 시작했다. 하지만 당시 독보적 인기를 노리던 최희에 2선발로 윤태진을 내세우며 시청률 1위를 달린 KBS, 김민아-김선신 원투펀치로 KBS의 주 경쟁자로 활약한 MBC, KBS에서는 최희에 밀려 주말 진행을 맡았지만 진행력과 입담으로 호평 받았던 공서영을 영입해 떡상한 XTM 등에 밀려 여전히 고전을 면치 못했다. 결국 특단의 조치로 배지현이 압박에 의한 사퇴를 하고, MBC의 1선발 김민아가 영입되었다. 2014년부터 2022년 6월16일까지 [[김민아(아나운서)|김민아]] 아나운서가 메인 진행을 맡았다. 김민아는 말년에는 후배들의 앞길을 막는다는 비판을 받기도 했지만, 안정적인 진행으로 오랜 기간 호평을 받았다. 이 덕에 2015년에 베이스볼 S는 역대 최고 시청률을 기록했었다. 2015년부터는 평일 진행은 김민아 아나운서가 스튜디오 진행을 맡고 주말에는 2014년과 달리 김세희 아나운서가 단독으로 진행하였다. 참고로 평일판의 스튜디오는 야구장 [[더그아웃]] 컨셉으로 꾸몄다. 2016년엔 기존 더그아웃 컨셉의 스튜디오를 확장하여 스텐딩 진행을 위한 세트를 설치해 두 세트를 오가며 진행한다. 참고로 본 방송은 저작권 문제로 SBS 홈페이지에서 온에어로 볼 수 없지만[* 이는 KBO 리그 중계(재방 포함) 역시 SBS 홈페이지에서 볼 수 없다.] 대신 다시보기는 2018년까지는 타 방송사와 달리 유일하게 공식 홈페이지에서 무료로 다시볼 수 있었다가 2019년부터는 저작권 문제로 다시보기 서비스가 제공되지 않았으며, 따라서 각 방송사 별 KBO 리그 하이라이트 프로그램의 다시보기는 공식 홈페이지에서 보는 것은 아예 불가능해졌다.[* 과거 베이스볼 투나잇도 2010년부터 2014년까지는 다시보기가 가능했지만 2015년부터는 다시보기가 불가능해졌으며, 알럽베나 오늘의 야구, 스포츠 타임 베이스볼은 원래부터 다시보기를 제공하지 않았다.][* 유튜브에 간간히 올라오는 영상들이 있다.] 다만 2020 시즌부터는 [[U+프로야구]]를 통해 [[https://base.uplus.co.kr/specialVod/D0018|다시보기]]를 제공하고 있다. 2020 시즌부터는 자사 경기가 우천 취소되었을 때에는 결방하거나, 스튜디오 진행 없이 경기 하이라이트만 방송하는 방식으로 바뀌고, 더블 헤더가 있는 날에는 하루에 두 번 방송한다. 최희, 이향 원투펀치의 은퇴로 알럽베의 인기가 추락한 상황에서 차세대 야구여신으로 떠오른 김세연이 주목을 받았다. 그럼에도 연차 순으로 인해 김민아가 평일을 통으로 맡아 비판을 받기도 하였다. 2022 시즌 도중에는 8년 동안 함께한 최장수 MC 김민아 아나운서가 스포츠계를 은퇴하며 출연 중인 모든 방송에서 물러나게 되면서, 진달래가 최장수 MC 자리를 넘겨받았다. 김세연을 보유하고 있음에도 김민아가 평일을 맡아 MBC, KBS에 시청률이 많이 밀려 있었는데 내년에는 상승할 것으로 예상된다. 2023 시즌을 앞두고 김세연이 평일로, 진달래가 주말로 이동하였다. 현역 아나운서 중 가장 인기가 높은 김세연이다보니 더 적은 연차에도 평일을 배정받은 듯하다. == 역대 진행자 == * 베이스볼 터치(2010) - 진행: [[윤성호(아나운서)|윤성호]], 박상준 * 시즌1(2011) - 월요일 진행: [[김환(방송인)|김환]], [[이윤아(아나운서)|이윤아]], 화-금 진행: [[배지현]] * 시즌2(2012) - 월요일 진행: 김환, 이윤아, 화-금 진행: 배지현, 주말 진행: [[신아영]][* 7월 1일부터 해당시즌 동안, 6월 30일까지는 배지현이 주말 진행도 했다.] * 시즌3(2013) - 평일 진행: [[배지현]], 주말 진행: [[조윤경]]→[[박윤희(방송인)|박윤희]] * 시즌4(2014) - 평일 진행: [[김민아(아나운서)|김민아]], 주말 진행: [[황보미(방송인)|황보미]][* 당시 SBS Sports 소속. 2014년 4월 5일부터 주말판 진행을 맡았다. [[왕관을 쓰려는 자, 그 무게를 견뎌라 - 상속자들|상속자들]]에서 강한나 역으로 연기한 그 황보미 맞다. 시즌 종료 후 퇴사.]/홍재경/김세희 * 시즌5(2015) - 평일 진행: 김민아, 주말 진행: [[김세희]] * 시즌5(2015) 프리미어 12 특집 - 김민아, 김세희, [[진달래(아나운서)|진달래]], [[오지은(1991)|오지은]] * 시즌6(2016) - 평일 진행: [[김민아(아나운서)|김민아]], 주말 진행: [[김세희]], [[진달래(아나운서)|진달래]] * 시즌7-12(2017-2022.06.) - 평일 진행: [[김민아(아나운서)|김민아]], 주말 격주 진행: [[김세연(아나운서)|김세연]], [[진달래(아나운서)|진달래]] * 시즌12(2022.06.~) - 평일 진행: [[진달래(아나운서)|진달래]][* 2022년 6월 21일부터 진행. 기존 평일 진행자 김민아는 6월 16일 방송을 끝으로 은퇴를 선언하며 모든 방송에서 내려와 체육계를 떠났다.], 주말 진행: [[김세연(아나운서)|김세연]] * 시즌13(2023) - 평일 진행: [[김세연(아나운서)|김세연]], 주말 진행: [[진달래(아나운서)|진달래]] == 여담 == * KBO리그 주말 하이라이트 프로그램들 중에 인기팀과 비인기팀 차별이 가장 심한 프로그램이다. 비인기팀이 이기면 그 팀의 하이라이트를 가장 뒤에 편성하는건 기본에 수훈선수 인터뷰도 하지 않은 적이 허다하다. 하지만 만약 인기팀[* KIA,롯데,삼성,한화가 포함되며 엘지 두산은 보통은 비인기팀 대우를 받으나 정말 가끔~~10000번 중 한 번~~ 인기팀 대우를 받는다.]이 이기면 하이라이트를 두 번 틀어주는거는 기본에 수훈선수도 두 명을 선정하고 인터뷰를 하며[* 보통 KIA나 롯데가 이기면 무조건 하이라이트 두 번에 수훈선수도 두 명이다.반면 삼성,한화,LG는 상황에 따라 갈린다. 그 팀들의 성적이 좋은 경우에는 하이라이트 두 번에 수훈선수를 두 명을 선정하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하이라이트 한 번에 수훈선수 한 명이다. 그 외에 SSG, 키움, 두산이 이기면 초반에 하이라이트 한 번에 수훈선수 한 명으로 고정이며 NC 와 KT같은 경우는 왠만하면 초반에 하이라이트를 보여주나 기아 롯데 한화 삼성 LG경기에 밀린 적도 허다하고 해설도 대부분은 해주지 않는다. 또한 수훈선수를 인터뷰 하지 않은 적도 많다.] [[베이스볼 투나잇|베투]]마냥 시리즈 하이라이트를 보여주기도 한다,대표적으로 KIA vs 삼성,KIA vs 롯데,[[엘꼴라시코|LG vs 롯데]]~~???~~시리즈가 있었다.[* 사실 [[베이스볼 투나잇]]은 2022년 들어 인기팀과 비인기팀 차별이 많이 줄어들긴 했다.] == 관련 문서 == * [[야구 관련 기담]] [[분류:SBS Sports]][[분류:KBO 리그/방송]][[분류:2011년 방송 프로그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