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수학]] 및 [[물리학]]에 등장하는 개념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벡터)] Vector. 아래 뜻은 모두 여기서 기원되었다. === 물리학에서의 벡터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벡터(유클리드 기하학))] 좁은 의미로는 '방향'을 가진 수를 뜻하기도 한다. === 대중매체에서의 등장 === [[지구용사 벡터맨]]의 벡터는 위의 뜻이다. 해당 문서 참조. [[어떤 마술의 금서목록]]의 [[액셀러레이터(어떤 마술의 금서목록)|액셀러레이터]]는 '자기 몸에 닿는 벡터(방향)를 자유자재로 조종할 수 있다'는 설정이다. 이 때문에 간혹 [[과학]] 갤러리 등에 액셀러레이터의 능력에 대해 과학적 해석 같은 걸 질문하는 경우가 있는데, 소설은 소설일 뿐이다. 그리고, "벡터(방향)"이라는 말은 마치 '벡터 = 방향' 인 것 같은 착각을 불러일으키는데 그렇지 않다. 위에 있듯이 벡터는 크기와 방향을 '모두' 가진 양이라고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서 벡터의 '크기'는 스칼라이므로, 스칼라들은 그대로 둔 채 벡터만 조종한다면 방향만 바꿀 수밖에 없다고 반론을 제기할 수도 있겠다. 그렇다면 다음을 생각해 보자. '자기 몸에 닿은 어떤 물리량 1'과 '자기 몸에 닿지 않은 어떤 물리량 2'가 있고 두 양이 벡터량일 때, 엑셀러레이터는 물리량 1을 변화시키고 물리량 2는 그대로 둘 것이다. 그리고 여기서 엑셀러레이터의 조종은 '스칼라인 것'은 유지시킨다고 하자. 그러면 물리량 1과 물리량 2 사이의 각도의 코사인값도 대표적인 스칼라이다.[* 각각의 크기도 스칼라, 두 벡터의 내적도 스칼라. 따라서 그 비율인 코사인값도 스칼라.] 그러면 물리량 1과 물리량 2의 각은 유지시켜야 하는가? 만약 그렇다고 하자. 그러면 물리량 1의 크기도 스칼라이므로 물리량 1의 크기도 유지시켰을 것이다. 이런 식이라면, 물리량 1 자체가 변하지 않았다는 결론이 나온다. 따라서 '자유자재로 조종한다'와 '스칼라는 그대로 둔다' 모두를 기존의 수학을 준수하면서 고수하기는 어렵다. 기존의 수학으로 어떻게 이유를 대려고 하지 않는 것이 좋을 듯하다.[* 애초에 엑셀러레이터의 능력은 연산능력이고 벡터변환은 그 응용일 뿐이다. 그리고 엄밀히 말하면 엑셀러레이터가 자신이 조종하는 것을 '''벡터'''라고 인식하기 때문에 벡터변환이라고 하는 것, 그러므로 엑셀러레이터의 벡터변환은 힘 자체를 조종하는 것이라고 생각하는것이 이해하기 편하다. 자세한 것은 [[엑셀러레이터(어떤 마술의 금서목록)]] 문서 참조.] == [[벡터 그래픽스]]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벡터 그래픽스)] == 생물학 == 생물학이나 기생충학, 감염학, 전염병학에서 말하는 벡터는 특정 질병을 유발하는 병원체를 운반하는 생물을 뜻한다. 영어로 철자도 1, 2번과 똑같이 vector. 벡터 역할을 하는 생물은 곤충류를 비롯한 절지동물이 많다. 예를 들어 [[말라리아]]의 병원체인 [[학질원충|플라스모듐 비박스]]는 척추동물의 [[적혈구]] 속에 기생하는 [[SAR 상군|SAR군 생물]]의 일종인데, 다른 동물로 퍼져나가기 위해 곤충인 모기를 벡터로 이용한다. 악명 높은 [[흑사병]]의 병원체인 예르시니아 페스티스라는 간균(세균의 일종)은 쥐에서 쥐로 퍼져나가기 위해 벼룩을 이용한다. 그 외에도 유행성 출혈열, 뎅기열 등 골치아픈 질병들이 벡터에 의해 퍼져나간다. 이게 워낙 미세한 세계의 일이다보니 병원체와 벡터 사이의 관계에 대해서는 아직도 연구가 충분하지 않다. 예를 들어 말라리아같은 놈은 모기를 자가용으로 사용할 뿐더러 생식의 장소로도 사용하는 등 철저하게 모기를 부려먹고 있는 것으로 보이는 반면, 기생말벌(디노캄푸스 콕시넬래)이 옮기는 바이러스는 다른 곤충(무당벌레)을 반쯤 마비시키기 때문에 말벌이 무당벌레의 몸 아래에 알을 낳을 수 있게 해준다. 즉 말벌은 이 바이러스의 벡터지만, 바이러스도 말벌의 알을 포식자로부터 지키는 데 도움을 준다. 이렇게 병원체와 벡터가 공생관계를 갖는 경우도 자연계에 많이 존재할지도 모르는 일이다. 참고로 벡터는 반드시 생물이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뭔가를 운반해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면 다 생물학적 벡터라 부를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유전형질을 [[플라스미드]]에 형질주입해 세포 안으로 집어넣음으로써 해당 형질이 세포에 발현되도록 하는 경우, 플라스미드가 벡터에 해당한다. 이와 같이 생명공학에선 세포 내로 DNA를 운반하는게 기초적인 과정이라, 주로 DNA 운반체를 벡터라 부르는데, 대표적인 벡터로 플라스미드와 바이러스([[아데노바이러스]], [[렌티바이러스]])가 있다. 코로나바이러스 19 백신 중 아스트라제네카와 얀센이 이 바이러스 벡터를 응용한 백신이다. 오해하기 쉽지만 벡터는 전염병에만 해당되는 것이 아니며, 한 생물이 다른 생물의 이동, 전파, 생식에 기여할 경우 대개 벡터라 부를 수 있다. 예를 들어 [[다람쥐]]는 각종 씨앗이나 버섯을 즐겨 먹는데, 이를 저장한다고 자기 굴 등으로 가져갔다가 먹지 않고 남길 경우 그곳에서 해당 식물이 자라난다. 때문에 다람쥐는 식물계의 중요한 벡터이다. == 기업 이름 == === [[벡터(기업)|항공우주기업 벡터]]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벡터(기업))] === [[미국]]의 [[슈퍼카]] 메이커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벡터(자동차 제조사))] == [[STL]]의 표준 컨테이너인 std::vector == 선언문은 다음과 같다. ||template > class vector|| 템플릿 기반이므로 당연히 같은 타입의 변수들을 여러 개 넣는 자동 동적 할당 배열 역할을 할 수 있다. 주의할 점은 STL 컨테이너들은 거의다 복사에 의한 대입이다. 문자열 포인터 따위를 넣어서 std::vector 안의 모든 문자열 값이 똑같아지는 미친 실수 따위는 하지 말자. == 남아프리카의 총기 회사 == 남아프리카 총기 회사인 Denel 사의 소형 총기 브랜드 이름이다. 철자가 Vector가 아니고 '''Vektor'''다. 제작한 총기들 * [[https://en.m.wikipedia.org/wiki/Vektor_CP1| 벡터 CP1]] * [[https://en.m.wikipedia.org/wiki/Vektor_SP1| 벡터 SP1]] * [[베레타 92|벡터 Z88]] * [[갈릴|벡터 R4, R5, R6]] * [[CR-21]] * [[칼라시니코프 기관총|벡터 SS-77]] == KRISS사에서 개발한 [[기관단총]]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KRISS Vector)] === 해당 총기를 모티브로 한 [[소녀전선]]의 전술인형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Vector(소녀전선))] == 인명 == * [[벡터 더 크로커다일]] - [[소닉 더 헤지혹 시리즈]] * [[빅터 '벡터' 퍼킨스|벡터]] - [[슈퍼배드]] * [[벡터(스타 글라디에이터)|벡터]] - [[스타 글라디에이터]] * [[벡터(유희왕)|벡터]] - [[유희왕 ZEXAL]] * [[벡터(총몽)|벡터]] - [[총몽]] * 벡터 겐쟈 - [[파이브 스타 스토리]] * [[벡터 레이드]], [[벡터 이글]] - [[강철전기 C21]]과 [[코즈믹 브레이크]] * [[벡터(히어로 킬러)|벡터]] - [[히어로 킬러(웹툰)|히어로 킬러]] == 모바일 게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Vector(게임))] == [[워머신&호드]]의 [[진영]] [[사이리스 집합]]이 운용하는 전투용 로봇 == 다른 진영들[* [[시그나(워머신)|시그나]], [[메노스 보호령]], [[카도르 제국]], [[크릭스]], [[사이라의 징벌]], 대다수의 [[용병(워머신)|용병]]들.] 의 [[스팀잭|워잭]][* 사이라의 징벌의 경우에는 [[미르미돈#s-4]].]과 유사하나 [[코르텍스]][* 워잭의 두뇌에 해당하는 장치.]가 아닌 [[인터페이스 노드]]를 사용하고 다리가 더 많다는 차이점이 있다. == [[스래쉬 메탈]] 밴드 == [youtube(WFaIcjemHvA)] [[Earache]]소속의 뉴스쿨 계열의 테크니컬 [[스래쉬 메탈]]밴드이다. Voivod의 영향이 짙게 느껴진다. 곡 내적인 완성도나 테크닉, 실험성 모든 면에서 우수한편. [[2016년]] 나온 앨범인 Terminal Redux가 주목받고 있다.--메탈킹덤 10위권 중 가장 최신앨범-- * Black Future (2009년) * Outer Isolation (2011년) * Terminal Redux (2016년) == [[위키위키]]에 적용하는 스킨 vector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위키/스킨, 문단=1.2.2)] == Arcaea의 수록곡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VECTOЯ)] == 펌프 잇 업 2023 Phoenix의 수록곡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펌프 잇 업 2023 PHOENIX)] [[분류:동음이의어]][[분류:미생물학]][[분류:컴퓨터 그래픽]][[분류:워머신]][[분류:스래시 메탈 밴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