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ABBA]][[분류:스웨덴 남가수]][[분류:1946년 출생]][[분류:1964년 데뷔]][[분류:스톡홀름 출신 인물]] [include(틀:ABBA)] ||<-2>
{{{#white {{{+2 '''벤뉘 안데르손'''}}}[br]{{{+1 '''Benny Andersson'''}}}}}} || ||<-2>{{{#!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bandersson.jpg|width=100%]]}}}||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white 본명}}}''' ||예란 브로르 벤뉘 안데르손[br],,Göran Bror Benny Andersson,, || || '''{{{#white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스웨덴)] || ||<|2> '''{{{#white 출생}}}''' ||[[1946년]] [[12월 16일]] ([age(1946-12-16)]세) || ||[[스웨덴]] [[스톡홀름]] || || '''{{{#white 직업}}}''' ||[[음악가]], [[작곡가]] || || '''{{{#white 담당}}}''' ||[[보컬]]·[[피아노]]·[[키보드]]·[[작곡]] || || '''{{{#white 소속}}}''' ||ABBA ,,(1972 ~),, || || '''{{{#white 신체}}}''' ||177cm || || '''{{{#white 배우자}}}''' ||안니프리드 륑스타 ,,([[1978년]]-[[1981년]]; [[이혼]]),, [br] 모나 뢰르클릿 ,,(1981년 결혼),, || || '''{{{#white 자녀}}}''' ||슬하 3명 || || '''{{{#white 장르}}}''' ||포크 록, 유로 팝, 디스코, 슐라거 || || '''{{{#white 재산}}}''' ||2억 3,000만 달러 (한화 2,606억 원)[[https://www.celebritynetworth.com/richest-celebrities/rock-stars/benny-andersson-net-worth/|#]] || || '''{{{#white 사용 악기}}}''' ||[[키보드]], [[보컬]], [[기타]], [[아코디언]] || || '''{{{#white 활동 기간}}}''' ||[[1964년|1964 –]] [[현재]] ||}}}}}} || [목차] [clearfix] == 개요 == [[스웨덴]]의 작곡가이자 키보디스트. [[ABBA]]의 멤버로 유명하다. == 상세 == 벤뉘 안데르손은 1960년대 스웨덴의 가장 인기있던 팝 그룹인 헵 스타즈에서 키보드를 연주하며 커리어를 시작했다. 이후 ABBA를 결성하고 그의 음악은 전세계적인 히트를 친다. 또한 ABBA의 모든 노래의 작곡을 담당했으며 사실상 음악적 리더이기도 했다. ABBA 이후 안데르손은 울바에우스와 함께 작곡을 계속했다. 그들의 첫 번째 프로젝트는 [[팀 라이스]]와 함께 작업한 뮤지컬 [[체스(뮤지컬)|체스]]였다. 일레인 페이지, 바바라 딕슨, 머레이 헤드, 스웨덴인 토미 쾨르버그와 비외른 스키프스의 보컬이 들어간 체스 컨셉 앨범은 1984년 10월에 발매되어 전세계적으로 200만 장이 팔리며, 나름 성공을 거뒀다. 페이지/딕슨 듀엣곡 'I Know Him So Well'이 영국 차트 1위에 올랐고, 머레이 헤드의 'One Night in Bangkok'은 빌보드 차트 3위를 기록한다. 체스는 1986년 5월 런던의 [[웨스트엔드]] 프린스 에드워드 극장에서 무대에 올라 약 3년 동안 공연되는 등 긍정적인 평을 받았으나 [[브로드웨이]]에서는 부정적인 평을 받아 2개월 동안 공연하고 막을 내리며 사실상 실패했다. 안데르손의 다음 뮤지컬 프로젝트는 [[맘마 미아(뮤지컬)|맘마 미아]]다. 이 뮤지컬은 ABBA의 곡 중 24곡을 중심으로 제작된 뮤지컬이다. 영국에서는 1999년 4월 웨스트엔드 초연,미국에서는 2001년 브로드웨이에서 초연된다. 맘마 미아!는 그야말로 전세계에서 초대박을 친다. 2021년 기준 역사상 가장 흥행한 뮤지컬 3위를 기록하고 있다.[[https://en.wikipedia.org/wiki/List_of_highest-grossing_musicals|#]] 2002년 벤뉘 안데르손은 "세계에서 높은 수준의 음악을 만들어 낼 수 있는 능력"으로 스웨덴 정부로부터 명예 [[교수]]직을 받았다.[[http://news.bbc.co.uk/2/hi/entertainment/2087930.stm|#]] 또 그의 음악적 능력을 높게 평가해 2007년 그는 스웨덴 왕립 음악원의 회원으로 선출되었고, 2008년에는 '스웨덴 민속 음악 전통의 보존과 성장에 중요한 기여를 한 공로'로 [[스톡홀름 대학교]] 명예 [[박사]] 학위를 받았다.[[https://www.su.se/english/news/benny-andersson-at-stockholm-university-1.925?cache=title%3DTipsa|#]] 2012년에는 룰레오 공과 대학교에서 명예 박사 학위를 받았다. 루레오 공과대학의 음악과 오디오 공학에 대한 그의 헌신 때문에 박사 학위가 수여됐다.[[https://www.ltu.se/org/kkl/Nyheter-och-aktuellt/Benny-Andersson-ar-hedersdoktor-vid-LTU-1.99056?l=en|#]] ||<-2>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Bn-u3RN_Ipg)]}}} || 안데르손은 현재 벤뉘 안데르손의 오르케스터(Benny Andersson's Orkster, BAO)라는 [[포크 음악]] 밴드 활동을 하고 있기도 하다. 스웨덴의 음악 동료 헬렌 쇠홀름, 토미 쾨르베르크와 함께 연주하고 있으며, 때로는 안데르손이 작곡한 새로운 소재의 음악을 연주한다. BAO는 스웨덴에서 5개의 앨범을 발매하여 큰 성공을 거두었는데, 스웨덴 차트에서 앨범을 낼 때마다 히트 싱글을 내기도 했다. ||<-2>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rC4hgWQHH-8)]}}} || ||<-2> {{{#fff ''' Thank You for The Music ''' }}} || 2018년에는 클래식 음반사인 [[도이체 그라모폰]]에서 안데르손이 솔로 피아노로 연주한 ABBA의 노래, 체스의 노래의 원곡 모음집 'Piano'를 발매하기도 했다. 평은 나쁘지 않은 편이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ABBA, version=8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