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00000><:>{{{#fff '''{{{+1 벨기에령 톈진 조계}}}[br]Belgian Concession of Tianjin'''}}} || ||<-2><:> [[파일:벨기에 국기.svg|width=130%]] ||<:> [[파일:벨기에 국장.svg|width=90%]] || ||<-2><#fae042><:> {{{#000 '''국기''' }}}||<#ed2939><:>{{{#000 '''휘장''' }}}|| |||||| [[파일:톈진 조계.jpg|width=260]][* 노란색이 벨기에의 구역.] || ||<-3><#fae042><:> {{{#000 '''1902년 ~ 1931년'''}}} || ||<-2> {{{#000 '''성립 이전''' }}} || {{{#000 '''멸망 이후''' }}} || ||<-2> [[청나라|'''{{{#00386a 청나라}}}''']] || '''[[중화민국 국민정부|{{{#fff 중화민국 국민정부}}}]]''' || ||<#fae042><:> {{{#000 '''위치''' }}} ||<-2>[[톈진시]]|| ||<#fae042> {{{#000 '''수도''' }}} ||<-2>[[톈진]]|| ||<#fae042> {{{#000 '''정치체제''' }}} ||<-2>[[벨기에 제국]]의 [[조차지]]|| ||<#fae042> {{{#000 '''국가원수''' }}} ||<-2>벨기에 국왕|| ||<#fae042> {{{#000 '''정부수반''' }}} ||<-2>총독|| ||<#fae042> {{{#000 '''언어''' }}} ||<-2>[[프랑스어]],[[네덜란드어]], [[중국어]]|| [목차] [clearfix] [[프랑스어]]: Concession belge de Tianjin [[네덜란드어]]: Belgische concessie in Tianjin == 상세 == [[벨기에]]의 [[톈진 조계]]는 톈진 조계들 중 가장 마지막으로 생긴 조계인데 [[벨기에]]는 비록 [[의화단 운동]] 진압에 참여한 8개국 연합에는 통상적으로 포함되지 않으나 평화 회담에 참여하였고 [[1902년]] 톈진의 일부를 조계로 얻게 된다. 하지만 벨기에의 자본가들 및 회사들은 톈진에 투자를 꺼렸고 결국 [[1929년]] 반환조약 서명, [[1931년]] 벨기에 의회의 반환 승인으로 사라지게 된다. 그렇지만 이 짧은 기간동안 벨기에는 톈진 시 및 톈진 조계 지역들 전체의 전차, 전력 및 수도 공급에 투자하여 50년간의 [[독점]]을 공인받게 된다. 하지만 [[1943년]] 일본은 지역의 벨기에 투자회사들을 장악, 톈진 지역의 벨기에 사무원들과 가족들은 일본군에 의해 끌려갔고 종전 후 벨기에가 중국으로부터 피해보상을 받으려 하였으나 [[국공내전]]에서 국민당에 패퇴하고 [[중화인민공화국]]이 수립되면서 무산되었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톈진 조계, version=10)] [[분류:벨기에의 식민지]][[분류:중국의 조차지]][[분류:톈진 조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