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스타판의 흐름)] ||<-2> [[파일:external/s29.postimg.org/201406092044774307_53959e9bf358a.jpg]] || || '''이름''' || 변길섭(卞吉燮) || || '''생년월일''' || [[1984년]] [[1월 10일]] ([age(1984-01-10)]세) || || '''국적'''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 '''출생지''' || [[서울특별시]] || || '''가족''' || 2남 2녀 중 막내 || || '''종족''' || [[테란]] || || '''아이디''' || '''Sync''', '''Blaze''' || || '''소속''' || '''[[한빛 스타즈]] (2001~2003)''' [br] '''[[kt 롤스터]] (2003~2008)''' || || '''종교''' || [[개신교]] || [목차] [clearfix] == 개요 == [[파일:uzoo20060420.jpg]] [[대한민국]]의 前 [[스타크래프트]] [[프로게이머]], 前 [[스타크래프트 2]] [[프로게이머]]. 별명은 '''[[불꽃]] 테란'''. 한때 초반 3배럭으로 [[해병(스타크래프트 시리즈)|마린]], [[의무관|메딕]], [[화염방사병(스타크래프트 시리즈)|파이어뱃]]으로 [[지하 군체|성큰 콜로니]] 방어를 무력화시키면서 상대 저그 플레이어로부터 GG를 받아내는 모습이 인상이 깊었기 때문에 그러한 별명이 붙여졌다. 사실 위에 적은 대 저그전 테란의 초반 바이오닉 러쉬 전략의 이름부터가 [[불꽃테란]]이라고 명명될 정도로 그의 성큰 콜로니를 뚫는 전술은 일품. 최고 기록은 '''성큰 11개 돌파.'''[* 마침 2004년부터 국내에 정식 발행되기 시작했던 만화 [[강철의 연금술사]]가 흥행하며 작중 불꽃의 연금술사로 불리던 [[로이 머스탱]]과 합성된 짤도 돌아다닌 바 있다.] 해설자들이 '저건 무리예요!' 라고 외치는 해설을 무안하게 만드는 무시무시한 공격력을 보여준다.[* 실제로 이건 힘들다며 절대 안될 것처럼 말했던 [[김태형(1973)|김태형]] 해설위원도 스스로 "아, 제가 다 무안하네요." 라고 할 정도의 상황이었다.] 사실 타 프로게이머가 12개를 뚫은 적이 있긴 하지만, 그 12개는 몇 개가 지어지는 중이었다는 점에서 높게 평가받지 못한다. 반면 변길섭의 11개는 모든 성큰이 이미 완성된 상태였기 때문에 더욱 변길섭의 기록이 빛나는 것이다. [youtube(wA52JU1DNuQ)] '빨간 나라를 보았니'라는 치어풀 예언이 적중한 변은종과의 경기. 이처럼 그의 대 저그전 전략은 불꽃테란에 특화되어 있는데, 초반 올인성이 강한 탓에 큰 피해를 주지 못한 채 막히면 대부분은 저그에게 역관광당하는 경기가 되곤 한다. 물론 성공할 경우는 희대의 명경기로 자리매김하며, 62.3%라는 공식전 승률에서 알 수 있듯이 성공이 많았다. 드랍쉽 사용이 유용한 맵에서는 여기저기 멀티를 늘리는 저그에 맞추어 다수의 마린, 메딕과 동시 다발적 드랍쉽 활용으로 한 번에 3곳 이상 난전을 걸면서 상대를 흔들어 승리를 쟁취하는 스타일도 보인 바 있다. 바이오닉 장인이라는 이미지가 있어서 저그전에 비해 프로토스전이 약하다는 이미지를 연상시키기 쉽겠지만 실제 토스전 기록을 보면 약하다고 보기 힘들며, 프로토스 강자와의 상대전적을 뒤져봐도 의외로 준수한 편이다. 오히려 준수하다고 알려진[* 이는 [[임요환]], [[최연성]]과의 상대전적이 팽팽한 것도 한몫했다. 특히 최연성의 경우 처음에는 꽤 밀리다가 나중 가서 따라붙은 것. 이 때문에 IBM 팀리그 결승전에 선착한 KTF는 최연성을 선봉 지목하고 변길섭으로 저격할 생각이었으나 최연성이 오히려 선봉 3킬을 찍으며 이 작전은 대실패로 끝났고, 팀도 준우승에 그쳤다. --[[정수영 감독님예 지 다시 한빛으로 갈랍니더|이 때문에 박정석은 이적한 것을 후회했다 카더라]]--] 테테전 승률이 생각 외로 낮은 편. 특히 [[서지훈]]과 [[이윤열]], [[이병민]]에게 매우 약세를 보였다.[* 아이러니한건 [[서지훈]]도 변길섭과 마찬가지로 [[이윤열]]에게는 비공식전 포함 4:11로 크게 약했고, [[이병민]]에게도 비공식전 포함 4:7로 크게 약한 편이었다.] 그런데, 저그전으로 유명해진 선수답지 않게 본인은 저그전이야말로 약점이라고 말했다. 저그전을 잘 못해서 죽어라 바이오닉으로 성큰 뚫는 연습만 했다고. [[땡히드라]]만 죽도록 갈고 닦아서 토스전 승률 60%를 넘긴 [[심소명]]과 비슷한 느낌이다. == 연혁 == 2000년부터 활동한 초창기 [[프로게이머]]. 2002년 [[한빛 스타즈]](現 [[웅진 스타즈]])에 입단했고, 2002년 [[2002 NATE배 온게임넷 스타리그|NATE배 스타리그]]에서 우승하며 [[온게임넷 스타리그]] 왕좌를 거머쥐었다. 아는 사람은 별로 없지만 변길섭은 [[임요환]], [[이윤열]] 등과 함께 양대리그 체제가 성립되기 이전에 온갖 대회에서 수많은 올드게이머들과 대결한 고대 테란의 한축이었다. 양대리그가 아닌 수많은 대회에서 당대 최고의 선수들과 대결하였으며 당대최고의 선수였던 임요환 등을 제압한 적도 많았다.[* 자신보다 일찍 등장한 임요환이나 오히려 자신보다 늦게 등장한 이윤열, 서지훈, 최연성 등이 2009년을 넘어서까지 활동했지만 자신은 2007년을 끝으로 선수생활을 정리했음에도 불구하고 역대 테란 다승 10위에 랭크될 정도로 예전에는 날리던 선수였다.] 올드게이머들과 그 이후에 등장한 선수들과의 전적도 준수한 편이다. 줄곧 [[한빛 스타즈]] 소속으로 활약하다가, 2003년 12월 같은 [[한빛 스타즈]] 소속의 [[박정석]]과 함께 [[KTF 매직엔스]]로 이적하게 된다. 하지만 크게 주목할 만한 성적은 내지 못했고[* 이 당시 개설된지 갓 1년이 됐던 스갤에서는 '촛불테란'-'향불테란'이라 부르면서 깠다.], 프로리그 맵에 러시아워가 있던 시절엔 나름 쏠쏠하게 전담선수로 출전해서 좋은 성적을 거뒀다. 그 이후엔 하락세를 타며 2008년 1월, 현역 게이머에서 은퇴. 이후 코치 전향을 위한 수업을 받은 뒤 플레잉 코치로 보직이 변경되었다. 변길섭이 코치를 그만둔 이후 [[KTF 매직엔스]]의 테란은 굴욕을 달리게 된다. [[이영호]]가 첫 우승을 차지할 때 결정적인 역할을 한 게 변길섭의 코칭인 걸 생각해보면...[* 이영호가 개인방송에서 밝히기 전에는 알려진 것과 달리 [[박카스 스타리그 2008]] 결승에서 이영호가 당초에는 5경기 모두 업테란 빌드를 준비했는데, 결승 장소인 [[광주광역시]]에서 마지막으로 [[우정호]]와 연습했을 때 무참하게 패하면서 생각을 바꿨다고 한다. 당시 코치였던 변길섭이 “영호야 너 준우승하겠다!”라고 대놓고 말할 정도로 많이 졌다고... 결승에서 나온 전략은 모두 광주에서 변길섭과 함께 급하게 만든 전략들이라고 한다. 그리고 이영호는 우승하였고 덧붙여 꼼딩이라는 별명이 붙어버렸다.] 이후 [[강도경]]이 다시 부르려고 했더니 [[군대]]간다고 마다했다고 한다. 그러다가 갑자기 2010년이 되어 [[스타크래프트 2]] 대회인 [[GSL]] 오픈시즌2 예선을 뚫고 64강에 합류했다. === 우승 === 2002년 네이트배 스타리그 우승은 정말 영광스러운 순간이었으나, 하필이면 한국의 역사에 영원히 남을 4강 진출 신화까지 이뤄낸 대축제였던 '''[[2002 월드컵]]'''과 시기가 겹쳐 관심을 받지 못한 비운의 우승자. 게다가 온게임넷 결승전 재방송 시에도 그의 경기는 항상 빠져 있다. 당시 스타크래프트 자체는 한국에서 인기가 있었지만 프로게이머들의 입지는 거의 없다시피한 수준이라서 결승전 자체가 국민적인 주목을 받지 못했다. '''정말 웬만한 사람들은 변길섭이 우승자 출신 게이머라는 사실을 잘 모른다.''' [[성학승]]과 비슷한 케이스.[* 성학승이야 사실 우승한 대회가 비공식화 되어버려서 묻힌 게 컸지만 변길섭은 엄연히 온게임넷 스타리그 우승자인데 묻혔다.] 오죽하면 그의 이름을 [[네이버]]에서 검색하면 우승했다는 경력이 나오지 않았다. 그 때문에 스타리그 테란 2대 우승자로 [[이윤열]]을 꼽는 경우가 많았다. 하지만 이후 변길섭을 검색하면 우승 경력이 나오게 되었다. [[베켄바흐의 역설|최근 들어서는 존재감 없는 우승자로 자주 언급이 되면서 오히려 존재감이 생겨버린 아이러니한 케이스가 되었다.]] 흥행 망한 걸로 유명해져서 오히려 아직까지 기억하는 사람이 많은 [[Arena MSL 2008]]의 [[박지수(프로게이머)|박지수]] 같은 케이스.[* 다만 박지수는 오히려 망치는 스케일이 무시무시해서 매우 각인을 받은 케이스다. 대회 진행 내용도 어려운 상대는 다 탈락시키고 마지막에는 '''[[이영호]]'''와 '''[[이제동]]'''을 격파시키는 등 역대급 언더독의 반란을 보여줬다. 변길섭의 경우에는 이러한 임팩트조차 적었다.] [[김윤환(1989)|김윤환]]과 마찬가지로 존재감 없는 우승자 중 한 명으로 꼽힌다. 그랬는데 [[정전록]] 덕분에 스폰서인 [[네이트#s-1]]와 함께 조금씩 언급이 되었다. 어찌보면 정전록의 숨은 수혜자라 할 수 있겠다. 그러나 김윤환은 [[아발론 MSL 2009]] 이후 세 번이나 [[양대리그]] 4강에 진출하고, 프로리그에서도 맹활약을 펼치고, 스타일도 굉장히 전략적인 플레이스타일을 보여주면서 존재감 없는 우승자에서 벗어났다. 하지만 변길섭은 온게임넷 스타리그의 우승자이며 고대테란의 한 축이었음에도 불구하고 [[명예의 전당]]에도 헌액되지 못하는 등, 아오안의 극치라 그저 눈물이 나올 뿐...이라고 하기에는 변길섭의 커리어가 [[양대리그]]에서의 성적이 저 우승 1회 이외의 성적들이 8강 4회가 전부이기에 매우 초라한 것은 사실이다.[* 일단 변길섭보다 [[양대리그]]에서 상대적으로 더 높은 성적을 기록한 우승 1회, 4강 2회의 [[한동욱]], [[신동원]], 우승 1회, 4강 1회의 [[박성균]], [[김준영]], 심지어 명예의 전당 헌액 기준에 근접한 우승 1회, 4강 3회의 [[김윤환(1989)|김윤환]]도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 그나마 한동욱은 프로리그 우승 1회 경력이 있다.], [[위너스 리그]], [[팀리그]] 우승, 결승진출, 정규시즌 MVP, 다승왕[* 그나마 김준영은 프로리그 다승왕 1회 경력이 있다.], [[WCG]] 금메달을 수상한 적이 없어서 들어가지 못했는데, [[박지수(프로게이머)|박지수]], [[김정우(프로게이머)|김정우]], 그리고 스타리그의 전신인 [[99 PKO]]의 우승자인 [[최진우]]와 함께 우승 1회에 프로리그[* 그나마 박지수는 프로리그 우승 2회 경력이 있다.], 위너스 리그[* 그나마 김정우는 위너스 리그 우승 1회 경력이 있다.], 팀리그 우승 0회에 프로리그 및 팀리그 다승왕, 프로리그 정규시즌 MVP 0회, 결승전 MVP 0회, [[WCG]] 금메달을 수상하지 못한 변길섭은 들어가기에 더욱 어렵다. --[[마재윤|두]] [[박찬수|사람]]이 빠진 것 같지만 [[스타크래프트 승부조작 사건|얘네들은 그냥 무시하자]]--] == 주요 경력 == [include(틀:역대 OSL 우승자)] === [[스타크래프트: 브루드 워]] 경력 === * 2001년 [[2001 코카콜라배 온게임넷 스타리그]] 8강 * 2002년 [[2002 KPGA 투어 1차 리그]] 8강 (vs. [[홍진호]] 0:2) * 2002년 [[리복배 KPGA 투어 2차 리그]] 패자 8강 진출전 (vs. [[장진수]] 0:2) * 2002년 '''[[2002 NATE배 온게임넷 스타리그]] 우승''' (vs. [[강도경]] 3:1) ( 우승 상금 : '''2,000만원''' ) * 2002년 [[2차 GhemTV 스타리그]] 8조 4강 (vs. [[김환중]] 0:2) * 2002년 [[iTV 랭킹전]] 4차리그 준우승 (vs. [[이윤열]] 0:3) * 2002년 [[2002 SKY배 온게임넷 스타리그]] 8강 * 2002년 [[펩시 트위스트배 KPGA 투어 3차 리그]] 16강 * 2002년 [[스타우트&배스킨라빈스배 KPGA 투어 4차 리그]] 16강 * 2003년 [[2002 Panasonic배 온게임넷 스타리그]] 16강 * 2003년 KTF-Bigi 프리미어 리그 * 2003년 [[Stout MSL]] 패자 8강 2차전 (vs. 이윤열 0:1) * 2003년 핫브레이크배 온게임넷 마스터즈 3위 (vs. [[임요환]] 3:1) * 2003년 [[광주방송|KBC]] 파워게임쇼 우승 (vs. [[임요환]] 2:1) * 2004년 KT Megapass Nespot [[프리미어 리그#s-2.1.2]] 준우승 (vs. [[임요환]] 0:2)(통합 3위) * 2004년 2003 3rd 챌린지 2위 (vs. [[서지훈(프로게이머)|서지훈]] 1:3) * 2004년 WCG 2004 국가 대표 선발전 16강 (vs. [[심소명]] 1:2) * 2004년 [[EVER 스타리그 2004]] 8강 (vs. [[임요환]] 0:2) * 2004년 KT-KTF 프리미어 리그 진출 * 2005년 [[당신은 골프왕 MSL]] 패자조 1라운드 (vs. [[김동진(프로게이머)|김동진]] 1:2) * 2005년 [[IOPS 스타리그 04~05]] 16강 * 2005년 WCG 2005 한국 대표 선발전 예선 (vs. [[윤종민]] 0:2) * 2006년 [[신한은행 스타리그 2006 시즌 1]] 24강 * 2006년 WCG 2006 한국 대표 추천 선수 선발전 (vs. [[김동건(e스포츠)|김동건]] 0:2) ==== 전적 ==== ||<-4> '''{{{#ffffff 변길섭의 스타1 양대 개인리그 A매치 통산 전적}}}''' || || 방송사 || {{{#white 온게임넷 A매치 총 전적}}} || {{{#white MBC게임 A매치 총 전적}}} || '''양대 개인리그 합산 전적''' || || vs 테란 || 34전 18승 16패 (52.9%) || 19전 8승 11패 (42,1%) || 53전 26승 27패 (49.1%) || || vs 저그 || 44전 22승 22패 (50.0%) || 22전 12승 10패 (54.5%) || 66전 34승 32패 (51.5%) || || vs 프로토스 || 24전 12승 12패 (50.0%) || 15전 5승 10패 (33.3%) || 39전 17승 22패 (43.6%) || || 총 전적 || 102전 52승 50패 (51.0%) || 56전 25승 31패 (44.6%) || 158전 77승 81패 (48.7%) || === [[스타크래프트 2]] 경력 === * 2010년 [[Sony Ericsson GSL 오픈 시즌 2]] 64강 == 주요 선수와의 전적 == === [[테저전]] === vs. [[강도경]] 7:2 vs. [[홍진호]] '''[[2]]:8''' vs. [[성준모(범죄자)|성XX]] 9:3 vs. [[주진철]] 3:2 vs. [[나경보]] 7:4 vs. [[국기봉]] 2:0 vs. [[장진남]] 8:5 vs. [[장진수]] 6:4 vs. 김신덕 2:0 vs. [[조형근]] 0:2 vs. [[심소명]] 1:3 vs. [[신정민]] 2:3 vs. [[변은종]] 2:1 vs. [[성학승]] 14:4 vs. [[이주영(프로게이머)|이주영]] 5:1 vs. [[박상익]] 2:0 vs. [[이창훈(프로게이머)|이창훈]] 2:0 vs. [[김준영]] 1:1 vs. [[안석열]] 2:3 vs. [[김근백]] 2:1 vs. [[이재항]] 4:2 vs. [[조용호(프로게이머)|조용호]] 7:4 vs. [[박경락]] 6:6 vs. [[박성준(1986)|박성준]] 2:1 vs. [[박태민]] '''1:7''' vs. [[한상봉]] 3:3 vs. [[최가람|죄가람]] 3:3 vs. [[마재윤|마모씨]] 0:3 저그전은 꽤나 우수한 편이다. 총전적은 170승 103패 62.3%[* 2003년까지의 저그전 승률이 70%에 달했다.]. 대부분의 저그들에게 상대전적에서 앞서지만 [[박태민]][* 에버2004 재경기에서는 유일한 1승으로 박태민을 탈락시키고 8강에 진출했다.], [[홍진호]], [[마재윤]]에게는 매우 취약하다. 대신 조용호, [[강도경]]에게는 강했다. === [[테테전]] === vs. [[최인규(1981)|최인규]] 6:3 vs. [[임요환]] 9:10 [* [[임요환]]은 변길섭의 테란 라이벌이라 할 만하다. 5판3선승제는 1번뿐이었지만 변길섭이 승리하였으나 여러번 대결한 3판 2선승제는 임요환이 거의 승리하였다.] vs. [[이윤열]] 2:14 vs. [[김정민(게임 해설가)|김정민]] 2:2 vs. [[베르트랑 그로스펠리에]] 0:5 vs. [[한웅렬]] 3:4 vs. [[최우범]] 1:1 vs. [[김현진(e스포츠)|김현진]] 5;4 vs. [[최연성]] 6:6 vs. [[서지훈(프로게이머)|서지훈]] 7:10 vs. [[차재욱]] 3:3 vs. [[변형태]] 2:0 vs. [[이병민]] 1:5 vs. [[한동욱]] 1:0 vs. [[전상욱(프로게이머)|전상욱]] 1:0 저그전에 비해서 테란전 전적 자체는 저조한 편이다. 전체 승률도 74승 89패(45.4%)로 저조하다. 그러나 최상위 테란들과 치고받는 등의 활약을 했다. [[임요환]]과는 라이벌이라 해도 손색이 없는 관계를 가지고 있다. 상대전적도 1승밖에 차이가 안 나며 여러 대회의 상위라운드에서 대결했다. 전적 자체는 저조하지만 누구에게도 이길 만한 실력을 가지고 있었지만 그 실력이 발휘되는 경우는 꽤나 드물었다. 승률이 45%인데 듣고 나면 겨우 45%냐는 말이 나올 만큼 테테전을 못한다는 느낌이 안 든다. 다만 [[이윤열]], [[이병민]], [[서지훈]]에게는 너무 취약했다는게 흠.[* 과거 한빛 시절 같은 팀 동료 테란 플레이어였던 [[나도현]]도 공식전 전체 테란전 승률이 20승 28패(41.7%)로 저조했지만 그래도 [[이윤열]]에게는 비공식전 포함 [[이윤열]]과는 비공식전 포함 4:5, [[서지훈]]과도 비공식전 포함 4:5로 호각이었고, [[이병민]]과는 비공식전 포함 2:2로 동률이었다.] === [[테프전]] === vs. [[김동수(프로게이머)|김동수]] 1:1 vs. [[임성춘]] 5:0 vs. [[기욤 패트리]] 1:0 vs. [[박정석]] 5:2 vs. [[전태규]] 3:3 vs. [[이재훈(1981)|이재훈]] 4:4 vs. [[박정길(프로게이머)|박정길]] 6:4 vs. [[안기효]] 3:3 vs. [[김성제(프로게이머)|김성제]] 3:5 vs. [[김환중]] 1:3 vs. [[강민]] 1:3 vs. [[박용욱]] 3:5 vs. [[윤용태]] 3:0 vs. [[김구현]] 2:0 vs. [[박세정]] 2:1 변길섭의 프로토스전은 상당히 준수하다. 총전적 67승 53패(55.8%). 강력한 바이오닉 운영으로 유명하면서도 토스전 또한 준수한 보기드문 케이스.[* 사실 올드에 속하는 테란들은 오히려 공격적인 스타일이 토스전에 능한 경우가 많았다. 당장 임요환도 초창기에는 토스전에 굉장히 강했다. 그러나 최연성 등장 이후 테프전이 판짜기와 물량 위주로 흘러가고 토스들이 여기에 맞춰 진화하면서 이런 선수들의 토막화가 심해졌다.] 2003년 이전의 올드 토스들과는 매우 대등하며 오히려 전적에서 앞서는 경우가 많다. 박정석을 상대로 더블스코어, 임성춘을 상대로 전승이기에 이 2명의 천적이였다. 옛날에 테란 킬러라고 유명했던 이재훈과 대등한 전적을 가지고 있다. 이후에도 토스전은 테란치고 잘하는 편이었다. 자신의 선수 생활이 거의 끝난 시점에서 등장한 [[박세정]], [[윤용태]], [[김구현]]을 도합 7:1로 앞서고 있다. == 기타 == [[프로게이머]]가 되고난 이후 [[임요환]]의 코카콜라배 우승을 보고, 언젠가 저 자리에 서기 위해 노력해서 마침내 우승을 하게 되었다는 후문이 있다. 게임 내내 무표정인 탓에 이모티콘 "-_-"으로 변길섭을 지칭하기도 한다. [[서지훈(프로게이머)|서지훈]], [[한웅렬]]과 함께하는 3대 포커페이스 선수. 강민이 말하길 실제로도 과묵한 성격이라 어느 정도 친해지기 이전에는 말을 잘 섞지 않는 타입이라고 한다. 과거 [[삼연벙]]을 당하고 홧김에 소주를 까서 원샷하고 뻗어버린 [[홍진호]]를 업고 온게 변길섭이었다. 예전에 [[박정석]]과 노래 "말하자면"을 부른 [[흑역사]]가 있다. [[이제동]]이 [[곰TV MSL 시즌4]] 4강에서 [[박성균]]을 꺾기 전까지는 [[온게임넷 스타리그|스타리그]] 우승자로서 [[MSL]] 우승자를 이긴 유일한 선수였다. KPGA 3차리그 엑스트라 매치에서 KPGA 2차리그 우승자인 [[이윤열]]을 상대로 승리를 거두었다. [[디시인사이드]] [[스타크래프트 갤러리]]에서는 '''길자'''라는 애칭으로 부른다. ([[김성제(프로게이머)|성제양]]과 같은 맥락) 또한 [[스타크래프트 갤러리]]에서 [[https://www.youtube.com/watch?v=MMAGgGvsR6A|그의 스폐셜 동영상]]을 만들었지만, 까가 만들었는지 빠가 만들었는지 알 수 없는 작품. 공통적인 의견은 다들 그의 불꽃을 다시 보고싶다였다. 또한 상술한 특유의 표정 때문에 [[아따맘마]]의 [[오동동(아따맘마)|동동이]]로 [[https://ppt21.com/humor/15779?page=9&divpage=5&sn=on&keyword=SEIJI&select_arrange=name|묘사되기도 했다]]. '''방송경기에서 최초로 [[해병(스타크래프트 시리즈)|마린]]으로 [[우주모함|캐리어]]를 잡은 선수'''이기도 하다. [[https://youtu.be/0Z6ZlMiyM4Y|자세한 내용]]은 [[개척시대(스타크래프트)|개척시대]] 참조. [[더 킹 오브 파이터즈 시리즈|KOF]] [[김갑환]]의 반월참 기술 음성을 듣다 보면 [[몬더그린/대전액션게임|변길섭이라 들리기도 한다.]] [[Sony Ericsson GSL 오픈 시즌 2]] 예선을 통과한 다음 [[포모스]]와의 인터뷰에서, 현역 입대했다가 재검판정받고 공익 입대가 확정된 후, '''시간이 남아서''' 출전했다고 한다. 여자 배구선수 [[한수진(배구선수)|한수진]]과 꽤 닮았다. == [[스타크래프트 2]] 전향 이후 == [[파일:external/cdn.gamemeca.com/JSG_sc2_1020_020.jpg]] 2010년 10월 10일 [[Sony Ericsson GSL 오픈 시즌 2]] 예선 2일차에 참여해 본선에 진출했다. [[파일:attachment/1130533.jpg]] 진출 전 이 아이디로 '''18전(17승 1패)만 하고 예선에 참여''', 모두를 경악하게 만들었고, 본선에 진출하기까지 했다. 그런데 그동안 살이 많이 쪄서 불곰 테란 혹은 [[박성준(1986)]]의 별명과 함쳐서 불돈이라고 불렸고 팬들은 절규했다. [[http://www.fomos.kr/board/board.php?mode=photo_read&keyno=122211&db=photo&page=&field=&kwrd=&edit_num=2958|#]][* GSL 64강 승리 후 포모스 인터뷰에서 말하길, 몸이 안좋아 병원에 입원하는 동안 살이 쪘다고 한다.] '''[[임요환|황제]]의 귀환'''때문에 그가 본선에 진출했다는 소식이 많이 묻혔다. 64강에서 첫 경기는 이해할 수 없는 불곰 플레이를 보이며 졌지만, 이후 두 경기를 내리 전성기에 버금가는 불꽃테란을 선보이며 세트 스코어 2:1로 역전승했다. 상대 선수 죽토정 [[조만혁]]이 2티어를 온리 뮤탈만 쓰는 플레이어라는 걸 2경기부터 기억해낸 듯. [[홍진호]]가 [[트위터]]에서 "스타크래프트1에선 불꽃테란, 스타크래프트2에선 불꽃돼지"라고 디스했다. 두 선수 모두 [[KTF 매직엔스]]에서 함께 활동한 동료라서 가능한 디스. 변길섭 본인은 이걸 듣고 콧방귀를 뀌었다고. 32강에서 [[정민수]]의 프로토스에게 0:2로 패배했다. 1경기 [[폭염 사막]]에서는 4병영 불꽃 스타일을 보이면서 밀어붙였지만 정민수의 탄탄한 방어에 막히고 말았다. 2경기 [[젤나가 동굴]]에서도 불곰으로 압박을 주며 멀티를 가져가는 좋은 모습을 보였지만, [[수정탑]]에 낚여 병력이 나간 사이에 역장에 갇히면서 전멸하면서 허무하게 GG를 선언했다. 2011년 5월 [[육군훈련소|논산 훈련소]]를 거쳐 6월 [[공익근무요원]]으로 복무를 시작했다. 2011년 6월 지하철 막말남이 인터넷에 화제가 되었는데, 그 남자의 이름이 하필이면 변길섭이라서 애꿎은 본인의 미니홈피가 털렸다. 2014년 6월 9일 [[콩두 스타즈 파티]]에서 밝힌 바에 따르면 소집해제 된지 6달 정도 지났다고 하며, 그 동안 회사를 다니다 그만두고 쉬고 있다고 했다. 2017년 2월 강민의 개인 방송에서 출연한 [[정수영(e스포츠)#s-1|정수영]] 감독에 따르면 바이럴 마케팅 회사에 다니고 있다고 한다. [각주] [[분류:1984년 출생]][[분류:2001년 데뷔]][[분류:2008년 은퇴]][[분류:대한민국의 프로게이머/스타크래프트]][[분류:대한민국의 개신교 신자]][[분류:초계 변씨]][[분류:구로고등학교 출신]][[분류:사회복무요원 출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