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變法自彊運動(戊戌变法) Hundred Days Reform 1898년 청에서 [[광서제]]의 주도 아래 일본의 [[메이지 유신]]을 본따서 일으킨 근대화(자강) 운동. 무술변법(戊戌變法), 100일 유신이라고 불리기도 한다(영어로는 Hundred Days Reform). == 배경 == 1894년 [[청일전쟁]]의 패배로 인해 [[양무운동]]이 실패로 돌아가고, 양무운동의 상징이었던 [[이홍장]]이 정계에서 물러난 상황이었다. 이런 상황에서 1897년 [[독일 제국]]의 [[키아우초우]] 점령사건이 벌어지고 열강의 청 분할이 가속화되면서 중앙에서도 위기를 느끼기 시작했다. == 전개 == [[캉유웨이]]는 1888년부터 꾸준히 조정에 상서를 올렸는데 다섯 번째로 올린 상서가 당시 위기를 느끼고 있던 [[광서제]]의 마음을 얻게 되었다. 1898년 6월 11일 광서제는 명정국시(明定國是)라는 조서를 내려 변법을 선언하고 100가지가 넘는 개혁안을 내게 된다. 개혁안의 주 내용으로는 제도국 개설, 과거제 개혁, 새로운 학교제도의 도입, 신문 · 잡지 발행, 인재등용, 농ㆍ공ㆍ상업 진흥, 우편사업, 육ㆍ해군의 근대화 등이었다. 1898년 7월 19일 광서제는 개혁에 방해가 되는 수구세력들을 [[서태후]]의 재가 없이 숙청시켰는데 이는 서태후를 중심으로 하는 수구파 대신들의 반발과 결집을 일으켰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광서제가 [[이토 히로부미]]를 초빙하여 고문으로 삼으려 하는 등 개혁을 멈추지 않자 수구파들은 서태후의 원조 아래 쿠데타 계획을 세우기 시작한다. 불온한 움직임을 감지한 광서제는 독일식 훈련을 받는 신건육군을 담당하던 [[위안스카이]]에게 감시를 맡겼지만 위안스카이는 오히려 황제와 개혁파들의 움직임을 서태후에게 보고하면서 그들을 배신한다. 결국 9월 21일 쿠데타가 일어나 광서제는 [[자금성]]에 연금당하고 캉유웨이 등 개혁파들에 대한 체포령이 내려진다. 이후 서태후의 섭정령이 내려지면서 변법은 103일만에 대실패로 막을 내리게 되는데 이것이 [[무술정변]]이다. 변법자강운동이 실패하자 캉유웨이와 [[량치차오]]는 일본으로 망명하였지만, 무술육군자로 불리게 되는 담사동 등 6명의 개혁가는 처형당한다. == 결과 == 변법자강운동의 실패로 청 내부에서의 개혁세력이 상당수 숙청당하거나 망명을 떠나게 되었고 이러한 점으로 인해 청나라를 타도해야 한다는 혁명파가 대두되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 == [[갑신정변]]과의 공통점 == 변법자강운동은 14년전 [[조선]]에서 일어났던 갑신정변과 상당히 비슷한 측면이 많다. 우선 변법자강운동과 갑신정변 모두 젊은 관료들이 중심이 되어 일어났다. 변법자강운동 당시의 캉유웨이는 갓 40대에 진입했으며, 량치차오는 20대 중반이었다. 갑신정변 당시의 [[김옥균]]은 30대 초반, [[박영효]]는 20대 초반 이었다. 그리고 당시 군주의 지지(광서제와 [[고종(대한제국)|고종]])를 받았으며 중체서용, 동도서기로 대표되는 제한적인 근대화 운동에서 벗어나려고 했으며 [[메이지 유신]]을 표방하며 일본의 도움을 받고자 했던 적극적인 근대화 운동이었다. 마지막으로 모두 짧은 기간만에 실패로 돌아가고 실패를 주도했던 사람으로 당시 군주의 뒤에서 섭정하고 있던 보수파 여인들([[서태후]]와 [[명성황후]])이었다는 점이다. 그리고 실패 이후 주도 인물들이 모두 일본으로 망명을 갔다는 점이 있다. 무엇보다도 변법자강운동 갑신정변 공히 [[위안스카이]]가 실패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했다. 위안스카이는 변법자강운동에서는 원래 변법파 손을 들어주다가 배신을 하였고, 갑신정변에서는 군대를 이끌고 직접 개입하였다. [[분류:광서제 시대]][[분류:1898년/사건사고]][[분류:근대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