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2 '''병점역'''}}}[br] || ||<-3> [[수도권 전철 1호선|[[파일:Seoulmetro1_icon.svg|width=31]]]] || ||<|2> [[광운대역|{{{-1 {{{#585858,#ccc 광운대 방면}}}}}}]][br][[세류역|세 류]][*A 병점역 이북 구간은 ([[세류역|세류]] ~ [[성균관대역|성균관대]]) [[수원시]]이다.][br]← 4.3 ㎞ ||<|2> [[수도권 전철 1호선|{{{-1 {{{#fff 1호선[br](P157)}}}}}}]] || [[신창역|{{{-1 {{{#585858,#ccc 신창 방면}}}}}}]][br][[세마역|세 마]][*B 병점역 이남 구간은 ([[병점차량사업소]] 및 [[서동탄역|서동탄]], [[세마역|세마]] ~ [[오산역|오산]]) [[오산시]]이다.][br]2.4 ㎞ → || || [[서동탄역|{{{-1 {{{#585858,#ccc 서동탄 방면}}}}}}]][br][[서동탄역|서동탄]][*B][br]2.2 ㎞ → || || [[청량리역|{{{-1 {{{#585858,#ccc 청량리 방면}}}}}}]] ||<|2> [[천안급행 A|{{{-1 {{{#fff 1호선[br][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f00, 사이즈=.9em, 글자색=#fff, 내용=경부선 급행 A)]}}}}}}]] || [[신창역|{{{-1 {{{#585858,#ccc 신창 방면}}}}}}]] || ||<|2> [[수원역|수 원]][br]← 7.2 ㎞ ||<|2> [[오산역|오 산]][br]7.8 ㎞ → || ||<|2> [[천안급행 B|{{{-1 {{{#fff 1호선[br][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080, 사이즈=.9em, 글자색=#fff, 내용=경부선 급행 B)]}}}}}}]] || || [[서울역|{{{-1 {{{#585858,#ccc 서울 방면}}}}}}]] || [[천안역|{{{-1 {{{#585858,#ccc 천안 방면}}}}}}]] || ||<-3>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미개통 도시철도 노선 보기 {{{#!wiki style="margin: -6px -1px -12px" ||<-3> {{{+3 '''동탄 도시철도 301정거장'''}}} || ||<-3> [[동탄 도시철도|[[파일:DTLine_icon.svg|width=30]]]] || || --{{{-1 {{{#585858,#ccc 시·종착[br]← 0.02 ㎞}}}}}}-- || [[동탄 도시철도|{{{-1 {{{#fff 동탄 도시철도[br](1공구)[br](미개통)}}}}}}]] || --[[동탄 도시철도/210정거장|{{{-1 {{{#585858,#ccc 210정거장 방면}}}}}}]][br]----[[동탄 도시철도/302정거장|302정거장]]--[br]3.1 ㎞ → ||}}}}}}}}} || ||<-3> {{{#!wiki style="margin: -6px -10px -11px" [include(틀:지도, 장소=병점역, 너비=100%, 높이=100%)]}}} || ||<-3> '''역명 표기''' || || [[경부선]] ||<-2><|3> '''병점'''[br]{{{-2 Byeongjeom[br]餠店 / 饼店 / [ruby(餅店, ruby=ピョンジョム)]}}} || || [[병점기지선]] || || [[수도권 전철 1호선|{{{#fff 1호선}}}]] || ||<-3> '''주소''' || ||<-3> [[경기도]] [[화성시]] 떡전골로 97 ([[진안동]] 824-1) || ||<-3> '''관리역 등급''' || ||<-3> [[보통역]] / 3급[br]([[평택역]] 관리 / [[한국철도공사]] 수도권서부본부) || ||<-3> '''운영 기관''' || || [[경부선]] ||<-2> [[한국철도공사]] || ##|| [[동탄 도시철도|{{{#fff 동탄 도시철도}}}]] ||<-2> [[화성시|[[파일:화성시 CI_국영문.svg|width=100]]]] || ||<-3> '''개업일''' || || [[경부선]] ||<-2> 1905년 1월 1일 || || [[수도권 전철 1호선|{{{#ffffff 1호선}}}]] ||<-2> 2003년 4월 30일 || ##|| [[동탄 도시철도|{{{#fff 동탄 도시철도}}}]] ||<-2> 2027년 || ||<-3> '''역사 구조''' || ||<-3> 지상 2층 구조, 지상 1층 승강장 || ||<-3> '''승강장 구조''' || ||<-3> 2면 9선 [[쌍섬식 승강장]] (횡단 가능) || ||<-3> '''철도거리표''' || || [[서울역|{{{-1 {{{#585858,#ccc 서울 방면}}}}}}]][br][[세류역|세 류]][br]← 4.3 ㎞ || '''[[경부선]]'''[br]병 점 || [[부산역|{{{-1 {{{#585858,#ccc 부산 방면}}}}}}]][br][[세마역|세 마]][br]2.4 ㎞ → || || {{{-1 {{{#585858,#ccc 기점}}}}}} || '''[[병점기지선]]'''[br]병 점 || [[서동탄역|{{{-1 {{{#585858,#ccc 서동탄 방면}}}}}}]][br][[병점차량사업소|병점기지]][br]1.4 ㎞ → || [목차] [clearfix] == 개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병점역_2023.jpg|width=100%]]}}} || || {{{#fff '''현 역사 (2003년 준공)'''}}}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병점역 구역사.jpg|width=100%]]}}} || || {{{#fff '''구 역사 (1957년 준공, 2003년 철거)'''}}} || || [[파일:병점역 스탬프.jpg|width=150]] || || 병점역의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 용주사를 형상화했다. || >'''1905년 경부선 개통과 함께 영업개시''' >'''한국전쟁으로 역사 소실로 1957년 신축''' >병점역은 1905년 경부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개시하였다. 인근 화성시 병점동 지명에서 역명이 유래하였으나 실제로는 화성시 진안동에 위치하고 있다. 일대에서 맛있는 쌀이 생산되기로 유명하여 일제강점기에는 쌀을 수탈하기 위한 역사로 역할하기도 하였다. 한국전쟁으로 역사가 소실 된 후 1957년 새롭게 역사를 신축, 준공하였으나 1990년 2월 간이역 격하에 이어 같은 해 5월 여객취급이 중지되었다. 당시의 역사는 97㎡ 규모의 부대건물을 갖춘 벽돌조 슬레이트 단층의 조그마한 건물이었다. 2003년 수도권 전철이 개통되면서 새롭게 보통역으로 승격되고 2005년 병점-천안 간 수도권 전철이 연장 개통하며 오늘에 이르고 있다. >---- >[[국가철도공단]] 공식 소개 문구 [[수도권 전철 1호선]] P157번. [[경기도]] [[화성시]] 떡전골로 90 ([[진안동]] 824-1) 소재. 그리고 [[화성시]] 최초의 [[지하철]] 역이다. 부역명은 '''한신대'''(韓神大)였으나 계약 만료로 삭제되었다. == 역 정보 == === [[수도권 전철 1호선]] 개통 전 === || [[파일:external/photo.hscity.net/17_2_2.jpg]] || || '''옛 역사''' ([[2000년|{{{#fff 2000년}}}]] [[3월 20일|{{{#fff 3월 20일}}}]] 촬영)[* [[http://photo.hscity.net/photoDetail.asp?photo_id=P000044773&page=1&s_flag=qsearch|해당 이미지]], 출처: 화성시 포토갤러리] || 1905년 1월 1일에 경부선이 개통하면서 운영을 시작한 역이다. [[6.25 전쟁]]으로 역사가 소실된 적이 있으며[* 이 때 당시 병점초등학교를 포함한 병점리 전체가 공습을 맞고 날라갔다.], 1957년에 역사를 다시 지었다. 1977년 5월 16일부터 철도청고시 제10호에 따라서 수소화물취급이 중지되었다. [[https://theme.archives.go.kr/viewer/common/archWebViewer.do?singleData=N&archiveEventId=0028089606#8|철도청고시 제10호]] 비둘기호/통일호만 정차하는 기차역이었으며, 새마을호/무궁화호는 탈 수 없었다. 그러나 1990년 5월 1일부로 승차권 차내취급역 지정, 2001년 6월 1일부터는 일반열차 통과역이 되었다. 일반여객 중단 당시 이 역에는 서울 ~ 온양온천 구간을 운행하는 통일호만 정차하고 있었으며, 여객취급 중단 사유는 [[수도권 전철 1호선|수도권 전철]] 공사 때문이었다. 병점역이 여객취급을 중단한 날 [[송탄역]] 또한 같은 사유로 여객취급을 중단했다. === [[수도권 전철 1호선]] 개통 후 === || [[파일:병점역 후문.jpg|width=100%]] || || {{{#fff '''병점역 서측의 2번 및 3번 출구 쪽의 모습'''}}} || 2003년 4월 30일에 [[수도권 전철 1호선]] 수원 ~ 병점 구간이 연장 개통되면서 2005년 천안까지 연장되기 전까지 수원역을 대신하여 새로운 시·종착역이 되었다. 이 당시 역사는 철거되고 역사를 다시 지어 현대 전철역 분위기로 바뀌었다. 전철역으로 다시 태어났지만 여전히 일반열차는 정차하지 않는다. 이는 수원역과 병점역의 거리가 너무 가깝기 때문이다. 화성시에 문을 연 최초의 전철역이기도 하다. 물론 개통 당시 화성군에 개통된 [[안산선]] [[반월역]]과 [[대야미역]]도 있으나, 두 역의 소재지였던 화성군 [[반월면]]이 [[1994년]] 12월 폐지되고 각각 [[안산시]], [[군포시]]로 편입됐으며, 현재의 화성시 일대에 한정된 영역으로 간주하면 최초의 전철역이기는 하다. 그리고 현재도 화성시에 위치한 유일한 1호선 역이다. [[서동탄역]]은 화성시의 부담으로 전철역을 만들었으나, 행정 구역 상 오산시에 위치해 있다. 병점 ~ 오산 구간은 원래 삼미동 쪽으로 방향을 크게 트는 곡선이었다. 하지만 당시 수원 ~ 천안 간 2복선화 사업을 진행하면서 [[1번 국도]] 서쪽의 고가 선로로 지나가게 하도록 2001년 4월에 우선 이설하면서 현재 [[세마역]]이 있는 경로로 완공되었으며, 구 선로는 완전히 철거하지 않고 폐지된 구간 일부를 재활용하였다.[* 현재 바베큐장으로 쓰이고 있다.] 동시에 [[병점차량사업소]]를 새로 건설하고 [[병점기지선]]으로 변경했다. 따라서 현재 병점 ~ 서동탄 구간은 예전 경부선 선로의 일부를 활용하고 있는 것이다. [[천안역]]까지 연장하면서 이 역을 먼저 개통하게 된 이유는 [[철도청]]에서 새로 만든 차량기지인 [[병점차량사업소]]로 연결되는 인입선을 마련하고 당시 [[수원역]]의 평면교차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였다. 당시 수원역은 진입 전에 전철과 일반열차가 운행선을 서로 맞바꿨는데, 이 때문에 열차를 많이 투입할 수가 없어 수원행 배차 간격은 다소 길었다. 게다가 [[KTX]] 개통 전이었기 때문에 기존 선로를 사용하는 열차 운행 횟수가 지금보다 더 많았다. 병점 연장 전까지는 수원행 한 대가 지나가면 인천행 두 대가 지나가기도 했고, 최악의 경우는 수원행이 1회 운행하고 인천 방향(인천, 부평, 주안 등) 열차가 연속 5회까지 온 적도 있었다. 게다가 신호 대기도 매우 잦았는데, 심지어는 2002년 2월 22일에 [[서울교통공사 1000호대 저항제어 전동차#s-4.2.1|서울지하철공사 1000호대 저항제어 전동차]]와 철도청 모터카의 추돌 사고까지 일어났다. 전철이 병점까지 연장하면서 경부선 아래로 통과하여 [[병점차량사업소]]에 입·출고하는 형태로 외선을 그대로 사용하여 입체교차로 회차하는 시설이 생겼고, 당시 수원행 열차를 모두 병점역으로 연장하면서 수원역의 고질적인 평면교차는 해소됐다. 그러나 2010년 초 서동탄역이 개통되면서 이 열차들은 현재는 입·출고 열차를 제외하고 서동탄행으로 운행한다. [[서동탄역]] 개통 전 병점행은 종착 후 [[병점차량사업소]]까지 가서 회차하여 [[수원역]], [[서울역]] 방면 타는 곳으로 되돌아오는 방식을 썼다. [[천안역]] 연장 전에는 한동안 [[병점]]이라는 지명의 인지도 부족과, 수원행에 익숙한 시민들을 위해서 전철역 전광판에 수원·병점행이라고 표기하였다. 당시에는 1호선에서 [[서울교통공사 1000호대 VVVF 전동차|서울지하철공사 1000호대 VVVF 전동차]]를 제외하고는 [[행선기|행선지 표시기]]에 LED를 사용하는 열차가 하나도 없었기 때문에, 열차에는 수원행 롤지 앞에 병점이라고 쓰여 있는 플라스틱 [[행선판]]을 놓았다. 당시 열차에는 수원이라고 쓰여 있는데 병점행이라 하니 이로 인한 혼선이 매우 심했다. [[한국철도공사]](당시 [[대한민국 철도청]]) 관할 역사 및 전동차내에서는 병점행이라고만 표기했으나, 서울특별시지하철공사(현 [[서울교통공사]]) 관할 역사 및 전동차 내에서는 수원·병점행이라는 복수 행선지 안내를 채택했다. 이 역에서 분기되어 인근 [[병점차량사업소]]에 입고하는 열차는 이 역을 종착역으로 하며, 이 역이 경부선의 신창 방면과 서동탄 방면의 분기점이다. 특히 [[서울교통공사]] 소속 열차가 경부선 (구로 ~ 서동탄) 구간으로 간다면 이 역에서 100% 서동탄역으로 분기한다. 이는 [[한국철도공사]]와 [[서울교통공사]]의 업무 협약에 따른 것이다. 따라서 [[서울교통공사]]는 양주/의정부/창동/광운대/동묘앞 ~ 인천 또는 광운대/청량리/동묘앞 ~ 서동탄 계통만 운행한다. 열차의 운행 방향을 기준으로 전동차 문이 오른쪽이 열릴 경우, 안내 방송으로 급행열차를 먼저 보낸다는 말이 없다면 서동탄행이다. 가장 왼쪽 선로가 서동탄역으로 빠지기 때문이다. 이 역은 조건부 환승역인데, 서동탄 방면과 천안·신창 방면 열차의 환승역으로 기능하고 있다. 진안동에 위치하고 있는데, 애초에 병점동에서 역명을 따온 게 아니라 이 지역의 옛 이름인 떡전에서 유래하여 개통 당시 [[병점]]이라 부른 것이다. 1905년에 이 역이 개업할 당시부터 해당 역명이었으며, 이후 1914~1962년 당시 안룡면, 1963년~1985년 당시 태안면[* 안룡면과 태장면 일부가 수원시로 편입된 후 남은 지역을 합쳐 태안읍이 되었다.], 1985~2006년 당시 태안읍 시가지였던 병점리와 진안리 일대를 통틀어 병점이라고 이르게 되었다. 자세한 사항은 [[병점]] 문서를 보라. 한국철도공사 전동차는 천안·신창행 전동차가 차량 고장으로 타절되어 기교체 하거나 차량기지로 입고하는 일부 시간대 한정으로 이 역에 종착하는 경우가 있지만, 서울교통공사 전동차는 전 편성 서동탄역까지 운행한다. 또한 이 곳에 병점승무사업소가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수도권 전철 1호선]] 일부 열차는 이 역에서 승무 교대를 진행한다. 특히 급행열차를 타고 온다면 맨 앞과 맨 뒤 출입문에서 보게 되는데, 이로 인해 다른 역보다 정차 시간이 더 길다. [[수도권 전철 1호선]]의 경부선 구간 일부에서 (가산디지털단지 ~ 병점) 하행 (서동탄·신창 방면) 열차를 잘못 탔을 경우 이 역이 환승 가능한 마지막 역이다. 병점역을 마지막으로 천안·신창행은 [[세마역]]으로, 서동탄행은 운행 구간 마지막 역인 [[서동탄역]]으로 각기 분기되며, 양 방향 모두 해당 구간에서의 배차 간격이 다소 길기 때문에 이 역에서 환승하지 못했을 경우 다소 곤란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기관사도 도착 전 해당 내용을 직접 방송하고 있다. === 역명 발음 === 표준 발음법에 따라 [병쩜]이 아닌 [병점]으로 읽어야 한다. 병점은 '떡 가게'라는 뜻이므로, 백화점이나 대리점처럼 [병점]으로 발음해야 한다. 즉 '店'을 예사소리로 발음해야 하는 것이다. [병쩜]으로 발음하는 경우는, 병이 곧 나을 것인지 오래갈 것인지를 알고자 치는 점인 병점(病占)이다. 餠店이 [병쩜]으로 읽힐 근거는 전혀 없어 '[[병점]]'이라는 낱말을 처음 읽는 한국어 화자가 [병쩜]이라고 읽을 일은 없지만, 한때 [[이윤정(성우)|이윤정]]과 브랜든이 녹음한 안내방송조차도 [병쩜]이라고 읽었으며, [[강희선]] 성우 역시도 [병쩜]이라 읽은 방송이 존재한다. 그러나 강희선과 [[제니퍼 클라이드]]가 녹음한 지금 안내방송은 [병점], [병점]으로 발음한다. 정차하는 버스들 상당수는 안내방송에서 '이번 정류소는 병쩜, 병쩜역입니다.', '이번 정류장은 병쩜입구. 병쩜육교. 화남아파트입니다.' 등 '병쩜역'이라고 한다. 그런데 또 '병점역 사거리', '병점 사거리', '병점 중심상가', '병점역 후문'은 또 [병점]이라고 발음한다. 2000년대 초 병점 태안지구 택지개발사업 후 찾아온 외지인들에 의해서 [병쩜]이라는 발음이 늘어났다는 의견도 있다. 실제로 [[병점]] 개발 전에는 왕래가 잦은 인접한 지역들: 서쪽의 와우리, [[안녕동|안녕리]], [[기안동|기안리]] 및 동쪽의 [[반정동]], [[기산동(화성)|기산동]], [[능동(화성)|능동]] 등지에서는 [병점]으로 발음하고, 지명을 알고는 있으나 교류가 적은 [[권선동]]·[[세류동]] 등의 수원지역에서만 [병쩜]으로 발음하는 경향이 있었다. 그래서 인구가 막 늘었던 병점 및 동탄 지역에서는 [병쩜]이라고 하고, 개발이 덜되어 예전 인구가 그대로 상주하였던 화산동, 안녕동 지역에서는 [병점]이라고 부르던 풍조가 있었으나, 이제는 와우지구, 태안3지구 개발 사업이 완료되면서 봉담, 화산 지역도 유입인구가 늘어 점점 [병쩜]으로 음가가 통일되고 있다. 2018년에 TTS 안내방송으로 개정되면서 다시 [병쩜]으로 안내하기 시작했으나, 2019년 하반기에 수정되었다. 비슷한 예시로 [[선릉역]]과 [[학여울역]]이 있으며 각각 [설릉녁]과 [항녀울녁]이라고 발음해야 하지만 [선능녁], [하겨울녁]이라고 발음하는 경우가 많다. == 역 주변 정보 == 주변에는 수원/안양, [[병점]](태안지구), [[동탄]], [[세교신도시]]로 가는 시내버스와 마을버스가 자주 다니며 국도 1호선이 지난다. 그렇기에 서동탄행을 타게 되면 [[한신대학교]][* 뒤의 두 대학과는 달리 [[오산시]]에 있다.]와 [[수원대학교]], [[협성대학교]] 등 등교하는 대학교 학생 이외 대다수 승객들은 수원역에서 내리는 것을 볼 수 있다. [[수원역]]이 非서울 [[수도권 전철]] 이용객 1위이지만, 병점역도 일 3만 3천 명이 이용해 수요가 매우 큰 역이다. 또한 신창·천안·서동탄발 광운대행 열차와 병점역 회송 열차, 급행 열차가 모두 정차하기 때문에 배차 간격이 5~10분으로 이용이 매우 편리하다. [[세마역]]부터는 오로지 천안·신창행 열차만 정차하기 때문에 배차 간격이 15~25분으로 굉장히 열악해지는 것과 비교되는 점이다. [[파일:병점복합타운 토지개발계획도.png|width=400]] 서쪽인 2번, 3번 출구는 2000년대 초반 1번 출구쪽 [[병점|태안지구]]가 조성됨과 동시에 병점행정복합타운으로 개발될 예정이었으나, 사업이 계속해서 연기되어 논과 밭이 보이는 미개발지대로 10여년 간 방치되었지만 현재는 병점복합타운이 조성되고 있다. 원래는 2017년 완공이었으나 여러 문제로 인해 2020년으로 늦춰졌다. 3번 출구로 나가면 근처 대학교(한신대, 협성대, 수원대, 수원과학대 등) 학생들이 이용하는 버스정류장이 있고 그 바로 앞 길 건너편은 병점복합타운 공사가 한창 진행 중이다. 2~3개 대학, 특히 근처 한신대학교의 많은 학생들이 왕래하는 지역이라 항상(특히 학기 중) 번화한 편이지만, 대부분은 통학하기에도 급급하므로 상권은 활성화되어 있지 않다. 이 때문에 병점역의 인식이 논밭이었던 때도 있다. 그러나 1번 출구쪽은 병점 시가지와 이어져있어 나름 상권이 형성되어 있고 번화한 편이다. 2019년 기준 현재는 해제된 수원비행장으로 인한 고도제한 때문에 형성된 저층중심 상가들과 주상복합건물이 병점역사거리와 그 인근에 들어서 있고, 1번 출구로부터 도보 10여분 거리에 [[홈플러스 병점점]]이 있다. 그러나 병점동과 진안동([[병점|태안지구]])을 아우르는 상당한 규모의 상권인 병점중심상가(역에서 1.5㎞)에 비해 상당히 부족하다. 이외 [[화성시청/동부출장소|화성시청 동부출장소]]가 있다. 역 주변 교통이 매우 좋지 않은 편이다. [[1번 국도]]에서 모여든 버스들과 아파트 주민들이 편도 1차선에 모두 모이는데, 그 도로가 고작이고 그나마 조금 더 나가면 [[1번 국도]]가 나오지만 병점지하차도 때문에 지상차로도 역시 편도 1차선이다. 또한 병점역을 시·종점으로 하는 마을버스와 시내버스 정차 문제가 오랫동안 지속되고 있다. 병점역을 시·종점으로 하는 노선이 10개가 넘기 때문에 편도 1차선에 위치한 버스정류장을 가지고 문제를 해결하기는 역부족이다. 덕분에 출퇴근 시간이 되면 출퇴근 수요가 많은 1번 국도 특성과 맞물려 역 앞과 병점사거리는 매우 혼잡하다. 게다가 이 사거리는 신호등이 하루에 5시간, 오전 7시 30분~9시 30분, 그리고 오후 12시 30분~3시 30분에 가동된다. 이외 시간대에는 노란색 점멸등이 작동한다. [[파일:병점역 광장 조성계획.png]] 역 앞 교통혼잡해소 사업의 일환으로 [[환승센터]]를 새로 만들고 있어서 이 문제는 어느 정도 해결될 예정이다. 현재 주변 교통을 정체시키는 주범인 병점지하차도를 장기적으로 폐쇄하는 정비 사업이 추진되고 있다. 더불어 2021년부터(실제 철거 공사는 2023년 3월부터) 병점역에서 1번 국도로 나가는 도로를 주변 건물을 철거하는 방식을 통해 확장하여 [[광장]]을 조성 중이고, 도시재생사업을 통해 역 주변 환경을 대대적으로 개선할 예정이다. [[서철모(1968)|서철모]] 전 화성시장이 주민과의 협의회에서 약속하였다. 역 뒤편 2번 출구 5분 거리에 화성시문화재단에서 사무실 겸 문화센터로 쓰는 유앤아이센터가 있다. 수영장과 [[김연아]]가 [[2010 밴쿠버 동계올림픽]]을 앞두고 전용훈련장으로 사용했던 아이스링크장이 대표적인데 가격이 상당히 저렴하다. 인근 [[동탄신도시]]와도 조금 떨어진 편이기 때문에 (가장 가까운 푸른마을, 숲속마을까지 약 10~15분이 걸림) 동탄신도시 주민들은 더 근처에 역을 지어달라고 요청하였고, 2010년 2월 26일에 [[서동탄역]]이 개업했다. 하지만 서동탄역이 자리잡은 위치 자체가 이용하기 힘들다. 병점기지가 신도시 외곽이고 차량이 들어갈 수 있는 길은 골목길에 가까운 좁은 길 하나를 빼면 없기 때문에, 병점역의 역할은 여전히 크다. 위치는 그렇다 치더라도 서동탄역 시발 열차 배차 간격이 길 수밖에 없어 이용하기가 대단히 애매하다. 여유가 있다면 서동탄역을 이용하는 것도 좋지만 병점역도 근처에 있는 데다 서동탄역 시발 열차는 병점역에서도 탈 수 있으므로 병점역으로 가는 이용객이 대다수이다. 서동탄역을 이용할 때의 이점이라면 동탄으로 돌아올 때 조금 가깝다는 것과 상행을 타고 올라갈 때 앉아서 갈 수 있다는 것 정도이다. 이같은 동탄신도시의 고질적인 철도교통 부실 문제는 [[동탄역]]에 [[동탄인덕원선]]과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A노선|GTX A선]]이 개통되어야 해결될 것이라고 바라보고 있다. 현재 GTX-C선이 평택지제역 연장을 추진 중이며 한동안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C노선|GTX-C선]]이 병점역에 정차할 가능성이 있었다. 2021년 8월 30일 3기 신도시 추가발표에서 진안신도시가 선정되면서 광교~병점 경전철이 병점역까지 연장된다. 또한, 화성시에서도 병점역과 봉담 간 연결하는 신설 경전철도 추진 중이다. 그러나 2023년 6월 29일, 국토교통부가 공고한 환경영향평가법에 따른 환경영향평가 결정내역에 따르면 병점주박기지가 확정되었고[* [[https://www.molit.go.kr/USR/BORD0201/m_69/DTL.jsp?mode=view&idx=253572|국토교통부공고 제2023-803호]]], 수원행 열차의 회차는 경부선 열차와의 접촉을 최소화하기 위해 수원역 회차와 병점주박기지 회차로 이원화된다고 하며[* [[https://www.redaily.co.kr/news/articleView.html?idxno=6042|「"병점기지에 GTX-C 정거장이 없다"...왜?'」]], 철도경제, 2023-06-29], 이에 따라 병점역에는 GTX-C선이 정차하지 않는다는 결과가 나왔다. 다만 화성시는 차량의 절반가량이 병점주박기지까지 들어와 회차하는 만큼 병점역 GTX-C 정차를 역점과제로 선정하여 승하차에 필요한 역사개량비 등 전액을 시비로 부담할 것을 약속하는 등 2028년 본선과 함께 개통될 수 있도록 절차를 추진 중이다. [[서철모(1968)|서철모]] 민선 7기 시장 취임 후 화성시에서 이 역을 교통의 중심지로 키우기 위해서 H1, H3, [[H6005]], [[H6006]], [[H6007]]을 신설했지만 이용객이 저조해서 탁상행정이라는 비판을 받았다. H6005, H6006, H6007번은 직행좌석버스였다. 결국 H6006번을 없애고 H6005번을 동탄 - 남양 노선, H6007번을 동탄 - 향남 노선으로 변경했다가 적자를 면치 못하여 현재 H65, H67번 일반버스로 전환되었다. == 일평균 이용객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 {{{#ffffff '''연도'''}}} || [[수도권 전철 1호선|[[파일:Seoulmetro1_icon.svg|width=25]]]] || {{{#ffffff '''비고'''}}} || || 2003년 || 16,751명 || [* 개통일인 4월 30일부터 12월 31일까지 246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 || || 2004년 || 17,759명 || [* 해당 연도까지 [[http://info.korail.com/mbs/www/jsp/board/list.jsp?boardId=9863289&id=www_060700000000|철도통계연보]]의 자료를 반영하였다.] || || 2005년 || 20,674명 || || || 2006년 || 21,884명 || || || 2007년 || 25,160명 || || || 2008년 || 30,027명 || || || 2009년 || 31,623명 || || || 2010년 || 30,619명 || || || 2011년 || 30,746명 || || || 2012년 || 30,669명 || || || 2013년 || 30,946명 || || || 2014년 || 32,055명 || || || 2015년 || 31,741명 || || || 2016년 || 31,749명 || || || 2017년 || 31,482명 || || || 2018년 || 32,297명 || || || 2019년 || {{{#0052a4 33,262명}}} || || || 2020년 || 22,136명 || || || 2021년 || 23,945명 || || || 2022년 || 28,310명 || || || 2023년 || 30,409명 || || ||<-3> {{{#ffffff '''출처'''}}} || ||<-3> [[https://info.korail.com/info/selectBbsNttList.do?bbsNo=425&key=867|한국철도공사 광역철도[br]수송통계 자료실]] || }}} * 2003년 국철 1호선 [[수원역]] 이남 부분 연장 개통 당시부터 높은 이용률을 보였고, [[2005년]] [[수도권 전철 1호선|1호선]]의 [[천안역]] 연장 개통과 2007~2009년 [[동탄신도시]] 첫 입주 당시에 각각 3천 명, 5천 명의 승하차량 급상승세를 보였다. * 현재는 동탄신도시 버스노선이 확대되고 서동탄역이 생기면서 꾸준히 3만 명대 초반에서 보합세를 보인다. * 이용객 대부분은 [[병점동]], [[진안동]] 주민들로서, [[수원시]] 이북으로 갈 때 높은 이용률을 보인다. 그 밖에 [[안녕동]], [[송산동(화성)|송산동]], [[기안동]], [[기산동(화성)|기산동]] 등등 과거 태안읍이었던 곳의 주민들 역시 이 역을 이용하는 빈도가 높고, [[동탄신도시]]에서 [[수원시]] [[안양시]]등 [[수원시]] 이북을 갈 때 조금 더 빨라 이용하는 경우가 일부 있다. 그리고 [[정남면]] 등 병점 서부 지역 화성시 주민들도 많이 이용한다. * 경부선 수원역 이남 구간에서 가장 수요가 많은 역이다. 두 번째는 [[평택역]], 세 번째는 [[오산역]]이다. * 앞으로 이용객이 많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현재 병점역 후문쪽으로 도시 개발 중이고, 태안3지구가 개발 중이다. == 승강장 == === [[수도권 전철 1호선]] === || [[파일:attachment/Byeongjeom1.jpg|width=100%]] || || {{{#fff '''병점역 승강장'''}}} || || [[파일:병점역역명판.jpg|width=100%]] || || {{{#fff '''서동탄·세마 방향 역명판'''}}} || ||<-6> ↑ [[세류역|세류]]·[[수원역|수원]] ||<-7> [[세류역|세류]]·[[수원역|수원]] ↓ || || │ || │ || {{{#ffffff 4}}} || {{{#ffffff 3}}} || │ || │ || │ || │ || {{{#ffffff 2}}} || {{{#ffffff 1}}} || │ || │ || │ || ||<-3> ↑ [[서동탄역|서동탄]] ||<-3> ↑[br][[세마역|세마]]·[[오산역|오산]] ||<-3> [[세마역|세마]]·[[오산역|오산]][br]↓ ||<-4> [[서동탄역|서동탄]] ↓ || || {{{#ffffff 1}}} ||<|4>[[파일:Seoulmetro1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1호선]] || 완행 || [[서동탄역|서동탄]] 방면 [br] 당역 출발 ([[천안역|천안]]·[[신창역|신창]] 방면) [br] 당역 종착 ([[광운대역|광운대]] 출발) || || {{{#ffffff 2}}} || 완행·급행 || [[천안역|천안]]·[[신창역|신창]] 방면 || || {{{#ffffff 3}}} || 완행·급행 || [[구로역|구로]]·[[용산역|용산]]·[[광운대역|광운대]] 방면 ([[신창역|신창]]·[[천안역|천안]] 출발) || || {{{#ffffff 4}}} || 완행 || [[구로역|구로]]·[[용산역|용산]]·[[광운대역|광운대]] 방면 ([[서동탄역|서동탄]] 출발) [br] 당역 출발 ([[광운대역|광운대]] 방면) [br] 당역 종착 ([[신창역|신창]]·[[천안역|천안]] 출발) || 보통 1번 승강장에는 병점·서동탄행 열차가, 2번 승강장에는 천안·신창행 열차가 정차한다. 하지만 병점기지에서 출고하여 운행하는 병점발 천안·신창행 열차는 [[병점기지선]]을 타기 때문에 남쪽에서 들어오며, 1번 승강장에 정차한다. 급행 열차는 2, 3번 승강장에만 정차한다. 또한 완행 열차가 뒤따라오는 급행 열차를 먼저 보내는 등 두 열차가 동시에 같은 방향으로 들어오는 경우가 아니라면 천안·신창 착발 완행 열차도 1, 4번 승강장으로는 들어오지 않는다. 다만 가끔 서동탄행 한국철도공사 열차가 (보통 앞서가던 천안·신창행 열차가 지연이나 고장으로 타절했을 때) 천안·신창행으로 행선지를 변경한 경우가 발생하면, 서동탄역으로 가는 승객이 하차하도록 다른 역보다 오래 서 있는다. 이 경우 열차 시간이 겹치지 않아도 서동탄행 열차가 정차하는 4번 승강장에 정차한다. === [[동탄 도시철도]] 1공구 (예정) === [include(틀:미개통)] ||<-7> 시·종착 || || ㅣ || {{{#ffffff -}}} || ㅣ || {{{#ffffff -}}} || ㅣ || {{{#ffffff -}}} || ㅣ || ||<-7> [[동탄 도시철도/302정거장|302정거장]] ↓ || || {{{#ffffff 상}}} ||<|2> [[파일:DTLine_icon.svg|width=17]] [[동탄 도시철도]] 1공구 || 시·종착 || || {{{#ffffff 하}}} || [[동탄 도시철도/302정거장|302정거장]]·[[솔빛나루역|305정거장]]·[[동탄역]]·[[동탄 도시철도/112·209정거장|209정거장]]·[[동탄 도시철도/210정거장|210정거장]] 방면 || == 연계 교통 == || [[파일:버스정류장 아이콘.svg|height=35&align=left]][[https://map.kakao.com/?busStopId=BS275518|{{{#000,#ffffff '''병점역후문'''}}}]] {{{-3 (경기 36338)}}}[br][[화성 마을버스 17|[include(틀:글배경r, 배경색=#f99d1c, 사이즈=.9em, 글자색=#FFF, 내용=17)]]] [[화성 버스 17-1|[include(틀:글배경r, 배경색=#f99d1c, 사이즈=.9em, 글자색=#FFF, 내용=17-1)]]] [[화성 버스 27-2|[include(틀:글배경r, 배경색=#f99d1c, 사이즈=.9em, 글자색=#FFF, 내용=27-2)]]] [[수원 버스 34|[include(틀:글배경r, 배경색=#33cc99, 사이즈=.9em, 글자색=#FFF, 내용=34)]]] [[수원 버스 34-1|[include(틀:글배경r, 배경색=#33cc99, 사이즈=.9em, 글자색=#FFF, 내용=34-1)]]] [[화성 버스 35-1|[include(틀:글배경r, 배경색=#f99d1c, 사이즈=.9em, 글자색=#FFF, 내용=35-1(A))]]] [[화성 버스 35-1|[include(틀:글배경r, 배경색=#f99d1c, 사이즈=.9em, 글자색=#FFF, 내용=35-1(B))]]] [[화성 버스 35-2|[include(틀:글배경r, 배경색=#f99d1c, 사이즈=.9em, 글자색=#FFF, 내용=35-2)]]] [[오산 버스 46|[include(틀:글배경r, 배경색=#33cc99, 사이즈=.9em, 글자색=#FFF, 내용=46)]]] [[화성 마을버스 50|[include(틀:글배경r, 배경색=#f99d1c, 사이즈=.9em, 글자색=#FFF, 내용=50)]]] [[화성 버스 50-1|[include(틀:글배경r, 배경색=#f99d1c, 사이즈=.9em, 글자색=#FFF, 내용=50-1)]]] [[화성 버스 50-3|[include(틀:글배경r, 배경색=#f99d1c, 사이즈=.9em, 글자색=#FFF, 내용=50-3)]]] [[오산 버스 56|[include(틀:글배경r, 배경색=#f99d1c, 사이즈=.9em, 글자색=#FFF, 내용=56)]]] [[화성 버스 66|[include(틀:글배경r, 배경색=#f99d1c, 사이즈=.9em, 글자색=#FFF, 내용=66)] [include(틀:글배경r, 배경색=#f99d1c, 사이즈=.9em, 글자색=#FFF, 내용=66A)]]] [[화성 버스 76|[include(틀:글배경r, 배경색=#f99d1c, 사이즈=.9em, 글자색=#FFF, 내용=76)]]] [[화성 버스 80|[include(틀:글배경r, 배경색=#f99d1c, 사이즈=.9em, 글자색=#FFF, 내용=80)]]] [[화성 버스 81|[include(틀:글배경r, 배경색=#f99d1c, 사이즈=.9em, 글자색=#FFF, 내용=81)]]] [[화성 버스 H100|[include(틀:글배경r, 배경색=#33cc99, 사이즈=.9em, 글자색=#FFF, 내용=H100)]]] [[화성 버스 701A|[include(틀:글배경r, 배경색=#33cc99, 사이즈=.9em, 글자색=#FFF, 내용=701A)]]] [[화성 버스 1000|[include(틀:글배경r, 배경색=#33cc99, 사이즈=.9em, 글자색=#FFF, 내용=1000)]]] [[경기광주 버스 1551|[include(틀:글배경r, 배경색=#ff0000, 사이즈=.9em, 글자색=#FFF, 내용=1551)] [include(틀:글배경r, 배경색=#ff0000, 사이즈=.9em, 글자색=#FFF, 내용=1551B)]]] [[화성 버스 H2|[include(틀:글배경r, 배경색=#f99d1c, 사이즈=.9em, 글자색=#FFF, 내용=H2)]]] [[화성 버스 H20|[include(틀:글배경r, 배경색=#f99d1c, 사이즈=.9em, 글자색=#FFF, 내용=H20)]]] [[화성 버스 H65|[include(틀:글배경r, 배경색=#33cc99, 사이즈=.9em, 글자색=#FFF, 내용=H65)]]] [[화성 버스 H67|[include(틀:글배경r, 배경색=#33cc99, 사이즈=.9em, 글자색=#FFF, 내용=H67)]]] || || [[파일:버스정류장 아이콘.svg|height=35&align=left]][[https://map.kakao.com/?busStopId=BS275526|{{{#000,#ffffff '''병점역후문'''}}}]] {{{-3 (경기 36339)}}}[br][[화성 마을버스 17|[include(틀:글배경r, 배경색=#f99d1c, 사이즈=.9em, 글자색=#FFF, 내용=17)]]] [[화성 버스 17-1|[include(틀:글배경r, 배경색=#f99d1c, 사이즈=.9em, 글자색=#FFF, 내용=17-1)]]] [[화성 버스 27-2|[include(틀:글배경r, 배경색=#f99d1c, 사이즈=.9em, 글자색=#FFF, 내용=27-2)]]] [[수원 버스 34|[include(틀:글배경r, 배경색=#33cc99, 사이즈=.9em, 글자색=#FFF, 내용=34)]]] [[수원 버스 34-1|[include(틀:글배경r, 배경색=#33cc99, 사이즈=.9em, 글자색=#FFF, 내용=34-1)]]] [[화성 버스 35-1|[include(틀:글배경r, 배경색=#f99d1c, 사이즈=.9em, 글자색=#FFF, 내용=35-1(A))]]] [[화성 버스 35-1|[include(틀:글배경r, 배경색=#f99d1c, 사이즈=.9em, 글자색=#FFF, 내용=35-1(B))]]] [[화성 버스 35-2|[include(틀:글배경r, 배경색=#f99d1c, 사이즈=.9em, 글자색=#FFF, 내용=35-2)]]] [[오산 버스 46|[include(틀:글배경r, 배경색=#33cc99, 사이즈=.9em, 글자색=#FFF, 내용=46)]]] [[화성 마을버스 50|[include(틀:글배경r, 배경색=#f99d1c, 사이즈=.9em, 글자색=#FFF, 내용=50)]]] [[화성 버스 50-1|[include(틀:글배경r, 배경색=#f99d1c, 사이즈=.9em, 글자색=#FFF, 내용=50-1)]]] [[화성 버스 50-3|[include(틀:글배경r, 배경색=#f99d1c, 사이즈=.9em, 글자색=#FFF, 내용=50-3)]]] [[오산 버스 56|[include(틀:글배경r, 배경색=#f99d1c, 사이즈=.9em, 글자색=#FFF, 내용=56)]]] [[화성 버스 66|[include(틀:글배경r, 배경색=#f99d1c, 사이즈=.9em, 글자색=#FFF, 내용=66)] [include(틀:글배경r, 배경색=#f99d1c, 사이즈=.9em, 글자색=#FFF, 내용=66A)]]] [[화성 버스 76|[include(틀:글배경r, 배경색=#f99d1c, 사이즈=.9em, 글자색=#FFF, 내용=76)]]] [[화성 버스 80|[include(틀:글배경r, 배경색=#f99d1c, 사이즈=.9em, 글자색=#FFF, 내용=80)]]] [[화성 버스 81|[include(틀:글배경r, 배경색=#f99d1c, 사이즈=.9em, 글자색=#FFF, 내용=81)]]] [[화성 버스 H100|[include(틀:글배경r, 배경색=#33cc99, 사이즈=.9em, 글자색=#FFF, 내용=H100)]]] [[화성 버스 701A|[include(틀:글배경r, 배경색=#33cc99, 사이즈=.9em, 글자색=#FFF, 내용=701A)]]] [[화성 버스 1000|[include(틀:글배경r, 배경색=#33cc99, 사이즈=.9em, 글자색=#FFF, 내용=1000)]]] [[경기광주 버스 1551|[include(틀:글배경r, 배경색=#ff0000, 사이즈=.9em, 글자색=#FFF, 내용=1551)] [include(틀:글배경r, 배경색=#ff0000, 사이즈=.9em, 글자색=#FFF, 내용=1551B)]]] [[화성 버스 H2|[include(틀:글배경r, 배경색=#f99d1c, 사이즈=.9em, 글자색=#FFF, 내용=H2)]]] [[화성 버스 H20|[include(틀:글배경r, 배경색=#f99d1c, 사이즈=.9em, 글자색=#FFF, 내용=H20)]]] [[화성 버스 H65|[include(틀:글배경r, 배경색=#33cc99, 사이즈=.9em, 글자색=#FFF, 내용=H65)]]] [[화성 버스 H67|[include(틀:글배경r, 배경색=#33cc99, 사이즈=.9em, 글자색=#FFF, 내용=H67)]]] || || [[파일:버스정류장 아이콘.svg|height=35&align=left]][[https://map.kakao.com/?busStopId=BS276414|{{{#000,#ffffff '''병점역.화성청년지원센터'''}}}]] {{{-3 (경기 55034)}}}[br][[화성 버스 11-2|[include(틀:글배경r, 배경색=#f99d1c, 사이즈=.9em, 글자색=#FFF, 내용=11-2)]]] [[화성 버스 12(명승교통)|[include(틀:글배경r, 배경색=#f99d1c, 사이즈=.9em, 글자색=#FFF, 내용=12)]]] [[화성 마을버스 13|[include(틀:글배경r, 배경색=#f99d1c, 사이즈=.9em, 글자색=#FFF, 내용=13)]]] [[화성 마을버스 17|[include(틀:글배경r, 배경색=#f99d1c, 사이즈=.9em, 글자색=#FFF, 내용=17)]]] [[화성 버스 17-1|[include(틀:글배경r, 배경색=#f99d1c, 사이즈=.9em, 글자색=#FFF, 내용=17-1)]]] [[화성 버스 27-2|[include(틀:글배경r, 배경색=#f99d1c, 사이즈=.9em, 글자색=#FFF, 내용=27-2)]]] [[오산 버스 46|[include(틀:글배경r, 배경색=#33cc99, 사이즈=.9em, 글자색=#FFF, 내용=46)]]] [[화성 버스 76|[include(틀:글배경r, 배경색=#f99d1c, 사이즈=.9em, 글자색=#FFF, 내용=76)]]] [[화성 버스 81|[include(틀:글배경r, 배경색=#f99d1c, 사이즈=.9em, 글자색=#FFF, 내용=81)]]] [[화성 버스 100|[include(틀:글배경r, 배경색=#f99d1c, 사이즈=.9em, 글자색=#FFF, 내용=100)]]] [[화성 버스 H4|[include(틀:글배경r, 배경색=#f99d1c, 사이즈=.9em, 글자색=#FFF, 내용=H4)]]] [[화성 버스 H5|[include(틀:글배경r, 배경색=#f99d1c, 사이즈=.9em, 글자색=#FFF, 내용=H5)]]] [[화성 버스 H20|[include(틀:글배경r, 배경색=#f99d1c, 사이즈=.9em, 글자색=#FFF, 내용=H20)]]] [[화성 버스 H25|[include(틀:글배경r, 배경색=#f99d1c, 사이즈=.9em, 글자색=#FFF, 내용=H25)]]] || || [[파일:버스정류장 아이콘.svg|height=35&align=left]][[https://map.kakao.com/?busStopId=BS447129|{{{#000,#ffffff '''병점역.화성청년지원센터'''}}}]] {{{-3 (경기 55031)}}}[br][[화성 마을버스 17|[include(틀:글배경r, 배경색=#f99d1c, 사이즈=.9em, 글자색=#FFF, 내용=17)]]] [[화성 버스 27-2|[include(틀:글배경r, 배경색=#f99d1c, 사이즈=.9em, 글자색=#FFF, 내용=27-2)]]] [[오산 버스 46|[include(틀:글배경r, 배경색=#33cc99, 사이즈=.9em, 글자색=#FFF, 내용=46)]]] [[화성 버스 76|[include(틀:글배경r, 배경색=#f99d1c, 사이즈=.9em, 글자색=#FFF, 내용=76)]]] [[화성 버스 81|[include(틀:글배경r, 배경색=#f99d1c, 사이즈=.9em, 글자색=#FFF, 내용=81)]]] [[화성 버스 H4|[include(틀:글배경r, 배경색=#f99d1c, 사이즈=.9em, 글자색=#FFF, 내용=H4)]]] [[화성 버스 H5|[include(틀:글배경r, 배경색=#f99d1c, 사이즈=.9em, 글자색=#FFF, 내용=H5)]]] [[화성 버스 H20|[include(틀:글배경r, 배경색=#f99d1c, 사이즈=.9em, 글자색=#FFF, 내용=H20)]]] || || [[파일:버스정류장 아이콘.svg|height=35&align=left]][[https://map.kakao.com/?busStopId=BS87945|{{{#000,#ffffff '''병점사거리.병점역입구'''}}}]] {{{-3 (경기 36753)}}}[br][[오산 버스 7|[include(틀:글배경r, 배경색=#33cc99, 사이즈=.9em, 글자색=#FFF, 내용=7)]]] [[오산 버스 8|[include(틀:글배경r, 배경색=#33cc99, 사이즈=.9em, 글자색=#FFF, 내용=8)]]] [[수원 버스 20|[include(틀:글배경r, 배경색=#33cc99, 사이즈=.9em, 글자색=#FFF, 내용=20)]]] [[수원 버스 20-1|[include(틀:글배경r, 배경색=#33cc99, 사이즈=.9em, 글자색=#FFF, 내용=20-1)]]] [[화성 마을버스 27|[include(틀:글배경r, 배경색=#f99d1c, 사이즈=.9em, 글자색=#FFF, 내용=27)]]] [[화성 버스 27-2|[include(틀:글배경r, 배경색=#f99d1c, 사이즈=.9em, 글자색=#FFF, 내용=27-2)]]] [[화성 버스 100|[include(틀:글배경r, 배경색=#f99d1c, 사이즈=.9em, 글자색=#FFF, 내용=100)]]] [[화성 버스 100-1|[include(틀:글배경r, 배경색=#f99d1c, 사이즈=.9em, 글자색=#FFF, 내용=100-1)]]] [[오산 버스 201|[include(틀:글배경r, 배경색=#33cc99, 사이즈=.9em, 글자색=#FFF, 내용=201)]]] [[오산 버스 202|[include(틀:글배경r, 배경색=#33cc99, 사이즈=.9em, 글자색=#FFF, 내용=202)]]] [[수원 버스 300|[include(틀:글배경r, 배경색=#0075c8, 사이즈=.9em, 글자색=#FFF, 내용=300)]]] [[수원 버스 300-1|[include(틀:글배경r, 배경색=#33cc99, 사이즈=.9em, 글자색=#FFF, 내용=300-1)]]] [[수원 버스 301|[include(틀:글배경r, 배경색=#33cc99, 사이즈=.9em, 글자색=#FFF, 내용=301)]]] [[화성 버스 710|[include(틀:글배경r, 배경색=#33cc99, 사이즈=.9em, 글자색=#FFF, 내용=710)]]] [[화성 버스 720-3|[include(틀:글배경r, 배경색=#33cc99, 사이즈=.9em, 글자색=#FFF, 내용=720-3)]]] [[오산 버스 1550-1|[include(틀:글배경r, 배경색=#ff0000, 사이즈=.9em, 글자색=#FFF, 내용=1550-1)]]] [[오산 버스 1552|[include(틀:글배경r, 배경색=#ff0000, 사이즈=.9em, 글자색=#FFF, 내용=1552)]]] [[광역급행버스 M4449|[include(틀:글배경r, 배경색=#000000, 사이즈=.9em, 글자색=#0ff, 내용=M4449)]]] [[화성 버스 H4|[include(틀:글배경r, 배경색=#f99d1c, 사이즈=.9em, 글자색=#FFF, 내용=H4)]]] [[화성 버스 H65|[include(틀:글배경r, 배경색=#33cc99, 사이즈=.9em, 글자색=#FFF, 내용=H65)]]] [[화성 버스 H67|[include(틀:글배경r, 배경색=#33cc99, 사이즈=.9em, 글자색=#FFF, 내용=H67)]]] [[화성 버스 H105|[include(틀:글배경r, 배경색=#33cc99, 사이즈=.9em, 글자색=#FFF, 내용=H105)]]] || || [[파일:버스정류장 아이콘.svg|height=35&align=left]][[https://map.kakao.com/?busStopId=BS275522|{{{#000,#ffffff '''병점역사거리'''}}}]] {{{-3 (경기 36345)}}}[br][[화성 마을버스 17|[include(틀:글배경r, 배경색=#f99d1c, 사이즈=.9em, 글자색=#FFF, 내용=17)]]] [[화성 마을버스 19|[include(틀:글배경r, 배경색=#f99d1c, 사이즈=.9em, 글자색=#FFF, 내용=19)]]] [[화성 버스 19-1|[include(틀:글배경r, 배경색=#f99d1c, 사이즈=.9em, 글자색=#FFF, 내용=19-1)]]] [[화성 버스 19-2|[include(틀:글배경r, 배경색=#f99d1c, 사이즈=.9em, 글자색=#FFF, 내용=19-2)]]] [[화성 버스 19-3|[include(틀:글배경r, 배경색=#f99d1c, 사이즈=.9em, 글자색=#FFF, 내용=19-3)]]] [[화성 버스 19-5|[include(틀:글배경r, 배경색=#f99d1c, 사이즈=.9em, 글자색=#FFF, 내용=19-5(B))]]] [[화성 마을버스 27|[include(틀:글배경r, 배경색=#f99d1c, 사이즈=.9em, 글자색=#FFF, 내용=27)]]] [[화성 버스 27-2|[include(틀:글배경r, 배경색=#f99d1c, 사이즈=.9em, 글자색=#FFF, 내용=27-2)]]] [[수원 버스 34|[include(틀:글배경r, 배경색=#33cc99, 사이즈=.9em, 글자색=#FFF, 내용=34)]]] [[수원 버스 34-1|[include(틀:글배경r, 배경색=#33cc99, 사이즈=.9em, 글자색=#FFF, 내용=34-1)]]] [[화성 버스 35-1|[include(틀:글배경r, 배경색=#f99d1c, 사이즈=.9em, 글자색=#FFF, 내용=35-1(A))]]] [[화성 버스 35-1|[include(틀:글배경r, 배경색=#f99d1c, 사이즈=.9em, 글자색=#FFF, 내용=35-1(B))]]] [[화성 버스 35-2|[include(틀:글배경r, 배경색=#f99d1c, 사이즈=.9em, 글자색=#FFF, 내용=35-2)]]] [[화성 마을버스 38|[include(틀:글배경r, 배경색=#f99d1c, 사이즈=.9em, 글자색=#FFF, 내용=38)] [include(틀:글배경r, 배경색=#f99d1c, 사이즈=.9em, 글자색=#FFF, 내용=38-1)]]] [[오산 버스 46|[include(틀:글배경r, 배경색=#33cc99, 사이즈=.9em, 글자색=#FFF, 내용=46)]]] [[화성 마을버스 50|[include(틀:글배경r, 배경색=#f99d1c, 사이즈=.9em, 글자색=#FFF, 내용=50)]]] [[화성 버스 50-1|[include(틀:글배경r, 배경색=#f99d1c, 사이즈=.9em, 글자색=#FFF, 내용=50-1)]]] [[화성 버스 50-3|[include(틀:글배경r, 배경색=#f99d1c, 사이즈=.9em, 글자색=#FFF, 내용=50-3)]]] [[화성 버스 66|[include(틀:글배경r, 배경색=#f99d1c, 사이즈=.9em, 글자색=#FFF, 내용=66)] [include(틀:글배경r, 배경색=#f99d1c, 사이즈=.9em, 글자색=#FFF, 내용=66A)]]] [[화성 버스 73, 73-1|[include(틀:글배경r, 배경색=#33cc99, 사이즈=.9em, 글자색=#FFF, 내용=73)] [include(틀:글배경r, 배경색=#33cc99, 사이즈=.9em, 글자색=#FFF, 내용=73-1)]]] [[화성 버스 80|[include(틀:글배경r, 배경색=#f99d1c, 사이즈=.9em, 글자색=#FFF, 내용=80)]]] [[화성 버스 81|[include(틀:글배경r, 배경색=#f99d1c, 사이즈=.9em, 글자색=#FFF, 내용=81)]]][br][[화성 버스 200|[include(틀:글배경r, 배경색=#33cc99, 사이즈=.9em, 글자색=#FFF, 내용=200)]]] [[화성 버스 205|[include(틀:글배경r, 배경색=#33cc99, 사이즈=.9em, 글자색=#FFF, 내용=205)]]] [[화성 버스 701A|[include(틀:글배경r, 배경색=#33cc99, 사이즈=.9em, 글자색=#FFF, 내용=701A)]]] [[화성 버스 708|[include(틀:글배경r, 배경색=#33cc99, 사이즈=.9em, 글자색=#FFF, 내용=708)]]] [[화성 버스 710|[include(틀:글배경r, 배경색=#33cc99, 사이즈=.9em, 글자색=#FFF, 내용=710)]]] [[화성 버스 712|[include(틀:글배경r, 배경색=#33cc99, 사이즈=.9em, 글자색=#FFF, 내용=712)]]] [[화성 버스 720-3|[include(틀:글배경r, 배경색=#33cc99, 사이즈=.9em, 글자색=#FFF, 내용=720-3)]]] [[화성 버스 H5|[include(틀:글배경r, 배경색=#f99d1c, 사이즈=.9em, 글자색=#FFF, 내용=H5)]]] [[화성 버스 H20|[include(틀:글배경r, 배경색=#f99d1c, 사이즈=.9em, 글자색=#FFF, 내용=H20)]]] [[화성 버스 H24|[include(틀:글배경r, 배경색=#f99d1c, 사이즈=.9em, 글자색=#FFF, 내용=H24)]]] [[화성 버스 H65|[include(틀:글배경r, 배경색=#33cc99, 사이즈=.9em, 글자색=#FFF, 내용=H65)]]] [[화성 버스 H67|[include(틀:글배경r, 배경색=#33cc99, 사이즈=.9em, 글자색=#FFF, 내용=H67)]]] [[화성 버스 H105|[include(틀:글배경r, 배경색=#33cc99, 사이즈=.9em, 글자색=#FFF, 내용=H105)]]] || || [[파일:버스정류장 아이콘.svg|height=35&align=left]][[https://map.kakao.com/?busStopId=BS87950|{{{#000,#ffffff '''[[화성시청]] 동부출장소.병점초등학교'''}}}]] {{{-3 (경기 36342)}}}[br][[오산 버스 7|[include(틀:글배경r, 배경색=#33cc99, 사이즈=.9em, 글자색=#FFF, 내용=7)]]] [[오산 버스 8|[include(틀:글배경r, 배경색=#33cc99, 사이즈=.9em, 글자색=#FFF, 내용=8)]]] [[화성 버스 11-2|[include(틀:글배경r, 배경색=#f99d1c, 사이즈=.9em, 글자색=#FFF, 내용=11-2)]]] [[화성 마을버스 13|[include(틀:글배경r, 배경색=#f99d1c, 사이즈=.9em, 글자색=#FFF, 내용=13)]]] [[수원 버스 20|[include(틀:글배경r, 배경색=#33cc99, 사이즈=.9em, 글자색=#FFF, 내용=20)]]] [[수원 버스 20-1|[include(틀:글배경r, 배경색=#33cc99, 사이즈=.9em, 글자색=#FFF, 내용=20-1)]]] [[화성 마을버스 27|[include(틀:글배경r, 배경색=#f99d1c, 사이즈=.9em, 글자색=#FFF, 내용=27)]]] [[화성 버스 27-2|[include(틀:글배경r, 배경색=#f99d1c, 사이즈=.9em, 글자색=#FFF, 내용=27-2)]]] [[수원 버스 34|[include(틀:글배경r, 배경색=#33cc99, 사이즈=.9em, 글자색=#FFF, 내용=34)]]] [[수원 버스 34-1|[include(틀:글배경r, 배경색=#33cc99, 사이즈=.9em, 글자색=#FFF, 내용=34-1)]]] [[화성 버스 35-2|[include(틀:글배경r, 배경색=#f99d1c, 사이즈=.9em, 글자색=#FFF, 내용=35-2)]]] [[수원 버스 81|[include(틀:글배경r, 배경색=#33cc99, 사이즈=.9em, 글자색=#FFF, 내용=81)]]] [[화성 버스 100|[include(틀:글배경r, 배경색=#f99d1c, 사이즈=.9em, 글자색=#FFF, 내용=100(A))]]] [[화성 버스 100-1|[include(틀:글배경r, 배경색=#f99d1c, 사이즈=.9em, 글자색=#FFF, 내용=100-1)]]] [[화성 버스 200|[include(틀:글배경r, 배경색=#33cc99, 사이즈=.9em, 글자색=#FFF, 내용=200)]]] [[오산 버스 201|[include(틀:글배경r, 배경색=#33cc99, 사이즈=.9em, 글자색=#FFF, 내용=201)]]] [[오산 버스 202|[include(틀:글배경r, 배경색=#33cc99, 사이즈=.9em, 글자색=#FFF, 내용=202)]]] [[화성 버스 205|[include(틀:글배경r, 배경색=#33cc99, 사이즈=.9em, 글자색=#FFF, 내용=205)]]] [[수원 버스 300|[include(틀:글배경r, 배경색=#0075c8, 사이즈=.9em, 글자색=#FFF, 내용=300)]]] [[수원 버스 300-1|[include(틀:글배경r, 배경색=#33cc99, 사이즈=.9em, 글자색=#FFF, 내용=300-1)]]] [[수원 버스 301|[include(틀:글배경r, 배경색=#33cc99, 사이즈=.9em, 글자색=#FFF, 내용=301)]]] [[화성 버스 710|[include(틀:글배경r, 배경색=#33cc99, 사이즈=.9em, 글자색=#FFF, 내용=710)]]] [[화성 버스 720-3|[include(틀:글배경r, 배경색=#33cc99, 사이즈=.9em, 글자색=#FFF, 내용=720-3)]]] [[오산 버스 1550-1|[include(틀:글배경r, 배경색=#ff0000, 사이즈=.9em, 글자색=#FFF, 내용=1550-1)]]] [[오산 버스 1552|[include(틀:글배경r, 배경색=#ff0000, 사이즈=.9em, 글자색=#FFF, 내용=1552)]]][br][[광역급행버스 M4449|[include(틀:글배경r, 배경색=#000000, 사이즈=.9em, 글자색=#0ff, 내용=M4449)]]] [[화성 버스 H4|[include(틀:글배경r, 배경색=#f99d1c, 사이즈=.9em, 글자색=#FFF, 내용=H4)]]] [[화성 버스 H25|[include(틀:글배경r, 배경색=#f99d1c, 사이즈=.9em, 글자색=#FFF, 내용=H25)]]] [[화성 버스 H65|[include(틀:글배경r, 배경색=#33cc99, 사이즈=.9em, 글자색=#FFF, 내용=H65)]]] [[화성 버스 H67|[include(틀:글배경r, 배경색=#33cc99, 사이즈=.9em, 글자색=#FFF, 내용=H67)]]] [[화성 버스 H105|[include(틀:글배경r, 배경색=#33cc99, 사이즈=.9em, 글자색=#FFF, 내용=H105)]]] || == 둘러보기 == [include(틀:수도권 전철 1호선의 역 목록)] [include(틀:경부선의 역 목록)] [include(틀:병점기지선의 역 목록)] [include(틀:화성시의 교통)] [[분류:1905년 개업한 철도역]][[분류:화성시의 도시철도역]][[분류:2027년 개업 예정인 철도역]][[분류:대한민국의 착공 예정 철도역]][[분류:경부선의 도시철도역]][[분류:병점기지선]][[분류:분기역]][[분류:수도권 전철 1호선]][[분류:동탄 도시철도 1공구 구간]][[분류:나무위키 철도 프로젝트]][[분류:분기 환승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