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보루시아 도르트문트)] [include(틀:보루시아 도르트문트/관련 문서)] ||<-5> [[보루시아 도르트문트|[[파일:보루시아 도르트문트 로고.svg|height=80]]]] [br] '''{{{#000000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역대 시즌}}}''' || || [[보루시아 도르트문트/2020-21 시즌|2020-21 시즌]] || {{{+1 ←}}} || '''{{{#ffe600 2021-22 시즌}}}''' || {{{+1 →}}} || [[보루시아 도르트문트/2022-23 시즌|2022-23 시즌]] || ||<-4> [[UEFA 유로파 리그/2021-22 시즌|[[파일:UEFA 유로파 리그 로고 화이트.svg|height=50]]]][br]''',,{{{#ffffff 2021-22 UEFA 유로파 리그 16강 PO}}},, ''' || || [[파일:보루시아 도르트문트 로고.svg|height=50]] || [[보루시아 도르트문트|도르트문트]][br](Dortmund) || [[파일:레인저스 FC 150주년 기념로고.svg|height=50]] || [[레인저스 FC|레인저스]][br](Rangers) || ||<-2>
{{{+1 '''{{{#000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2021-22 시즌}}}''' }}} || || 회장 ||{{{#000000 [[한스요아힘 바츠케]][br](Hans-Joachim Watzke)}}} || || 단장 ||{{{#000000 [[미하엘 초르크]] (Michael Zorc)}}} || || 감독 ||{{{#000000 [[마르코 로제]] (Marco Rose)}}} || || 주장 ||{{{#000000 [[마르코 로이스]] (Marco Reus)}}} || || 부주장 ||{{{#000000 [[마츠 후멜스]] (Mats Hummels)}}} || ||<-2> '''{{{#000 {{{+1 경과}}}[br](시즌종료)}}}''' || || [[분데스리가|[[파일:분데스리가 로고.svg|height=50]]]] || '''{{{#000000 {{{+1 2위}}}[br](34전 22승 3무 9패 85득점 52실점)}}}''' || || [[DFB-포칼|[[파일:DFB-포칼 로고.svg|height=50]]]] || '''{{{#000000 {{{+1 16강 탈락}}}[br](3전 2승 0무 1패 6득점 2실점)}}}''' || || [[UEFA 챔피언스 리그|[[파일:UEFA 챔피언스 리그 로고 화이트.svg|height=50]]]] || '''{{{+1 조별리그 탈락}}}[* C조 3위로 [[UEFA 유로파 리그]] 16강 PO 진출][br](6전 3승 0무 3패 10득점 11실점)''' || || [[UEFA 유로파 리그|[[파일:UEFA 유로파 리그 로고 화이트.svg|height=50]]]] || '''{{{+1 16강 PO 탈락}}}[br](2전 0승 1무 1패 4득점 6실점)''' || || [[DFL-슈퍼컵|[[파일:DFL-슈퍼컵 로고.svg|height=50]]]] || '''{{{#000000 {{{+1 준우승}}}[br](1전 0승 0무 1패 1득점 3실점)}}}''' || || '''합산 성적'''[*A 프리시즌 기록은 합산하지 않음.] || '''45전 27승 3무 15패 104득점 72실점''' || || 최다 득점자[*A 프리시즌 기록은 합산하지 않음.] || '''[[엘링 홀란]]''' (29) || || 최다 도움자[*A 프리시즌 기록은 합산하지 않음.] || '''[[마르코 로이스]]''' (19) || [목차] [clearfix] == 개요 == [[분데스리가]] 클럽 [[보루시아 도르트문트]]의 2021-22 시즌에 관한 정보를 다루는 문서이다. 영입, 경기 등 사건의 날짜 및 요일은 한국시간 기준이다. == 클럽 스쿼드 == == 유니폼 및 스폰서 == ||<-6> '''{{{#000 2021-22 시즌 유니폼 킷}}}''' || || [[파일:2021-22 BVB Home Kit.jpg|width=100%]] || [[파일:XrAQhexW6ORIgkl.jpg|width=100%]] || [[파일:67611-615301cb18d9d_600x600.jpg|width=100%]] || [[파일:2021-22 BVB GK1 Kit.jpg|width=100%]] || [[파일:2021-22 BVB GK2 Kit.jpg|width=100%]] || [[파일:2021-22 BVB GK3 Kit.jpg|width=100%]] || || '''{{{#000 HOME}}}''' || '''{{{#FFF AWAY}}}''' || '''{{{#000000 CUP}}}''' || '''{{{#ffffff GK 1}}}''' || '''{{{#fff GK 2}}}''' || '''{{{#black GK 3}}}''' || ||<-2> '''{{{#ffe600,#ffe500 메인 스폰서}}}''' ||<-2> '''{{{#ffe600,#ffe500 슬리브 스폰서}}}''' ||<-2> '''{{{#ffe600,#ffe500 유니폼 메이커}}}''' || ||<-2> [[파일:1und1.png|width=40%]] ||<-2> [[오펠|[[파일:3L63GId.jpg|width=50%]]]] ||<-2> [[푸마(브랜드)|[[파일:푸마 로고.svg|width=80%]]]] || == 감독 선임 == 지난 시즌 중반 [[뤼시앵 파브르]]를 경질하며 [[에딘 테르지치]] 대행 체제로 잔여 경기를 치르게 됨에 따라 새로운 감독을 영입해야했다. 이 과정에서 [[보루시아 묀헨글라트바흐]]의 [[마르코 로제]]가 유력 후보로 언급되었다. * {{{#ffe600 '''[선임 완료]'''}}} [[마르코 로제]] : 지난 12월 파브르의 경질 이후 로제가 차기 감독 1순위에 등극하였는데 이때 로제에게 5M 유로의 [[바이아웃]]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빌트, 스포르트1와 같은 독일의 주요 언론에 의해 확인되었고 독일 내에서 최고의 공신력을 자랑하는 키커에서도 로제가 2021-22 시즌부터 도르트문트로 이적한다는 이야기를 함에따라 로제의 감독 부임설이 불붙게 되었다. 로제는 처음에는 이를 부인하였고 도르트문트의 단장 초어크 역시 이에 대한 언급을 자제할 것을 요구하였지만 좀처럼 감독 부임설을 사그러들지 않았고 묀헨의 서포터들은 이에 관련된 성명문을 발표하였다. 결국 끊임없는 이적설 끝에 [[2월 15일]]자로 다음 시즌 로제가 도르트문트 감독이 된다는 오피셜이 발표됨에 따라 약 2달간의 루머가 마무리되었다. == 여름 이적시장 == === 예상 === 영입 : [[마르코 로제]]가 부임하는 이번 시즌, 11시즌 만의 리그 우승을 위해 대대적인 보강이 절실하다. 먼저 [[제이든 산초]]의 맨유 이적이 유력하기에 이를 대체할 주전 선수와 함께 백업을 해줄 수 있는 [[윙어]], 뎁스가 너무 얇아 [[미드필더]] 포지션인 [[엠레 잔]]이 내려와서 땜빵해야했던 [[센터백]], [[로만 뷔르키]]의 끔찍한 활약으로 인해 가장 먼저 대체해야하는 [[골키퍼]]는 반드시 영입해야하며 영입 자금이 좀 여유롭다면 [[토마 뫼니에]]의 끔찍한 활약과 [[마테우 모레이]]의 장기 부상으로 인해 비상이 걸린 [[라이트백]]을 추가로 보강할 가능성이 있다. 본격적인 이적 링크는 로제가 공식 부임하는 7월부터 나올 것으로 보인다. 방출 : 지난 시즌 계약 연장 옵션을 발동해 일단 1년더 팀에 잔류한 [[제이든 산초]]는 맨유 이적 가능성이 매우 높다. 그 외의 방출로는 주전 키퍼 영입을 위해 반드시 이뤄져야 하는 [[로만 뷔르키]]와 2시즌 동안 기대에 미치지 못한 [[율리안 브란트]]와 [[니코 슐츠]]의 방출이 예상된다. === 영입 === ||<-5>
'''{{{#000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2021-22 시즌 여름 이적시장 영입 선수 명단}}}''' || ||<-5>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ffe600 이적 구단 }}}''' || '''{{{#ffe600 이름}}}''' || '''{{{#ffe600 포지션}}}''' || '''{{{#ffe600 국적}}}''' || '''{{{#ffe600 이적료}}}''' || || [[PSV 에인트호번]] || [[도니얼 말런]] || FW || [[파일:네덜란드 국기.svg|width=30]][br][[네덜란드]] || €30m || || [[VfB 슈투트가르트]] || [[그레고어 코벨]] || GK || [[파일:스위스 국기.svg|width=30]][br][[스위스]] || €15m || || [[파리 생제르맹 FC|파리 생제르맹 FC U-19]] || [[수마일라 쿨리발리]] || DF ||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30]][br][[프랑스]] || 자유 계약 || || [[파리 생제르맹 FC|파리 생제르맹 FC U-19]] || [[압둘라예 카마라]] || MF || [[파일:기니 국기.svg|width=30]][br][[기니]] || 자유 계약 || || [[VfL 볼프스부르크]] || [[마린 폰그라치치]] || DF ||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width=30]][br][[크로아티아]] || 임대 || || [[1. FC 쾰른]] || [[마리우스 볼프]] || FW || [[파일:독일 국기.svg|width=30]][br][[독일]] || 임대 복귀 || || [[PEC 즈볼러]] || [[이마뉘얼 페라이]] || MF || [[파일:네덜란드 국기.svg|width=30]][br][[네덜란드]] || 임대 복귀 || || [[SD 우에스카]] || [[세르히오 고메스]] || MF || [[파일:스페인 국기.svg|width=30]][br][[스페인]] || 임대 복귀 || || [[US 사수올로 칼초]] || [[제레미 톨리안]] || DF || [[파일:독일 국기.svg|width=30]][br][[독일]] || 임대 복귀 || || [[올랭피크 드 마르세유]] || [[레오나르도 발레르디]] || DF ||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width=30]][br][[아르헨티나]] || 임대 복귀 || ||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II]] || [[안스가르 크나우프]] || FW || [[파일:독일 국기.svg|width=30]][br][[독일]] || 유스 콜업 ||}}} || === 방출 === ||<-5>
'''{{{#000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2021-22 시즌 여름 이적시장 방출 선수 명단}}}''' || ||<-5>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ffe600 이적 구단}}}''' || '''{{{#ffe600 이름}}}''' || '''{{{#ffe600 포지션}}}''' || '''{{{#ffe600 국적}}}''' || '''{{{#ffe600 이적료}}}''' || ||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 || [[제이든 산초]] || FW || [[파일:잉글랜드 국기.svg|width=30]][br][[잉글랜드]] || €85m || || [[올랭피크 드 마르세유]] || [[레오나르도 발레르디]] || DF ||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width=30]][br][[아르헨티나]] || €11m || || [[세비야 FC]] || [[토마스 딜레이니]] || MF || [[파일:덴마크 국기.svg|width=30]][br][[덴마크]] || €6m || || [[US 사수올로 칼초]] || [[제레미 톨리안]] || DF || [[파일:독일 국기.svg|width=30]][br][[독일]] || €3.5m || || [[RSC 안데를레흐트]] || [[세르히오 고메스]] || MF || [[파일:스페인 국기.svg|width=30]][br][[스페인]] || €2.25m || || LKS 고차우코비체즈드루이 || [[우카시 피슈체크]] || DF || [[파일:폴란드 국기.svg|width=30]][br][[폴란드]] || 자유 계약 ||}}} || === 오피셜 === * [[2021년]] [[2월 15일]] [[마르코 로제]]가 2021-22 시즌부터 도르트문트의 감독으로 부임하기로 하였다. * [[2021년]] [[3월 18일]] [[수마일라 쿨리발리]]를 자유 계약으로 영입했다. 팀은 이 선수를 1군에서 기용하기로 결정하였다. * [[2021년]] [[5월 7일]] [[펠릭스 파슬라크]]가 [[2023년]]까지 재계약하였다. * [[2021년]] [[5월 31일]] [[VfB 슈투트가르트]]의 골키퍼 [[그레고어 코벨]]을 €15m의 가격으로 영입했다. * [[2021년]] [[6월 26일]] [[우카시 피슈체크]]가 자신의 커리어 시작팀인 LKS 고차우코비체즈드루이로 이적하였다. * [[2021년]] [[6월|6월 2x일]] [[마르셀 슈멜처]]가 재활 과정에서의 법적 보호를 위해 2022년까지 재계약하였다. * [[2021년]] [[6월 30일]] [[세르히오 고메스]]가 €2.25m의 이적료로 [[RSC 안데를레흐트]]로 이적하였다. * [[2021년]] [[7월 1일]] [[제레미 톨리안]]이 €3.5m의 이적료로 [[US 사수올로 칼초]]로 이적하였다. * [[2021년]] [[7월 2일]] [[레오나르도 발레르디]]가 €11m의 이적료로 [[올랭피크 드 마르세유]]로 이적하였다. * [[2021년]] [[7월 20일]] [[파리 생제르맹 FC|파리 생제르맹 FC U-19]]의 수비형 미드필더 [[압둘라예 카마라]]를 자유 계약으로 영입했다. * [[2021년]] [[7월 23일]] [[제이든 산초]]가 €85m의 이적료로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로 이적하였다. * [[2021년]] [[7월 28일]] 산초의 대체자가 되어줄 [[PSV 에인트호번]]의 공격수 [[도니얼 말런]]을 €30m의 가격으로 영입했다. * [[2021년]] [[7월 29일]] [[마흐무드 다후드]]가 [[2023년]]까지 재계약하였다. * [[2021년]] [[8월 23일]] [[토마스 딜레이니]]가 €6m의 이적료로 [[세비야 FC]]로 이적하였다. * [[2021년]] [[8월 31일]] [[VfL 볼프스부르크]]의 수비수 [[마린 폰그라치치]]를 €10m의 선택 이적 조항이 포함된 임대 계약으로 영입했다. === 이적설 === ==== 재계약 ==== * {{{#ffe600 '''[재계약 완료]'''}}} [[마흐무드 다후드]] : 도르트문트와의 계약이 1년 남은 상태에서 테르지치 감독 지도하에 완벽히 부활하였기 때문에 곧 재계약 할것이라고 한다. 키커의 보도에 따르면 이탈리아, 스페인의 클럽에서도 관심을 가지고 있다 한다. 그럼에도 도르트문트와의 재계약은 그의 주요 옵션 중 하나로 로제 감독의 플랜을 듣고 결정할 것으로 보인다. 7월 29일 2023년까지 재계약 하였다. 코로나 종식 후 장기 재계약을 체결할 것으로 보인다. * {{{#ffe600 '''[재계약 완료]'''}}} [[펠릭스 파슬라크]] : 지난 시즌 임대 복귀 후 많은 경기를 뛰지는 못한 파슬라크였기에 이번 여름 FA로 팀을 떠날 가능성이 높아 보였지만 풀백 백업이 매우 필요한 도르트문트였기에 재계약을 통해 1년더 계약을 연장시켰다. * {{{#ffe600 '''[재계약 완료]'''}}} [[마르셀 슈멜처]] : 부상으로 인해 1경기도 뛰지 못한 슈멜처인데, 시즌 종료 후 다른 구단에서 커리어를 이어나가고 싶어한다고 한다. 그리고 시즌 종료 후 도르트문트와의 계약이 만료됨에 따라 팀을 떠나게 되었다. 하지만 부상 치료와 재활은 도르트문트와 함께 한다고 밝혔다. 하지만 7월 6일 루어지의 보도에 따르면 슈멜처와 도르트문트는 재활 시 슈멜처의 법적 보호를 위해 보험 목적으로 계약을 1년 연장했다고 한다. * {{{#ffe600 '''[종료]'''}}} [[토마스 딜레이니]] : 계약 기간이 1년 남은 상황에서 이적설과 재계약설이 모두 나오고 있다. 부상 복귀 후 [[악셀 비첼]]의 폼이 어떨지 모르고 유로 2020에서 딜레이니의 폼이 좋았기 때문에 재계약 가능성도 충분하다. ==== 영입설 ==== {{{+1 '''GK'''}}} * {{{#ffe600 '''[종료]'''}}} [[바르트워미에이 드롱고프스키]] : [[로만 뷔르키]]가 사실상 전력 외의 선수로 전락한 상황으로 새로운 주전 골키퍼를 원하는 도르트문트의 골키퍼 리스트 최상단에 올라있다. 그리고 그레고어 코벨이 영입되며 드롱고프스키와의 영입설은 자연스럽게 종료되었다. * {{{#ffe600 '''[영입 완료]'''}}} [[그레고어 코벨]] : 최근 들어 도르트문트의 새로운 골키퍼 영입 후보로 떠오르고 있다. 그리고 이적료 15m, 연봉 3.5m에 도르트문트로 이적할 것이라는 기사가 나오며 영입이 거의 확정되었다. 현지시각 5월 31일 이적료 15m에 영입을 완료하였다. 계약 기간은 2026년까지라고. * {{{#ffe600 '''[영입 실패]'''}}} [[페테르 굴라치]] : 앞서 언급한 드롱고프스키와 함께 골키퍼 리스트 최상단에 있으며 낮은 [[바이아웃]]이 설정되어 있어 사실상 선수와 구단 사이의 마음만 맞으면 영입이 가능하다. 하지만 [[율리안 나겔스만]] 감독이 뮌헨으로 이적하고 후임으로 [[제시 마치]]가 라이프치히에 들어오면서 변수가 생겼고 결국 주축 선수의 잔류를 원했던 마치의 노력 끝에 굴라치가 재계약을 하며 영입이 무산되었다. * {{{#ffe600 '''[영입 실패]'''}}} [[마이크 메냥]] : 챔피언스 리그 진출 여부가 위태로워져 [[잔루이지 돈나룸마]]의 거취가 불분명해진 [[AC 밀란]]과 함께 마이크 메냥의 영입을 두고 경쟁중이라고 한다. [[조나단 이코네]]와 더불어 [[마르코 로제]]의 영입 요청 선수 중 한명이었지만 AC 밀란이 마이크 메냥을 영입하면서 영입이 무산되었다. ---- {{{+1 '''DF'''}}} * {{{#ffe600 '''[영입 완료]'''}}} [[수마일라 쿨리발리]] : [[단악셀 자가두]]에 이어 다시 한 번 [[파리 생제르맹 FC]]의 수비 유망주로 각광받는 쿨리발리를 노리고 있다. 마침 이번 여름 FA로 풀려 난이도는 어렵지 않을 듯 하다. 결국 자유 계약으로 영입을 확정지었다. * {{{#ffe600 '''[영입 완료]'''}}} [[마린 폰그라치치]] : 개막 후 주전 수비수인 [[마츠 후멜스]]가 부상으로 리그 경기를 소화하지 못하는 일이 벌어지고 멀티 플레이어인 [[엠레 잔]] 마저 부상으로 이탈해 중앙 수비를 볼 선수가 없어져서 급하게 센터백을 찾게 되었고 결국 폰그라지치를 이적 시장 막판 임대 후 완전 이적 옵션으로 영입하였다. * {{{#ffe600 '''[종료]'''}}} [[막상스 라크루아]] : 30대 중반에 가까워지는 [[마츠 후멜스]], 계약 만료가 얼마 남지 않은 [[마누엘 아칸지]], [[단악셀 자가두]]의 이적 가능성을 대비함과 동시에 지난 시즌 내내 문제가 되었던 [[센터백]] 뎁스를 보강하고자 노리고 있다. * {{{#ffe600 '''[종료]'''}}} [[마르코스 알론소]] : 부진한 [[니코 슐츠]]의 대체 자원으로 언급되고 있다. 하지만 많은 나이 때문에 가능성은 낮은편. * {{{#ffe600 '''[종료]'''}}} [[펠릭스 우두오카이]] : 센터백 보강 자원으로 언급되는 중. 그러나 선수 본인은 도르트문트와의 이적설에 대해 들은 것이 없다며 부정하였다. * {{{#ffe600 '''[종료]'''}}} [[제리 신트쥐스터]] : 주 포지션은 센터백에 우측 풀백까지 소화 가능한 선수로, 현재 영입에 근접했다고 한다. 도르트문트는 산초 이적이 성사될 시 €15m을 비드할 것이라고 한다. 도르트문트 외에 쥐스터에게 관심이 있는 팀은 [[SS 라치오]]가 있다고. * {{{#ffe600 '''[종료]'''}}} [[가브리엘 구드문드손]] : [[FC 흐로닝언]]에서 뛰는 공격적인 레프트백으로, 도르트문트 이외에도 나폴리, 밀란, 맨시티 등 다수의 팀들이 노리고 있다고 한다. * {{{#ffe600 '''[종료]'''}}} [[마르셀 할스텐베르크]] : [[RB 라이프치히]]와의 계약 기간이 1년 밖에 남지 않은 상황에서 재계약 협상이 지지부진하자 이적설이 돌던 할스텐베르크인데, [[마르코 로제]]의 부임과 동시에 급격하게 도르트문트 이적설이 나오고 있다. 부진한 니코 슐츠의 대체자로 생각하고 있는것으로 보이며 도르츠문트는 €8m ~ €9m 정도를, 라이프치히는 €12m 정도를 생각하고 있다고 한다. * {{{#ffe600 '''[영입 실패]'''}}} [[메리흐 데미랄]] : [[유벤투스 FC]]의 센터백 데미랄과의 영입설이 최근 급격하게 나오고 있고, 로마노같은 유력기자들도 이를 보도했다. 다만, 유벤투스는 완전 이적을, 도르트문트는 완전 이적 옵션을 포함한 임대를 원하는듯. [[크리스티안 로메로]]의 이적설이 나오고 있는 [[아탈란타 BC]] 또한 데미랄과의 이적설이 나오고 있으므로 상황을 지켜볼 필요가 있다. 결국 아탈란타로 한 시즌 임대가 확정되었다. * {{{#ffe600 '''[종료]'''}}} [[어틸러 설러이]] : [[UEFA 유로 2020]]에서 헝가리 대표팀 소속으로 인상적인 활약을 펼친 설러이에게 도르트문트가 관심이 있고, 이미 €12m의 제의를 했으나 [[페네르바체 SK]]가 €20m 미만의 오퍼는 거절 중이라고 한다. ---- {{{+1 '''MF'''}}} * {{{#ffe600 '''[종료]'''}}} [[브루누 기마랑이스]] : 사우스햄튼과 이적설이 나고 있는 [[토마스 딜레이니]]와 곧 서른 중반이 되는 [[악셀 비첼]]의 대체자로 언급되고 있다. * {{{#ffe600 '''[영입 실패]'''}}} [[마누엘 로카텔리]] : 이탈리아 팀들을 제외하고 로카텔리 영입에 가장 관심이 많은 팀이 도르트문트라고 한다. 하지만 선수의 드림클럽이 유벤투스이고, 유벤투스 또한 로카텔리를 원하는 만큼 이적 가능성은 매우 낮은편. 결국 유벤투스로 이적하며 종료되었다. * {{{#ffe600 '''[종료]'''}}} [[카츠페르 코즈워프스키]] : 가제타에 따르면 이번 유로 2020 조별리그 E조 스페인 vs 폴란드 전에서 유로 최연소 출장 기록을 세운 카츠페르 코즈워프스키의 영입전에서 도르트문트가 선두에 있다고 한다. * {{{#ffe600 '''[영입 완료]'''}}} [[압둘라예 카마라]] : 파리 생제르맹 U-19 팀의 2004년생 수비형 미드필더 압둘라예 카마라의 영입에 근접했다고 한다. 사실상 이적은 확정이고, 올 여름에 올지 내년 여름에 올지 여부만 논의 중이라고 한다. 7월 20일 영입이 확정되었다. 등번호는 레이나가 쓰던 32번을 받았고, 일단은 U-19에서 시작할 것이라고 한다. * {{{#ffe600 '''[영입 실패]'''}}} [[유수프 데미르]] : 오스트리아의 03년생 신성 유수프 데미르의 영입을 두고 [[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와 [[FC 바르셀로나]]와 경쟁중이라고 한다. 유수프 데미르가 영입 옵션을 포함한 임대 이적으로 바르셀로나로 이적하며 영입설이 종료되었다. * {{{#ffe600 '''[종료]'''}}} [[마르셀 자비처]] : [[RB 라이프치히]]와의 계약 기간이 1년 남은 상황에서 재계약에 관심이 없어 다수의 구단들과 이적설이 나오고 있는 자비처에게 도르트문트 또한 관심이 있다고 한다. 그러나 LVZ의 보도에 따르면 도르트문트는 그에게 오퍼를 넣은 적이 없으며 대신 [[바이에른 뮌헨]]과 접촉하고 있다는 보도들이 8월 3일부터 지속적으로 쏟아지고 있기 때문에 도르트문트와의 계약은 사실상 무산. * {{{#ffe600 '''[종료]'''}}} [[루카스 구르나-두아스]] : [[AS 생테티엔]]에서 17세의 어린 나이에도 30경기를 소화한 구르나-두아스에게 아탈란타, 첼시와 함께 도르트문트 또한 관심이 있다고 한다. 하지만 선수는 한 시즌 더 머물기로 결정했다고. ---- {{{+1 '''FW'''}}} * {{{#ffe600 '''[영입 완료]'''}}} [[도니얼 말런]] : [[제이든 산초]]의 이적 시 대체자 후보 1순위로 거론되는 선수로 현재까지 언급되는 공격수 영입 자원 중에는 가장 이상적이지만 도르트문트는 말런 영입시 최소 40m의 이적료에 부담을 느낀다고 한다. 하지만 최근 들어 또다시 산초 이적시 1옵션이라는 기사들이 나오고 있다. 현재 도르트문트와 라이올라 간의 협상이 진행중이며, PSV가 요구하는 이적료는 €25m ~ €30m 사이라고 한다. 결국 7월 28일 30m에 돌문행 오피셜이 떴다. * {{{#ffe600 '''[종료]'''}}} [[멤피스 데파이]] : 말런과 마찬가지로 산초의 이적 시 대체자원으로 언급되는 선수. FA라 영입이 성사될 경우 이적료가 발생하지는 않지만 높은 주급 등의 문제로 인해 어려워 보인다. 그런데 최근 라크루아가 재계약을 거부한다는 루머가 돌며 이적 가능성이 다시 나오고 있다. 하지만 빌트지의 보도에 따르면 데파이는 높은 주급과 계약금 때문에 도르트문트의 영입대상에서 제외되었다고 한다. FA로 바르셀로나에 이적할 확률이 높은 현재, 도르트문트와의 링크는 종료된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6월 20일 바르셀로나 이적이 발표되었다. * {{{#ffe600 '''[종료]'''}}} [[크리스토스 촐리스]] : [[PAOK FC]]의 윙어 크리스토스 촐리스의 영입을 두고 보루시아 묀헨글라트바흐와 경쟁중이며, 가격은 15m 정도가 될것이라는 보도가 나오고 있다. * {{{#ffe600 '''[종료]'''}}} [[노니 마두에케]] : 5월 들어 [[제이든 산초]]의 이적 시 대체자로 언급되고 있다. 루어에서 산초의 대체자로 계속 밀고 있는데, 보루센들의 반응은 이코네 이적설 때만큼 좋지 않다. 하지만 이는 마두에케 단독 영입에 관해서 반응이 좋지 않은 것이고, 말런과 마두에케를 동시에 영입하는 것에 대해서는 반응이 대체적으로 좋다. * {{{#ffe600 '''[종료]'''}}} [[조나단 이코네]] : [[마르코 로제]]가 도르트문트 보드진에 영입 요청을 했다고 한다. 몇 주간 산초의 대체자로 강력하게 언급되었지만, 사실 도르트문트의 영입 대상에 없다고 한다. 루어 나흐리히텐에 따르면 이적료도 이적료거니와 무엇보다도 구단이 그에게 확신을 갖지 못했다고 한다. * {{{#ffe600 '''[종료]'''}}} [[사샤 칼라이지치]] : [[엘링 홀란]]의 이적 시 대체자로 언급되는 선수로 4월 들어 이 선수의 영입설이 많이 나오기 시작하였다. ==== 방출설 ==== {{{+1 '''GK'''}}} * {{{#ffe600 '''[종료]'''}}} [[로만 뷔르키]] : 재계약을 하였지만 여전히 끔찍한 성적을 보여주고 있기 때문에 구단에서는 뷔르키를 처분하고 새로운 주전 키퍼를 영입하고자 한다. 현재 [[AS 모나코 FC]]가 뷔르키에게 관심이 있다는 기사들이 나오고 있다. 그리고 다수의 기사들에 의하면 모나코와 도르트문트가 €3m에 합의했고, 조만간 이적이 완료될 것이라고 한다. 하지만 최근 모나코가 뉘벨을 임대하는것에 관심이 있다는 보도가 나오는 등 거취가 불분명해졌다. 현재 시점에서 모나코로의 이적은 사실상 무산된것으로 보인다. 최근 보도에는 골키퍼 영입이 필요한 [[올랭피크 마르세유]]가 뷔르키에게 관심이 있다고 한다. 8월 4일을 기점으로 [[아틀레티코 마드리드]]가 서브 키퍼로 뷔르키를 €5m에 영입할것이며, 영입에 매우 근접했다는 기사들이 나오고 있다. * {{{#ffe600 '''[종료]'''}}} [[루카 운베하운]] : 2020년 초부터 서드 키퍼자리를 [[스테판 드라차]]에게 밀린 운베하운의 임대 이적설이 나오고 있다. 운베하운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 팀은 [[1. FC 우니온 베를린]]과 [[TSG 1899 호펜하임]]이라고 한다. ---- {{{+1 '''DF'''}}} * {{{#ffe600 '''[방출 완료]'''}}} [[우카시 피슈체크]] : 2020-21 시즌 종료 후 팀을 떠났고 자신이 커리어를 시작했던 LKS 고차우코비체즈드루이로 이적하였다. * {{{#ffe600 '''[방출 완료]'''}}} [[레오나르도 발레르디]] : 마르세유와 이적료를 놓고 협상중이라고 한다. 발레르디를 방출하고 받은 비용으로 신트쥐스터의 영입 비용을 충당할 계획으로 보인다. 6월 28일 루어지의 보도에 따르면 며칠 내로 완전 이적 발표가 나올 것이라고 한다. 이적료는 €11m + @ 정도라고 한다. 7월 2일 €11m에 이적이 발표되었다. * {{{#ffe600 '''[종료]'''}}} [[라파엘 게헤이루]] : 레알 마드리드가 게헤이루에게 관심을 가지고 있고, €40m정도를 비드할 의향이 있다고 한다. 하지만 도르트문트가 원하는 금액은 최소 €60m이고 레알은 이만큼을 투자할 생각은 없다고 하니 이적 가능성은 낮은편. * {{{#ffe600 '''[종료]'''}}} [[니코 슐츠]] : 적지 않은 이적료로 도르트문트에 왔음에도 2시즌동안 부진한 슐츠가 도르트문트의 판매 대상이라는 기사들이 꾸준히 나오고 있다. 다만 적지 않은 나이에 부진한 폼 때문에 팔더라도 만족할만한 금액이 나올지는 의문이다. ---- {{{+1 '''MF'''}}} * {{{#ffe600 '''[종료]'''}}} [[주드 벨링엄]] : 첼시 FC의 토마스 투헬 감독이 벨링엄을 강하게 원하고, 1,000억 이상을 투자할 것이라는 보도가 많이 나오고 있다. 하지만 영입한지 1년도 안된 선수이고 계약 기간도 많이 남았기 때문에 가능성은 낮은편. 90min의 보도에 따르면 구단에서는 그의 놀라운 성장세를 고려하여 임금을 높이고 재계약을 진행할 것으로 보인다. 계약연장옵션이 발동되어 계약이 2025년까지 연장되었다. 첼시는 여전히 벨링엄에게 관심을 가지고 있지만 장기적으로 생각하고 있다는 듯. * {{{#ffe600 '''[종료]'''}}} [[헤이니에르 제주스]] : [[레알 마드리드 CF]]와 선수 본인이 임대 첫 시즌 출전시간에 절망해 복귀를 희망하고 있다고 한다. 도르트문트 팬들도 헤이니에르의 복귀에 찬성하는 분위기지만 구단은 한 시즌 더 데리고 있기를 원한다고 한다. 결국 마르코 로제 밑에서 한 시즌 더 남아있는다는 보도가 나왔다. * {{{#ffe600 '''[방출 완료]'''}}} [[토마스 딜레이니]] : [[사우스햄튼 FC]]를 비롯한 다수의 프리미어 리그 팀들이 토마스 딜레이니를 노리고 있고 선수 본인도 프리미어 리그에서 뛰는 걸 원하고 있다고 한다. 하지만 이후 하젠휘틀이 직접 이를 부정하면서 이적설은 사그라든 상태이다. 하지만 여전히 도르트문트는 딜레이니와의 재계약 협상이 실패할 경우 약 €15m의 이적료로 판매할 것이며, 목적지는 프리미어 리그가 될 것이라고 한다. 이때까지 기사를 종합해봤을때 도르트문트의 태도는 괜찮은 제안이 오지 않는 이상 굳이 팔려고 하지 않겠다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최근 또다시 딜레이니를 크리스탈 팰리스, 사우스햄튼, 노리치에서 노리고 있으며 이적과 재계약은 딜레이니의 결정에 달려있다는 보도들이 나오고 있다. 이외에도 [[AS 로마]]의 무리뉴 감독이 [[그라니트 자카]] 대신 딜레이니를 노리고 있다는 소식도 보도되었다. 최근에는 [[세비야 FC]] 이적설도 나오며 이적료 부분에서 갈등있는 부분 외에는 대부분 합의가 되며 이적이 유력해 보인다. 결국 8월 26일에 [[세비야 FC]]와 합의가 이루어 지며 이적했다. ---- {{{+1 '''FW '''}}} * {{{#ffe600 '''[종료]'''}}} [[엘링 홀란]] : 도르트문트 측에서는 2021-22 시즌까지는 팀에 남기고자 하지만 에이전트가 [[미노 라이올라]]라 여러가지 변수가 나올 가능성이 높다. [[레알 마드리드 CF]], [[FC 바르셀로나]], [[첼시 FC]],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 [[맨체스터 시티 FC]]와 같은 메가클럽들과의 이적 링크가 상당히 짙어진 상황. 하지만 코로나로 인한 구단들의 재정 타격[* 그 돈많은 맨시티도 홀란보다 [[해리 케인]]과 같은 다른 선수를 알아보는 중. 이는 홈그로운과 케인이라는 공격수가 잉글랜드에서 갖는 상징성 또한 고려한 것으로 보인다.]으로 인하여 비싼 이적료를 지불하는데 큰 부담이 되고 도르트문트가 2021-22 시즌에도 챔피언스리그 본선에 진출하는데 성공하면서 잔류가 유력해 보인다. 구단 역시 다음 시즌 여름 이적시장 때 [[바이아웃]]으로 보내주는 한이 있더라도 이번 여름에는 판매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최근 첼시의 구단주 로만이 홀란 영입을 위해 2억 유로 이상을 투자할 의향이 있다는 보도가 나오고 있다. 하지만 얼마 안가 첼시 또한 홀란의 높은 이적료에 부담을 느껴 계획을 철회했다고 한다[* 사실 이적료를 빼놓고도 미노 라이올라와 부친 알프잉에 홀란에게 지불해야 하는 에이전트피가 무척 높기 때문일 수도 있다.]. * {{{#ffe600 '''[방출 완료]'''}}} [[제이든 산초]] :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가 지난 시즌에 이어 이번 시즌에도 강력하게 원하고 있다. 시즌이 끝나고 개인 합의는 이미 완료 되었다는 기사가 쏟아지는 중이다. 최근에는 퓰리식의 부진으로 [[첼시 FC]] 또한 산초 영입전에 뛰어들었다고 한다. 현재 도르트문트와 맨유의 이적료 협상이 막바지 단계에 이르렀다고 한다. 많은 보도에 따르면 산초의 이적료는 €85m + €10m[* 충족하기 쉬운 옵션]이 될 것이고 수시간내에 오피셜이 나올 것이라고 한다. 도르트문트에서 공시를 통해 이적 발표가 나왔다. 하지만 아직 선수가 유로에 참가중이기 때문에 오피셜은 나오지 않았다. 그리고 7월 23일 오피셜이 뜨며 공식적으로 이적하였다. * {{{#ffe600 '''[종료]'''}}} [[율리안 브란트]] : 작년부터 아스날과의 이적설이 꾸준히 나오고 있다. 구단 역시도 브란트가 기대 이하의 활약을 보이며 적절한 금액을 제시하면 판매를 고려할 예정이다. 현재 [[아스날 FC]] 이적설이 나오고 있다. [[마르틴 외데고르]]의 아스날 잔류여부에 따라 향방이 결정될 듯 하다. 외데고르의 레알 마드리드 복귀가 확정되었지만 2021년 6월 현재 아스날은 부엔디아와 그릴리시에 1순위를 두고 있는것으로 보인다. 최근에는 [[SS 라치오]]가 브란트의 컨설턴트와 이적에 대해 논의하고 있다는 보도가 나오고 있다. 최근 보도에 따르면 로제가 브란트를 플랜에 포함시키고 있다고 하며, 라치오와 아스날 또한 브란트에게 확신을 가지지 못한다고 한다. AC 밀란 또한 브란를 노린다는 기사들이 나왔으나 브란트와 초어크 단장이 인터뷰를 통해 잔류를 확정지었다. * {{{#ffe600 '''[종료]'''}}} [[슈테판 티게스]] : [[홀슈타인 킬]], [[1. FC 쾰른]]으로의 임대 이적설이 꾸준히 나왔으나 선수 본인이 잔류를 선택하였다. == 겨울 이적시장 == === 예상 === 여름 이적시장때 [[카림 아데예미]]를 영입하기 위해 이번 겨울은 영입 없이 방출 작업만 진행할 듯 하다. 특히 완전히 전력 외로 판정된 [[로만 뷔르키]]를 처분하는데 온 힘을 다할 것이다. === 이적설 === ==== 영입설 ==== {{{+1 '''MF'''}}} * {{{#ffe600 '''[영입 실패]'''}}} [[데니스 자카리아]] : 노쇠화로 폼이 완전히 떨어진 [[악셀 비첼]]을 대체할 선수로 자카리아가 꾸준히 언급되었다. 도르트문트 팬덤 내에서도 자카리아에 우호적인 반응이 많았으나 결국 유벤투스로 이적하며 영입 실패. ==== 방출설 ==== {{{+1 '''GK'''}}} * {{{#ffe600 '''[종료]'''}}} [[로만 뷔르키]] : 주전 골키퍼 [[페르난도 무슬레라]]가 부상당한 [[갈라타사라이 SK]]와 이적설이 나오고 있다. 갈라타사라이 구단주가 직접 컨펌한만큼 이적은 확실해 보인다. 허나 뷔르키가 거부하며 무산. 리그 1 이적설도 있었지만 이 역시 시간 부족으로 무산. ---- {{{+1 '''MF'''}}} * {{{#ffe600 '''[방출 완료]'''}}} [[토비아스 라슐]] : 좀처럼 출전 기회를 잡지 못하던 라슐이 현재 강등권 탈출이 절실한 [[SpVgg 그로이터 퓌르트]]로 이적하였다. ---- {{{+1 '''FW'''}}} * {{{#ffe600 '''[방출 완료]'''}}} [[안스가르 크나우프]] : 정기적인 1군 출전이 필요하다 판단하여 [[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로 1년 반 임대를 보냈다. === 영입 === ||<-5>
'''{{{#000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2021-22 시즌 겨울 이적시장 영입 선수 명단}}}''' || || '''{{{#ffe600 이적 구단 }}}''' || '''{{{#ffe600 이름}}}''' || '''{{{#ffe600 포지션}}}''' || '''{{{#ffe600 국적}}}''' || '''{{{#ffe600 이적료}}}''' || === 방출 === ||<-5>
'''{{{#000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2021-22 시즌 겨울 이적시장 방출 선수 명단}}}''' || ||<-5>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ffe600 이적 구단}}}''' || '''{{{#ffe600 이름}}}''' || '''{{{#ffe600 포지션}}}''' || '''{{{#ffe600 국적}}}''' || '''{{{#ffe600 이적료}}}''' || || [[SpVgg 그로이터 퓌르트]] || [[토비아스 라슐]] || MF || [[파일:독일 국기.svg|width=30]][br][[독일]] || €100k || || [[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 || [[안스가르 크나우프]] || FW || [[파일:독일 국기.svg|width=30]][br][[독일]] || 임대[* 1년 반 임대] ||}}} || === 오피셜 === * [[2022년]] [[1월 22일]] [[안스가르 크나우프]]가 2024년까지 재계약한 후 2022-23 시즌까지 [[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로 임대 이적하였다. * [[2022년]] [[1월 31일]] [[토비아스 라슐]]이 [[SpVgg 그로이터 퓌르트]]로 이적하였다. ==# 프리시즌 #== === VS [[아틀레틱 클루브]] (중립, 0:2 패) === ||<-3> [[파일:보루시아 도르트문트 로고.svg|height=50]][br]'''{{{#000 2021 친선경기[br]2021년 7월 24일 토요일 23:00(KST)}}}''' || ||<-3> '''{{{#000 AFG 아레나}}} {{{#000 (스위스, 갈렌)}}}''' || ||<-3> '''{{{#000 주심: 스벤 볼펜스베르거}}}''' || ||<-3> '''{{{#000 관중: 3,527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000 15%, #ffe600 15%)" [[파일:보루시아 도르트문트 로고.svg|height=100]]}}} ||<|2> '''{{{#000 {{{+5 0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ffff 10%, #e0092c 10%, #e0092c 35%, #ffffff 35%, #ffffff 65%, #e0092c 65%, #e0092c 90%, #ffffff 90%)" [[파일:아틀레틱 클루브 로고.svg|height=100]]}}} || ||<:>'''{{{#EAEF5F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e0092c 아틀레틱 클루브 }}}''' || || '''{{{#000 -}}}''' || [[파일:득점 아이콘.svg|height=20]] || '''-''' || ||<-3><:>'''[[https://youtu.be/xUkSSbRFLp0?si=AZCXm9BUkWQZ-EgY|{{{#000 경기 하이라이트}}}]] | [[https://www.bvb.de/eng/News/Overview/BVB-lose-2-0-to-Athletic-Bilbao|{{{#000 매치 리포트}}}]]'''|| === VS [[볼로냐 FC 1909|볼로냐]] (중립, 3:0 승) === ||<-3> [[파일:보루시아 도르트문트 로고.svg|height=50]][br]'''{{{#000 2021 친선경기[br]2021년 7월 31일 토요일 02:30(KST)}}}''' || ||<-3> '''{{{#000 캐시포인트 아레나}}} {{{#000 (오스트리아, 알타흐)}}}''' || ||<-3> '''{{{#000 주심: 도미니크 우샨}}}''' || ||<-3> '''{{{#000 관중: 5,978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000 15%, #ffe600 15%)" [[파일:보루시아 도르트문트 로고.svg|height=100]]}}} ||<|2> '''{{{#000 {{{+5 3 : 0}}}}}}''' ||<:> [[파일:볼로냐 FC 1909 엠블럼.svg|height=100]] || ||<:>'''{{{#EAEF5F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fff 볼로냐 FC 1909}}}''' || || '''{{{#000 24' [[지오바니 레이나]][br] 42' [[토마스 딜레이니]][br] 45' [[슈테펜 티게스]]}}}''' || [[파일:득점 아이콘.svg|height=20]] || '''-''' || ||<-3><:>'''[[https://youtu.be/ZHVZkPqFvKc?si=K-d3DM63TQ23AHSv|{{{#000 경기 하이라이트}}}]] | [[https://www.bvb.de/eng/News/Overview/Three-goals-in-the-first-half-BVB-beat-Bologna|{{{#000 매치 리포트}}}]]'''|| === VS [[디나모 키이우]] (홈, 2:3 패) === ||<-3> [[파일:보루시아 도르트문트 로고.svg|height=50]][br]'''{{{#000 평화를 위한 글로벌 투어[br]2022년 4월 27일 화요일 02:00(KST)}}}''' || ||<-3> '''{{{#000 지그날 이두나 파크}}} {{{#000 (도르트문트)}}}''' || ||<-3> '''{{{#000 주심: 데니스 슈르만}}}''' || ||<-3> '''{{{#000 관중: 35,000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000 15%, #ffe600 15%)" [[파일:보루시아 도르트문트 로고.svg|height=100]]}}} ||<|2> '''{{{#000 {{{+5 2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FFF 5%, transparent 100%), linear-gradient(40deg, #4a8ddc , #FFF 7.5%, #4a8ddc 7.5%, #FFF 24.5%, #4a8ddc 24.5%, #FFF 41.5%, #4a8ddc 41.5%, #FFF 58.5%, #4a8ddc 58.5%, #FFF 75.5%, #4a8ddc 75.5%, #FFF 92.5%, #4a8ddc 92.5%, #FFF)" [[파일:FC 디나모 키이우 로고.svg|height=100]]}}} || ||<:>'''{{{#EAEF5F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 '''{{{#034694 디나모 키이우}}}''' || || '''{{{#000 -}}}''' || [[파일:득점 아이콘.svg|height=20]] || '''-''' || ||<-3><:>'''[[https://youtu.be/Ye3mg0cPTa8?si=3iZiNMSfiRSPW7QW|{{{#000 경기 하이라이트}}}]] | [[https://www.bvb.de/eng/News/Overview/Dynamo-Kyiv-win-entertaining-charity-match-against-BVB|{{{#000 매치 리포트}}}]]'''|| == [[파일:DFL-슈퍼컵 로고.svg|width=50]] [[DFL-슈퍼컵]] == === vs [[FC 바이에른 뮌헨]] ([[지그날 이두나 파크]]) (홈, 1:3 패) === ||<-3> [[DFL-슈퍼컵|[[파일:DFL-슈퍼컵 로고.svg|height=50]]]][br]'''[[DFL-슈퍼컵|{{{#000000 2021 DFL-SUPERCUP}}}]][br]{{{#000000 2021년 8월 18일 수요일 03:30(UTC+9)}}}''' || ||<-3> '''{{{#000000 [[지그날 이두나 파크|{{{#000000 지그날 이두나 파크}}}]] ([[도르트문트|{{{#000 도르트문트}}}]])}}}''' || ||<-3> '''{{{#000 주심: [[자샤 슈테게만|{{{#000 자샤 슈테게만}}}]]}}}''' || ||<-3> '''{{{#000000 관중: 24,742명}}}'''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000 5%, #ffe600 5%)" [[파일:보루시아 도르트문트 로고.svg|height=150]]}}} ||<|4> [[파일:DFL-슈퍼컵 로고.svg|height=250]]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top, #F2F3F8 10%, #677894 10%, #677894 15%, #F2F3F8 15%, #F2F3F8 25%, #677894 25%, #677894 35%, #F2F3F8 35%, #F2F3F8 45%, #677894 45%, #677894 50%, #F2F3F8 50%, #F2F3F8 60%, #677894 60%, #677894 65%, #F2F3F8 65%, #F2F3F8 75%, #677894 75%, #677894 80%, #F2F3F8 80%, #F2F3F8 90%, #FF4D4D 90%, #FF4D4D 95%, #F2F3F8 95%)" [[파일:FC 바이에른 뮌헨 로고_red.svg|height=150]]}}} || ||<:> '''{{{#ffe500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 '''{{{#FF4D4D FC 바이에른 뮌헨}}}''' || || '''{{{#FFF {{{+5 1 }}}}}}''' || '''{{{#FFF {{{+5 3 }}}}}}''' || ||<:>'''64' [[마르코 로이스]][br] (A. [[주드 벨링엄]])'''||<:>'''41' [[로베르트 레반도프스키]][br] (A. [[세르주 그나브리]]) [br] 49' [[토마스 뮐러]] [br] 74' [[로베르트 레반도프스키]][br] (A. [[코랑탱 톨리소]])'''|| ||<-3> '''{{{#ffffff [[https://youtu.be/1Ry_LCNFi7U|{{{#d71c27 경기 하이라이트}}}]]}}}''' || ||<-3> '''{{{#d71c27 Man of the Match : [[로베르트 레반도프스키|{{{#d71c27 로베르트 레반도프스키}}}]]}}}''' || ||<:><-12>
'''{{{#000000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포메이션 (4-3-1-2)}}}'''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4> LS [br] [[유수파 무코코]] [br] (58' [[도니얼 말런]]) ||<:><-4> RS [br] [[엘링 홀란]] || ||<:><-12> CAM [br] [[마르코 로이스]] [[파일:captainarmband3.png|width=25]] [[파일:경고 카드 아이콘.svg|height=15px]] || ||<:><-3> LCM [br] [[조반니 레이나]] [br] (78' [[마르코 파샬리치]]) ||<:><-3> CM [br] [[마흐무드 다후드]] [[파일:경고 카드 아이콘.svg|height=15px]] ||<:><-3> RCM [br] [[주드 벨링엄]] [br] (84' [[헤이니에르 제주스]]) || ||<:><-2> LB [br] [[니코 슐츠]] ||<:><-2> LCB [br] [[마누엘 아칸지]] ||<:><-2> RCB [br] [[악셀 비첼]] ||<:><-2> RB [br] [[펠릭스 파슬라크]] [br] (84' [[마리우스 볼프]]) || ||<:><-12> GK [br] [[그레고어 코벨]] || ||<-12>
'''{{{#000000 교체 명단}}}''' || || GK || [[마르빈 히츠]] || || DF || || || MF || [[토마스 딜레이니]] [br] [[헤이니에르 제주스]] [br] [[마르코 파샬리치]] [br] [[안토니오스 파파도풀로스]] || || FW || [[도니얼 말런]] [br] [[슈테펜 티게스]] [br] [[안스가르 크나우프]] [br] [[마리우스 볼프]] || }}} || 핵심 수비수인 [[마츠 후멜스]]의 부재가 매우 컸다. 후멜스를 대신해서 4백의 중심이 되어야 하는 [[마누엘 아칸지]]가 치명적인 실수를 만들면서 패배에 크게 일조했다. 그리고 [[펠릭스 파슬라크]]는 3경기 동안 모두 최악의 활약을 펼치며 도르트문트의 우측 풀백 문제를 계속 이어가게 만들었다. 이로인해 3년만의 슈퍼컵 탈환은 실패로 돌아갔다. 그래도 위안을 삼을 부분은 [[마르코 로이스]]가 최근 좋은 모습을 계속 보여준다는 점이다. [[엘링 홀란]]의 경우 뮌헨의 센터백 [[다요 우파메카노]]를 상대로 공중볼 경합을 비롯한 맞대결에서 압도적인 패배를 당해 아쉬운 모습을 보여줬다. == [[파일:분데스리가 로고.svg|width=50]] [[보루시아 도르트문트/2021-22 시즌/리그|분데스리가]] == [include(틀:다른 뜻1, other1=자세한 내용, rd1=보루시아 도르트문트/2021-22 시즌/리그)] == [[파일:UEFA 챔피언스 리그 엠블럼.svg|width=50]] [[UEFA 챔피언스 리그/2021-22 시즌|UEFA 챔피언스 리그]] == ||<-8><:>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00CED1, #00008B 20%, #00008B 80%, #9400D3)" [[UEFA 챔피언스 리그/2021-22 시즌|[[파일:UEFA 챔피언스 리그 로고 화이트.svg|height=50]]]][br],,'''[[틀:UEFA 챔피언스 리그/C조|{{{#fff 2021-22 UEFA 챔피언스 리그 C조}}}]]''',,}}} || ||<:> [[파일:스포르팅 CP 로고.svg|width=50]] ||<:> [[스포르팅 CP|스포르팅]][br]{{{#000,#fff (Sporting)}}} ||<:> [[파일:보루시아 도르트문트 로고.svg|width=50]] ||<:> [[보루시아 도르트문트|도르트문트]][br]{{{#000,#fff (Dortmund)}}} ||<:> [[파일:AFC 아약스 로고.svg|width=50]] ||<:> [[AFC 아약스|아약스]][br]{{{#000,#fff (Ajax)}}} ||<:> [[파일:베식타스 JK 로고.svg|width=50]] ||<:> [[베식타스 JK|베식타스]][br]{{{#000,#fff (Beşiktaş)}}} || === 조별리그 === ||<-11>
[[파일:UEFA 챔피언스 리그 엠블럼.svg|height=60]][br]'''{{{#000 2021-22 UEFA 챔피언스 리그 C조}}}''' || ||<-2> {{{#fff '''팀'''}}} || {{{#fff '''경기 수'''}}} || {{{#fff '''승'''}}} || {{{#fff '''무'''}}} || {{{#fff '''패'''}}} || {{{#fff '''득점'''}}} || {{{#fff '''실점'''}}} || {{{#fff '''득실차'''}}} || {{{#fff '''승점'''}}} || {{{#fff '''순위'''}}} || || [[파일:AFC 아약스 로고.svg|height=40]] || '''[[AFC 아약스|{{{#000 AFC 아약스}}}]]''' || {{{#000 6}}} || {{{#000 6}}} || {{{#000 0}}} || {{{#000 0}}} || {{{#000 20}}} || {{{#000 5}}} || {{{#000 +15}}} || '''{{{#000 18}}}''' || {{{+3 {{{#fff '''1위'''}}}}}} || || [[파일:스포르팅 CP 로고.svg|height=40]] || '''[[스포르팅 CP|{{{#000 스포르팅 CP}}}]]''' || {{{#000 6}}} || {{{#000 3}}} || {{{#000 0}}} || {{{#000 3}}} || {{{#000 14}}} || {{{#000 12}}} || {{{#000 +2}}} || '''{{{#000 9}}}''' || {{{+3 {{{#fff '''2위'''}}}}}} || || [[파일:보루시아 도르트문트 로고.svg|height=40]] || '''[[보루시아 도르트문트|{{{#000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 {{{#000 6}}} || {{{#000 3}}} || {{{#000 0}}} || {{{#000 3}}} || {{{#000 10}}} || {{{#000 11}}} || {{{#000 -1}}} || '''{{{#000 9}}}''' || {{{+3 {{{#ff8c00 '''3위'''}}}}}} || || [[파일:베식타스 JK 로고.svg|height=40]] || '''[[베식타스 JK|{{{#000 베식타스 JK}}}]]''' || {{{#000 6}}} || {{{#000 0}}} || {{{#000 0}}} || {{{#000 6}}} || {{{#000 3}}} || {{{#000 19}}} || {{{#000 -16}}} || '''{{{#000 0}}}''' || {{{+3 {{{#fff '''4위'''}}}}}} || ||<-11> {{{#8e8 '''■'''}}} 16강 진출 | {{{#ff8c00 '''■'''}}} UEL 16강 PO 진출 | {{{#fbb '''■'''}}} 탈락 || ==== 1차전 vs [[베식타스 JK]] ([[보다폰 파크|베식타스 파크]]) (원정, 1:2 승)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00CED1, #00008B 20%, #00008B 80%, #9400D3)" [[UEFA 챔피언스 리그|[[파일:UEFA 챔피언스 리그 로고 화이트.svg|height=50]]]][br]'''{{{#FFF 2021-22 UEFA 챔피언스리그 조별리그 C조 1차전[br]2021년 9월 16일 목요일 01:45(UTC+9)}}}'''}}} || ||<-3> '''[[보다폰 파크|{{{#00008B 베식타스 파크}}}]] [[이스탄불|{{{#00008B (이스탄불)}}}]]''' || ||<-3> '''{{{#00008B 주심: [[안토니오 마테우 라호즈|{{{#00008B 안토니오 마테우 라호즈}}}]]}}}''' || ||<-3> '''{{{#00008B 관중: 22,445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f 40%, #000 40%, #000 50%, #FE4739 50%, #FE4739 60%, #fff 60%)" [[파일:베식타스 JK 로고.svg|height=100]]}}} ||<|2> '''{{{#00008B {{{+5 1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EAEF5F 20%, #000 20%, #000 22%, #EAEF5F 22%, #EAEF5F 38%, #000 38%, #000 40%, #EAEF5F 40%)" [[파일:보루시아 도르트문트 로고.svg|height=100]]}}}|| ||<:>'''{{{#000 베식타스 JK}}}''' || '''{{{#EAEF5F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 || '''90+4' [[프란시스코 몬테로]] (A. [[미랄렘 퍄니치]])''' || [[파일:득점 아이콘.svg|height=20]] || '''20' [[주드 벨링엄]] (A. [[토마 뫼니에]]) [br] 45+3' [[엘링 홀란]] (A. [[주드 벨링엄]])''' || ||<-3><:>'''[[https://youtu.be/UP_MfnP5OGg|{{{#00008B 경기 하이라이트}}}]] | [[https://www.uefa.com/uefachampionsleague/match/2032693--besiktas-vs-dortmund/statistics/?iv=true|{{{#00008B 매치 리포트}}}]]'''|| ||<-3><:>'''{{{#FFF Player of the Match: [[주드 벨링엄|{{{#FFF 주드 벨링엄}}}]]}}}'''|| ||<:><-12>
'''{{{#000000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포메이션 (4-3-1-2)}}}'''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4> LS [br] [[도니얼 말런]] [br] (70' [[유수파 무코코]]) ||<:><-4> RS [br] [[엘링 홀란]] [br] (86' [[안스가르 크나우프]]) || ||<:><-12> CAM [br] [[마르코 로이스]] [[파일:captainarmband3.png|width=25]] || ||<:><-3> LCM [br] [[율리안 브란트]] [br] (46' [[악셀 비첼]]) ||<:><-3> CM [br] [[마흐무드 다후드]] ||<:><-3> RCM [br] [[주드 벨링엄]] [br] (69' [[마리우스 볼프]]) || ||<:><-2> LB [br] [[니코 슐츠]] ||<:><-2> LCB [br] [[마누엘 아칸지]] ||<:><-2> RCB [br] [[마츠 후멜스]] [br] (70' [[마린 폰그라치치]]) ||<:><-2> RB [br] [[토마 뫼니에]] [[파일:경고 카드 아이콘.svg|height=15px]] || ||<:><-12> GK [br] [[그레고어 코벨]] || ||<-12>
'''{{{#000000 교체 명단}}}''' || || GK || [[루카 운베하운]] [br] [[마르빈 히츠]] || || DF || [[마린 폰그라치치]] [br] [[펠릭스 파슬라크]] || || MF || [[헤이니에르 제주스]] [br] [[악셀 비첼]] || || FW || [[유수파 무코코]] [br] [[마리우스 볼프]] [br] [[안스가르 크나우프]] || }}} || 경기 종료시까지 수비 불안을 보여주며 베식타스에게 추격골을 허용하였으나 끝까지 리드를 지켜내며 터키 원정에서 소중한 승점 3점을 가져왔다. ==== 2차전 vs [[스포르팅 CP]] ([[지그날 이두나 파크|BVB 스타디온 도르트문트]]) (홈, 1:0 승)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00CED1, #00008B 20%, #00008B 80%, #9400D3)" [[UEFA 챔피언스 리그|[[파일:UEFA 챔피언스 리그 로고 화이트.svg|height=50]]]][br]'''{{{#FFF 2021-22 UEFA 챔피언스리그 조별리그 C조 2차전[br]2021년 9월 29일 수요일 04:00(UTC+9)}}}'''}}} || ||<-3> '''[[지그날 이두나 파크|{{{#00008B BVB 스타디온 도르트문트}}}]] [[도르트문트|{{{#00008B (도르트문트)}}}]]''' || ||<-3> '''{{{#00008B 주심: 스르잔 요바노비치}}}''' || ||<-3> '''{{{#00008B 관중: 25,000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EAEF5F 20%, #000 20%, #000 22%, #EAEF5F 22%, #EAEF5F 38%, #000 38%, #000 40%, #EAEF5F 40%)" [[파일:보루시아 도르트문트 로고.svg|height=100]]}}}||<|2> '''{{{#00008B {{{+5 1 : 0}}}}}}'''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01AE62 3%, #fff 3%, #fff 5%, #01AE62 5%, #01AE62 15%, #fff 15%, #fff 17%, #01AE62 17%, #01AE62 20%, #fff 20%, #fff 40%, #01AE62 40%, #01AE62 43%, #fff 43%, #fff 45%, #01AE62 45%, #01AE62 55%, #fff 55%, #fff 57%, #01AE62 57%, #01AE62 60%, #fff 60%, #fff 80%, #01AE62 80%, #01AE62 83%, #fff 83%, #fff 85%, #01AE62 85%, #01AE62 95%, #fff 95%, #fff 97%,#01AE62 97%)" [[파일:스포르팅 CP 로고.svg|height=100]]}}} || ||<:>'''{{{#EAEF5F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 '''{{{#000 스포르팅 CP}}}''' || || '''37' [[도니얼 말런]] (A. [[주드 벨링엄]])''' || [[파일:득점 아이콘.svg|height=20]] || '''-''' || ||<-3><:>'''[[https://www.youtube.com/watch?v=FH8rTY-gPlU|{{{#00008B 경기 하이라이트}}}]] | [[https://www.uefa.com/uefachampionsleague/match/2032724--dortmund-vs-sporting-cp/statistics/?iv=true|{{{#00008B 매치 리포트}}}]]'''|| ||<-3><:>'''{{{#FFF Player of the Match: [[도니얼 말런|{{{#FFF 도니얼 말런}}}]]}}}'''|| ||<:><-12>
'''{{{#000000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포메이션 (4-3-3)}}}'''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4> LW [br] [[마르코 로이스]] [[파일:captainarmband3.png|width=25]] ||<:><-4> ST [br] [[도니얼 말런]] [br] (75' [[헤이니에르 제주스]]) ||<:><-4> RW [br] [[토르간 아자르]] [br] (71' [[마리우스 볼프]]) || ||<:><-4> LCM [br] [[마흐무드 다후드]] [br] (8' [[율리안 브란트]]) ||<:><-4> CM [br] [[악셀 비첼]] ||<:><-4> RCM [br] [[주드 벨링엄]] [[파일:경고 카드 아이콘.svg|height=15px]] || ||<:><-3> LB [br] [[라파엘 게헤이루]] [br] (75' [[니코 슐츠]]) ||<:><-3> LCB [br] [[마츠 후멜스]] [[파일:경고 카드 아이콘.svg|height=15px]] ||<:><-3> RCB [br] [[마누엘 아칸지]] ||<:><-3> RB [br] [[토마 뫼니에]] || ||<:><-12> GK [br] [[그레고어 코벨]] || ||<:><-12>
'''{{{#000000 교체 명단}}}''' || || GK || [[루카 운베하운]] [br] [[마르빈 히츠]] || || DF || [[니코 슐츠]] [br] [[펠릭스 파슬라크]] [br] [[마린 폰그라치치]] || || MF || [[율리안 브란트]] [br] [[헤이니에르 제주스]] || || FW || [[유수파 무코코]] [br] [[안스가르 크나우프]] [br] [[마리우스 볼프]] || }}}|| 팀 공격의 핵심인 [[엘링 홀란]]이 지난 묀헨과의 경기에 이어 이번 경기까지 부상의 여파로 나서지 못하게 되었다. 전반 37분 [[도니얼 말런]]이 도르트문트 입단 이후 첫 골을 넣었고 이 골이 결승골이 되며 1대0 승리를 거두었다. 한편 이 경기는 올 시즌 처음으로 1부리그 팀들과의 대결에서 거둔 클린시트다. 중원의 핵심으로 급부상한 [[마흐무드 다후드]]가 부상으로 전반 시작한지 얼마지나지 않아 교체된 부분은 우려되는 점으로 남게 되었다. ==== 3차전 vs [[AFC 아약스]] ([[요한 크루이프 아레나]]) (원정, 4:0 패)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00CED1, #00008B 20%, #00008B 80%, #9400D3)" [[UEFA 챔피언스 리그|[[파일:UEFA 챔피언스 리그 로고 화이트.svg|height=50]]]][br]'''{{{#FFF 2021-22 UEFA 챔피언스리그 조별리그 C조 3차전[br]2021년 10월 20일 수요일 04:00(UTC+9)}}}'''}}} || ||<-3> '''[[요한 크루이프 아레나|{{{#00008B 요한 크루이프 아레나}}}]] [[암스테르담|{{{#00008B (암스테르담)}}}]]''' || ||<-3> '''{{{#00008B 주심: 헤수스 힐 만사노}}}''' || ||<-3> '''{{{#00008B 관중: 54,029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f 20%, #BD1814 20%, #BD1814 80%, #fff 80%)" [[파일:AFC 아약스 로고.svg|height=100]]}}} ||<|2> '''{{{#00008B {{{+5 4 : 0}}}}}}'''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EAEF5F 20%, #000 20%, #000 22%, #EAEF5F 22%, #EAEF5F 38%, #000 38%, #000 40%, #EAEF5F 40%)" [[파일:보루시아 도르트문트 로고.svg|height=100]]}}}|| ||<:>'''{{{#BD1814 AFC 아약스}}}''' || '''{{{#EAEF5F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 || '''11' [[마르코 로이스]] (O.G)[br] 25' [[데일리 블린트]] (A. [[세바스티앵 알레]]) [br] 57' [[안토니(2000)|안토니]] (A. [[세바스티앵 알레]]) [br] 72' [[세바스티앵 알레]] (A. [[데일리 블린트]])''' || [[파일:득점 아이콘.svg|height=20]] || '''-''' || ||<-3><:>'''[[https://youtu.be/X5zQ1a6anm4|{{{#00008B 경기 하이라이트}}}]] | [[https://www.uefa.com/uefachampionsleague/match/2032716--ajax-vs-dortmund/statistics/?iv=true&iv=true|{{{#00008B 매치 리포트}}}]]'''|| ||<-3><:>'''{{{#FFF Player of the Match: [[데일리 블린트|{{{#FFF 데일리 블린트}}}]]}}}'''|| ||<:><-12>
'''{{{#000000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포메이션 (4-3-3)}}}'''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4> LW [br] [[도니얼 말런]] [br] (53' [[토르간 아자르]]) ||<:><-4> ST [br] [[엘링 홀란]] ||<:><-4> RW [br] [[마르코 로이스]] [[파일:captainarmband3.png|width=25]] || ||<:><-4> LCM [br] [[율리안 브란트]] [br] (88' [[안스가르 크나우프]]) ||<:><-4> CM [br] [[악셀 비첼]] [[파일:경고 카드 아이콘.svg|height=15px]] ||<:><-4> RCM [br] [[주드 벨링엄]] || ||<:><-3> LB [br] [[니코 슐츠]] [br] (46' [[엠레 잔]]) ||<:><-3> LCB [br] [[마츠 후멜스]] [br] (79' [[마린 폰그라치치]]) ||<:><-3> RCB [br] [[마누엘 아칸지]] ||<:><-3> RB [br] [[토마 뫼니에]] [br] (79' [[마리우스 볼프]]) || ||<:><-12> GK [br] [[그레고어 코벨]] || ||<:><-12>
'''{{{#000000 교체 명단}}}''' || || GK || [[루카 운베하운]] [br] [[마르빈 히츠]] || || DF || [[단악셀 자가두]] [br] [[펠릭스 파슬라크]] [br] [[마린 폰그라치치]] || || MF || [[헤이니에르 제주스]] [br] [[엠레 잔]] || || FW || [[토르강 아자르]] [br] [[슈테펜 티게스]] [br] [[안스가르 크나우프]] [br] [[마리우스 볼프]] || }}}|| [[단악셀 자가두]]가 드디어 장기 부상에서 회복되어 이번 시즌 처음으로 소집되었다. 경기력에서 밀리는 모습을 보여주더니 결국 네덜란드 원정에서 4:0으로 대패를 당했다. ==== 4차전 vs [[AFC 아약스]] ([[지그날 이두나 파크|BVB 스타디온 도르트문트]]) (홈, 1:3 패)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00CED1, #00008B 20%, #00008B 80%, #9400D3)" [[UEFA 챔피언스 리그|[[파일:UEFA 챔피언스 리그 로고 화이트.svg|height=50]]]][br]'''{{{#FFF 2021-22 UEFA 챔피언스리그 조별리그 C조 4차전[br]2021년 11월 4일 목요일 05:00(UTC+9)}}}'''}}} || ||<-3> '''[[지그날 이두나 파크|{{{#00008B BVB 스타디온 도르트문트}}}]] [[도르트문트|{{{#00008B (도르트문트)}}}]]''' || ||<-3> '''{{{#00008B 주심: [[마이클 올리버|{{{#00008B 마이클 올리버}}}]]}}}''' || ||<-3> '''{{{#00008B 관중: 54,820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EAEF5F 20%, #000 20%, #000 22%, #EAEF5F 22%, #EAEF5F 38%, #000 38%, #000 40%, #EAEF5F 40%)" [[파일:보루시아 도르트문트 로고.svg|height=100]]}}}||<|2> '''{{{#00008B {{{+5 1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f 20%, #BD1814 20%, #BD1814 80%, #fff 80%)" [[파일:AFC 아약스 로고.svg|height=100]]}}} || ||<:>'''{{{#EAEF5F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 '''{{{#BD1814 AFC 아약스}}}''' || || '''37' [[마르코 로이스]] (PK)''' || [[파일:득점 아이콘.svg|height=20]] || '''72' [[두샨 타디치]] [br] 83' [[세바스티앵 알레]] (A. [[안토니(2000)|안토니]]) [br] 90+3' [[데이비 클라선]] (A. [[안토니(2000)|안토니]])''' || ||<:>'''29' [[마츠 후멜스]]'''||<:>[[레드 카드|[[파일:퇴장 카드 아이콘.svg|height=20px]]]]||<:> || ||<-3><:>'''[[|{{{#00008B 경기 하이라이트}}}]] | [[http://naver.me/xJNPrgRE|{{{#00008B 매치 리포트}}}]]'''|| ||<-3><:>'''{{{#FFF Player of the Match: [[안토니(2000)|{{{#FFF 안토니}}}]]}}}'''|| ||<:><-12>
'''{{{#000000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포메이션 (4-3-3)}}}'''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4> LW [br] [[마르코 로이스]] [[파일:captainarmband3.png|width=25]] [br] (76' [[안스가르 크나우프]] [[파일:경고 카드 아이콘.svg|height=15px]]) ||<:><-4> ST [br] [[슈테펜 티게스]] [br] (76' [[도니얼 말런]]) ||<:><-4> RW [br] [[토르간 아자르]] [br] (34' [[마린 폰그라치치]]) || ||<:><-4> LCM [br] [[율리안 브란트]] ||<:><-4> CM [br] [[악셀 비첼]] ||<:><-4> RCM [br] [[주드 벨링엄]] || ||<:><-3> LB [br] [[마리우스 볼프]] [br] (58' [[펠릭스 파슬라크]]) ||<:><-3> LCB [br] [[마츠 후멜스]] [[파일:퇴장 카드 아이콘.svg|height=15px]] ||<:><-3> RCB [br] [[마누엘 아칸지]] ||<:><-3> RB [br] [[토마 뫼니에]] || ||<:><-12> GK [br] [[그레고어 코벨]] || ||<:><-12>
'''{{{#000000 교체 명단}}}''' || || GK || [[마르빈 히츠]] || || DF || [[단악셀 자가두]] [br] [[펠릭스 파슬라크]] [br] [[마린 폰그라치치]] || || MF || [[헤이니에르 제주스]] [br] [[토비아스 라슐]] || || FW || [[유수파 무코코]] [br] [[도니얼 말런]] [br] [[안스가르 크나우프]] || }}}|| 전반 29분 마츠 훔멜스의 퇴장으로 수적 열세에 놓였으나 37분에 마르코 로이스가 페널티킥을 성공시키며 선제골을 기록했다. 하지만 후반전에 결국 수적 열세를 극복해내지 못하고 후반 27분부터 타디치와 알레, 클라센의 연속골로 1-3 패배를 당했다. 같은 시각에 스포르팅이 베식타스 2연전에서 모두 완승을 거두면서 사실상 스포르팅과의 5차전 맞대결 결과에 따라 16강 진출 향방이 갈릴 것으로 예상된다. ==== 5차전 vs [[스포르팅 CP]] ([[이스타디우 주제 알발라드]]) (원정, 3:1 패)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00CED1, #00008B 20%, #00008B 80%, #9400D3)" [[UEFA 챔피언스 리그|[[파일:UEFA 챔피언스 리그 로고 화이트.svg|height=50]]]][br]'''{{{#FFF 2021-22 UEFA 챔피언스리그 조별리그 C조 5차전[br]2021년 11월 25일 목요일 05:00(UTC+9)}}}'''}}} || ||<-3> '''[[이스타디우 주제 알발라드|{{{#00008B 이스타디우 주제 알발라드}}}]] [[리스본|{{{#00008B (리스본)}}}]]''' || ||<-3> '''{{{#00008B 주심: 카를로스 델 세로 그란데}}}''' || ||<-3> '''{{{#00008B 관중: 41,341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01AE62 3%, #fff 3%, #fff 5%, #01AE62 5%, #01AE62 15%, #fff 15%, #fff 17%, #01AE62 17%, #01AE62 20%, #fff 20%, #fff 40%, #01AE62 40%, #01AE62 43%, #fff 43%, #fff 45%, #01AE62 45%, #01AE62 55%, #fff 55%, #fff 57%, #01AE62 57%, #01AE62 60%, #fff 60%, #fff 80%, #01AE62 80%, #01AE62 83%, #fff 83%, #fff 85%, #01AE62 85%, #01AE62 95%, #fff 95%, #fff 97%,#01AE62 97%)" [[파일:스포르팅 CP 로고.svg|height=100]]}}} ||<|2> '''{{{#00008B {{{+5 3 : 1}}}}}}'''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EAEF5F 20%, #000 20%, #000 22%, #EAEF5F 22%, #EAEF5F 38%, #000 38%, #000 40%, #EAEF5F 40%)" [[파일:보루시아 도르트문트 로고.svg|height=100]]}}}|| ||<:>'''{{{#FFF 스포르팅 CP}}}''' || '''{{{#000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 || '''30' [[페드루 곤살베스]] [br]39' [[페드루 곤살베스]][br] 81' [[페드로 포로]] (A. [[페드루 곤살베스]])''' || [[파일:득점 아이콘.svg|height=20]] || '''90+3' [[도니얼 말런]] (A. [[마르코 로이스]])''' || ||<:> ||<:>[[레드 카드|[[파일:퇴장 카드 아이콘.svg|height=20px]]]]||<:>'''74' [[엠레 잔]]'''|| ||<-3><:>'''[[https://www.youtube.com/watch?v=tSjNoqJ54ZQ|{{{#00008B 경기 하이라이트}}}]] | [[https://www.uefa.com/uefachampionsleague/match/2032668--sporting-cp-vs-dortmund/statistics/?iv=true|{{{#00008B 매치 리포트}}}]]'''|| ||<-3><:>'''{{{#FFF Player of the Match: [[페드루 곤살베스|{{{#FFF 페드루 곤살베스}}}]]}}}'''|| ||<-12>
'''{{{#000000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포메이션 (4-2-3-1)}}}'''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12> ST [br] [[도니얼 말런]] || ||<-4> LM [br] [[마르코 로이스]] [[파일:captainarmband3.png|width=25]] ||<-4> CAM [br] [[헤이니에르 제주스]] [br] (69' [[단악셀 자가두]]) ||<-4> RM [br] [[율리안 브란트]] || ||<-6> LDM [br] [[악셀 비첼]] [br] (66' [[마흐무드 다후드]]) ||<-6> RDM [br] [[주드 벨링엄]] || ||<-3> LB [br] [[니코 슐츠]] [br] (46' [[엠레 잔]] [[파일:퇴장 카드 아이콘.svg|height=20px]]) ||<-3> LCB [br] [[마누엘 아칸지]] ||<-3> RCB [br] [[마린 폰그라치치]] [br] (67' [[슈테펜 티게스]]) ||<-3> RB [br] [[토마 뫼니에]] || ||<-12> GK [br] [[그레고어 코벨]] || ||<-12>
'''{{{#000000 교체 명단}}}''' || || GK || 사일러스 오스트르진스키 [br] [[마르빈 히츠]] || || DF || [[단악셀 자가두]] [br] [[펠릭스 파슬라크]] || || MF || [[마흐무드 다후드]] [br] [[엠레 잔]] || || FW || [[슈테펜 티게스]] [br] [[안스가르 크나우프]] || }}} || 도르트문트 입장에서는 이 경기가 이번 조별리그 순위를 결정하는 굉장히 중요한 경기다. 스포르팅을 상대로 승리를 거두면 바로 종료 직후 16강 진출을 확정짓지만 만약 패배할 경우 16강행 좌절이 유력[* 2점차 이상으로 패배할 경우 승자승 원칙 중 득실차에 밀려 '''탈락 확정'''이다.]해지기 때문이다. 이는 스포르팅에게도 적용되는 내용이기 때문에 양팀 모두 치열한 경기를 펼칠 것이 매우 유력하다. 한편 이 경기보다 먼저 열린 베식타스 vs 아약스에서 아약스가 1-2로 승리를 거두면서 베식타스는 5전 전패로 조 꼴찌가 확정되었다. 따라서 두 팀 중 한 팀은 유로파리그로 강등되는 것이 확정되었다. 결국 [[페드루 곤살베스]]의 멀티골로 0-2로 뒤진 채 전반전을 마쳤고 후반전에는 설상가상으로 [[엠레 잔]]의 퇴장으로 수적 페널티를 가지더니 [[페드로 포로]]의 골로 세 골차까지 벌어졌다. 그나마 후반 추가시간에 [[도니얼 말런]]의 만회골이 나왔으나 뒤집기엔 역부족이었고 결국 스포르팅 원정 1-3 패배, 17-18 시즌 이후로 4년만에 챔스 16강행이 좌절되었다. 여담으로 이 경기에서 결장한 [[엘링 홀란]]은 올해 유로와 월드컵 예선에 이어 챔스도 조별리그에서의 탈락이 확정되어 3연속 광탈이라는 불운을 겪게 되었다. ==== 6차전 vs [[베식타스 JK]] ([[지그날 이두나 파크|BVB 스타디온 도르트문트]]) (홈, 5:0 승)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00CED1, #00008B 20%, #00008B 80%, #9400D3)" [[UEFA 챔피언스 리그|[[파일:UEFA 챔피언스 리그 로고 화이트.svg|height=50]]]][br]'''{{{#FFF 2021-22 UEFA 챔피언스리그 조별리그 C조 6차전[br]2021년 12월 8일 수요일 05:00(UTC+9)}}}'''}}} || ||<-3> '''[[지그날 이두나 파크|{{{#00008B BVB 스타디온 도르트문트}}}]] [[도르트문트|{{{#00008B (도르트문트)}}}]]''' || ||<-3> '''{{{#00008B 주심: [[프랑수아 르텍시에|{{{#00008B 프랑수아 르텍시에}}}]]}}}''' || ||<-3> '''{{{#00008B 관중: 15,000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EAEF5F 20%, #000 20%, #000 22%, #EAEF5F 22%, #EAEF5F 38%, #000 38%, #000 40%, #EAEF5F 40%)" [[파일:보루시아 도르트문트 로고.svg|height=100]]}}}||<|2> '''{{{#00008B {{{+5 5 : 0}}}}}}'''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f 40%, #000 40%, #000 50%, #FE4739 50%, #FE4739 60%, #fff 60%)" [[파일:베식타스 JK 로고.svg|height=100]]}}}|| ||<:>'''{{{#EAEF5F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 '''{{{#000 베식타스 JK}}}''' || || '''29' [[도니얼 말런]] (A. [[주드 벨링엄]]) [br] 45+2' [[마르코 로이스]] (PK) [br] 53' [[마르코 로이스]] (A. [[마흐무드 다후드]]) [br] 68' [[엘링 홀란]] (A. [[니코 슐츠]]) [br] 81' [[엘링 홀란]] (A. [[마흐무드 다후드]])''' || [[파일:득점 아이콘.svg|height=20]] || '''-''' || ||<:> ||<:>[[레드 카드|[[파일:퇴장 카드 아이콘.svg|height=20px]]]]||<:>'''43' 웰린통 '''|| ||<-3><:>'''[[https://youtu.be/Jh6DY2Lfkuw|{{{#00008B 경기 하이라이트}}}]] | [[http://naver.me/FJnAQYI1|{{{#00008B 매치 리포트}}}]]'''|| ||<-3><:>'''{{{#FFF Player of the Match: [[주드 벨링엄|{{{#FFF 주드 벨링엄}}}]]}}}'''|| ||<:><-12>
'''{{{#000000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포메이션 (4-3-3)}}}'''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4> LW [br] [[마르코 로이스]] [[파일:captainarmband3.png|width=25]] [br] (63' [[엘링 홀란]]) ||<:><-4> ST [br] [[도니얼 말런]] ||<:><-4> RW [br] [[마리우스 볼프]] [br] (62' [[펠릭스 파슬라크]]) || ||<:><-4> LCM [br] [[마흐무드 다후드]] ||<:><-4> CM [br] [[악셀 비첼]] ||<:><-4> RCM [br] [[주드 벨링엄]] [br] (73' [[라파엘 게헤이루]]) || ||<:><-3> LB [br] [[니코 슐츠]] ||<:><-3> LCB [br] [[단악셀 자가두]] [br] (73' [[마린 폰그라치치]]) ||<:><-3> RCB [br] [[마츠 후멜스]] ||<:><-3> RB [br] [[토마 뫼니에]] [br] (46' [[헤이니에르 제주스]]) || ||<:><-12> GK [br] [[그레고어 코벨]] || ||<:><-12>
'''{{{#000000 교체 명단}}}''' || || GK || [[마르빈 히츠]] || || DF || [[라파엘 게헤이루]] [br] [[펠릭스 파슬라크]] [br] [[마린 폰그라치치]] || || MF || [[헤이니에르 제주스]] || || FW || [[엘링 홀란]] [br] [[슈테펜 티게스]] [br] [[안스가르 크나우프]] || }}}|| 양 팀 모두 조 3위로 인한 유로파 리그 강등과 조 4위로 탈락이 확정된 만큼 맥빠지는 경기가 예상되는 가운데 도르트문트는 이 경기가 올시즌 마지막 챔스 경기이자 홈경기기 때문에 유종의 미를 거둘 필요가 있다. 홈에서 상대 퇴장으로 인한 수적 우위에 힘입어 5대0 대승을 기록하며 유종의 미를 거두었다. == [[UEFA 유로파 리그]] == === 16강 플레이오프 === ||<-4> [[UEFA 유로파 리그/2021-22 시즌|[[파일:UEFA 유로파 리그 로고 화이트.svg|height=50]]]][br]''',,{{{#ffffff 2021-22 UEFA 유로파 리그 16강 PO}}},, ''' || || [[파일:보루시아 도르트문트 로고.svg|height=50]] || [[보루시아 도르트문트|도르트문트]][br](Dortmund) || [[파일:레인저스 FC 150주년 기념로고.svg|height=50]] || [[레인저스 FC|레인저스]][br](Rangers) || [[UEFA 유로파 컨퍼런스 리그]]의 출범으로 인해 이번 시즌부터 참가팀이 기존 48개팀에서 32개팀으로 축소됨에 따라 진행 방식도 기존 32강 토너먼트에서 16강 토너먼트로 변경되었고 유로파리그 조 2위와 챔피언스리그 조 3위 팀끼리 맞붙어서 16강 진출팀을 가리는 16강 플레이오프 제도가 도입되었다. 도르트문트는 챔피언스리그 조 3위를 했기 때문에 비 시드팀으로 배정받는다. 추첨 결과, 스코틀랜드의 [[스코티시 프리미어십|자국 리그]] 챔피언인 [[레인저스 FC]]와 맞붙게 되었다. ==== 1차전 vs [[레인저스 FC]] ([[지그날 이두나 파크|BVB 스타디온 도르트문트]]) (홈, 2:4 패) ==== ||<-3> [[UEFA 유로파 리그|[[파일:UEFA 유로파 리그 로고 화이트.svg|height=50]]]][br]'''{{{#FFF 2021-22 UEFA 유로파리그 16강 플레이오프 1차전[br]2022년 2월 18일 금요일 02:45(UTC+9)}}}''' || ||<-3> '''[[지그날 이두나 파크|{{{#000 BVB 스타디온 도르트문트}}}]] [[도르트문트|{{{#000 (도르트문트)}}}]]''' || ||<-3><:>'''{{{#000 주심: [[클레멍 튀르팡|{{{#000 클레멍 튀르팡}}}]]}}}'''|| ||<-3> '''{{{#000 관중: 10,000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EAEF5F 20%, #000 20%, #000 22%, #EAEF5F 22%, #EAEF5F 38%, #000 38%, #000 40%, #EAEF5F 40%)" [[파일:보루시아 도르트문트 로고.svg|height=100]]}}} ||<|2> '''{{{#F39100 {{{+5 2 : 4}}}}}}'''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32a0 9.55%, #3182db 9.55%, #3182db 10.05%, #0032a0 10.05%, #0032a0 19.6%, #3182db 19.6%, #3182db 20.1%, #0032a0 20.1%, #0032a0 29.65%, #3182db 29.65%, #3182db 30.15%, #0032a0 30.15%, #0032a0 39.7%, #3182db 39.7%, #3182db 40.2%, #0032a0 40.2%, #0032a0 49.75%, #3182db 49.75%, #3182db 50.25%, #0032a0 50.25%, #0032a0 59.8%, #3182db 59.8%, #3182db 60.3%, #0032a0 60.3%, #0032a0 69.85%, #3182db 69.85%, #3182db 70.35%, #0032a0 70.35%, #0032a0 79.9%, #3182db 79.9%, #3182db 80.4%, #0032a0 80.4%, #0032a0 89.95%, #3182db 89.95%, #3182db 90.45%, #0032a0 90.45%)" [[파일:레인저스 FC 150주년 기념로고(유니폼).svg|height=100]]}}} || ||<:>'''{{{#EAEF5F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 '''{{{#0032a0 레인저스 FC}}}''' || || '''51' [[주드 벨링엄]] (A. [[라파엘 게헤이루]])[br] 82' [[라파엘 게헤이루]] (A. [[주드 벨링엄]])''' || [[파일:득점 아이콘.svg|height=20]] || '''38' [[제임스 태버니어]] (PK)[br] 41' [[알프레도 모렐로스]] (A. [[조 아리보]])[br] 49' [[존 룬스트럼]] (A. [[라이언 켄트]])[br] 54' [[단악셀 자가두]] (O.G)''' || ||<-3><:>'''[[|{{{#000 경기 하이라이트}}}]] | [[https://www.uefa.com/uefaeuropaleague/match/2033367--dortmund-vs-rangers/statistics/|{{{#000 매치 리포트}}}]]'''|| ||<-3><:>'''{{{#FFF Player of the Match: [[주드 벨링엄|{{{#FFF 주드 벨링엄}}}]]}}}'''|| ||<-12>
'''{{{#000000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포메이션 (4-2-3-1)}}}'''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12> ST [br] [[도니얼 말런]] [br] (68' [[슈테펜 티게스]]) || ||<-4> LM [br] [[주드 벨링엄]] ||<-4> CAM [br] [[마르코 로이스]] [[파일:captainarmband3.png|width=25]] [br] (82' [[헤이니에르 제주스]]) ||<-4> RM [br] [[율리안 브란트]] [br] (46' [[유수파 무코코]]) || ||<-6> LDM [br] [[악셀 비첼]] [br] (46' [[조반니 레이나]]) ||<-6> RDM [br] [[마흐무드 다후드]] || ||<-3> LB [br] [[라파엘 게헤이루]] ||<-3> LCB [br] [[단악셀 자가두]] [[파일:경고 카드 아이콘.svg|height=15px]] ||<-3> RCB [br] [[마츠 후멜스]] ||<-3> RB [br] [[마누엘 아칸지]] [br] (55' [[니코 슐츠]]) || ||<-12> GK [br] [[그레고어 코벨]] || ||<-12>
'''{{{#000000 교체 명단}}}''' || || GK || [[루카 운베하운]] [br] [[마르빈 히츠]] || || DF || [[니코 슐츠]] [br] [[펠릭스 파슬라크]] [br] [[마린 폰그라치치]] || || MF || [[조반니 레이나]] [br] [[헤이니에르 제주스]] || || FW || [[토르간 아자르]] [br] [[유수파 무코코]] [br] [[슈테펜 티게스]] || }}} || 양팀의 위상 차이를 생각해봤을때 도르트문트의 가벼운 승리가 예상되었고, [[지그날 이두나 파크]] 1000번째 경기라는 상징성도 있었지만 90분 내내 졸전을 펼치며 2:4라는 처참한 결과를 받아들었다. [[단악셀 자가두]]는 최근 처참한 수비력으로 많은 비판을 받아왔는데 이번 경기에서도 90분 내내 자책골을 포함하여 끔찍한 활약을 펼쳐 팀의 홈에서의 대참사를 만든 주역이 되고 말았다. ==== 2차전 vs [[레인저스 FC]] ([[아이브록스 스타디움]]) (원정, 2:2 무) ==== ||<-3> [[UEFA 유로파 리그|[[파일:UEFA 유로파 리그 로고 화이트.svg|height=50]]]][br]'''{{{#FFF 2021-22 UEFA 유로파리그 16강 플레이오프 2차전[br]2022년 2월 25일 금요일 05:00(UTC+9)}}}''' || ||<-3> '''[[아이브록스 스타디움|{{{#000 아이브록스 스타디움}}}]] [[글래스고|{{{#000 (글래스고)}}}]]''' || ||<-3> '''{{{#000 주심: [[안토니오 마테우 라호즈|{{{#000 안토니오 마테우 라호즈}}}]]}}}''' || ||<-3> '''{{{#000 관중: 47,709명}}}'''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32a0 9.55%, #3182db 9.55%, #3182db 10.05%, #0032a0 10.05%, #0032a0 19.6%, #3182db 19.6%, #3182db 20.1%, #0032a0 20.1%, #0032a0 29.65%, #3182db 29.65%, #3182db 30.15%, #0032a0 30.15%, #0032a0 39.7%, #3182db 39.7%, #3182db 40.2%, #0032a0 40.2%, #0032a0 49.75%, #3182db 49.75%, #3182db 50.25%, #0032a0 50.25%, #0032a0 59.8%, #3182db 59.8%, #3182db 60.3%, #0032a0 60.3%, #0032a0 69.85%, #3182db 69.85%, #3182db 70.35%, #0032a0 70.35%, #0032a0 79.9%, #3182db 79.9%, #3182db 80.4%, #0032a0 80.4%, #0032a0 89.95%, #3182db 89.95%, #3182db 90.45%, #0032a0 90.45%)" [[파일:레인저스 FC 150주년 기념로고(유니폼).svg|height=100]]}}} ||<|2> '''{{{#F39100 {{{+5 2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EAEF5F 20%, #000 20%, #000 22%, #EAEF5F 22%, #EAEF5F 38%, #000 38%, #000 40%, #EAEF5F 40%)" [[파일:보루시아 도르트문트 로고.svg|height=100]]}}} || ||<:>'''{{{#ffd700 레인저스 FC}}}''' ||<:>'''{{{#EAEF5F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 || '''22' [[제임스 태버니어]] (PK) [br] 57' [[제임스 태버니어]] (A. [[캘빈 배시]])''' || [[파일:득점 아이콘.svg|height=20]] || '''31' [[주드 벨링엄]] [br] 42' [[도니얼 말런]] (A. [[주드 벨링엄]])''' || ||<-3><:>'''[[|{{{#000 경기 하이라이트}}}]] | [[https://www.uefa.com/uefaeuropaleague/match/2033375--rangers-vs-dortmund/matchinfo/|{{{#000 매치 리포트}}}]]'''|| ||<-3><:>'''{{{#FFF Player of the Match: [[주드 벨링엄|{{{#FFF 주드 벨링엄}}}]]}}}'''|| ||<-12>
'''{{{#000000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포메이션 (4-2-3-1)}}}'''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12> ST [br] [[도니얼 말런]] [br] (77' [[슈테펜 티게스]]) || ||<-4> LM [br] [[토르간 아자르]] [br] (69' [[헤이니에르 제주스]]) ||<-4> CAM [br] [[마르코 로이스]] [[파일:captainarmband3.png|width=25]] [br] (86' [[악셀 비첼]]) ||<-4> RM [br] [[율리안 브란트]] [br] (69' [[유수파 무코코]]) || ||<-6> LDM [br] [[주드 벨링엄]] [[파일:경고 카드 아이콘.svg|height=15px]] ||<-6> RDM [br] [[마흐무드 다후드]] || ||<-3> LB [br] [[니코 슐츠]] [[파일:경고 카드 아이콘.svg|height=15px]] ||<-3> LCB [br] [[마츠 후멜스]] ||<-3> RCB [br] [[엠레 잔]] [[파일:경고 카드 아이콘.svg|height=15px]] ||<-3> RB [br] [[토마 뫼니에]] [br] (46' [[마리우스 볼프]]) || ||<-12> GK [br] [[그레고어 코벨]] || ||<-12>
'''{{{#000000 교체 명단}}}''' || || GK || [[루카 운베하운]] [br] [[마르빈 히츠]] || || DF || [[라파엘 게헤이루]] [br] [[펠릭스 파슬라크]] [br] [[마린 폰그라치치]] || || MF || [[헤이니에르 제주스]] [br] [[악셀 비첼]] || || FW || [[유수파 무코코]] [br] [[슈테펜 티게스]] [br] [[마리우스 볼프]] || }}} || 홈에서 2:4 참패를 당한 도르트문트는 이제 16강을 가기 위해서는 3골차 이상 승리를 거두어야 승부차기 없이 갈 수 있다. 하지만 이번 시즌 도르트문트의 수비진은 그야말로 처참한 수준인데 여기에 [[엘링 홀란]]이 아직도 복귀를 못하면서 16강 진출 전망은 매우 어둡다. 그나마 리그에서 묀헨을 상대로 6:0 압승을 거두며 기적의 가능성이 조금은 남아있다. 또다시 수비 불안을 보여주며 PK를 포함 2골을 실점했는데 2골을 넣으며 2:2 무승부로 마무리, 16강에도 오르지 못하고 플레이오프에서 이번 시즌 도르트문트의 유럽대항전이 마무리되었다. == [[파일:DFB-포칼 로고.svg|width=50]] [[DFB-포칼]] == === 1라운드 vs [[SV 베헨 비스바덴]] ([[BRITA 아레나]]) (원정, 0:3 승) === ||<-3><:>[[DFB-포칼|[[파일:DFB-포칼 로고.svg|height=50]]]][br]'''{{{#FFF 2021-22 DFB-포칼 1라운드[br]2021년 08월 08일 일요일 03:45(UTC+9)}}}'''|| ||<-3><:>'''{{{#007f45 [[BRITA 아레나|{{{#007f45 BRITA 아레나}}}]] ([[비스바덴|{{{#007f45 비스바덴}}}]])}}}'''|| ||<-3><:>'''{{{#007f45 주심: 베냐민 코르투스}}}'''|| ||<-3><:>'''{{{#007f45 관중: 4,882명}}}'''||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C2D3D 70%, #000 70%)" [[파일:SV 베헨 비스바덴 로고.svg|height=100]]}}}||<|2><:>'''{{{+5 {{{#007f45 0 : 3}}}}}}'''||<:>{{{#!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000 5%, #ffe600 5%)" [[파일:보루시아 도르트문트 로고.svg|height=100]]}}} || ||<:>'''{{{#FFF SV 베헨 비스바덴}}}'''||<:>'''{{{#ffe600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파일:득점 아이콘.svg|height=20]]||<:>'''26' [[엘링 홀란]] (A. [[마르코 로이스]]) [br] 31' [[엘링 홀란]] (PK) [br] 51' [[엘링 홀란]] (A. [[조반니 레이나]])'''|| ||<-3><:>'''[[https://youtu.be/fxbZdbgIXCw|{{{#007f45 경기 하이라이트}}}]]'''|| ||<-3><:>'''{{{#FFF Man of the Match: [[엘링 홀란|{{{#FFF 엘링 홀란}}}]]}}}'''|| ||<:><-12>
'''{{{#000000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포메이션 (4-1-2-1-2)}}}'''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4> LS [br] [[엘링 홀란]] ||<:><-4> RS [br] [[슈테펜 티게스]] [br] (66' [[도니얼 말런]]) || ||<:><-12> CAM [br] [[마르코 로이스]] [[파일:captainarmband3.png|width=25]] [br] (66' [[토르간 아자르]]) || ||<:><-4> LCM [br] [[조반니 레이나]] [br] (85' [[유수파 무코코]]) ||<:><-4> RCM [br] [[주드 벨링엄]] [br] (55' [[악셀 비첼]]) || ||<:><-12> CDM [br] [[마흐무드 다후드]] [br] (85' [[토마스 딜레이니]]) || ||<:><-2> LB [br] [[니코 슐츠]] [[파일:경고 카드 아이콘.svg|height=15px]] ||<:><-2> LCB [br] [[마누엘 아칸지]] ||<:><-2> RCB [br] [[안토니오스 파파도풀로스]] ||<:><-2> RB [br] [[펠릭스 파슬라크]] || ||<:><-12> GK [br] [[그레고어 코벨]] || ||<-12>
'''{{{#000000 교체 명단}}}''' || || GK || [[마르빈 히츠]] || || DF || [[레나르트 말로니]] || || MF || [[토마스 딜레이니]] [br] [[악셀 비첼]] [br] [[토비아스 라슐]] [br] [[괴크탄 귀르퓌즈]] || || FW || [[토르간 아자르]] [br] [[유수파 무코코]] [br] [[도니얼 말런]] [br] [[마리우스 볼프]] || }}} || [[율리안 브란트]], [[토마 뫼니에]], [[라파엘 게헤이루]], [[마츠 후멜스]] 등 주축 선수들이 대거 이탈한 도르트문트는 이번 경기 유망주들이 대거 선발로 출전했다. 하지만 에이스 [[엘링 홀란]]이 해트트릭을 하며 대활약한 끝에 3대0 완승으로 2라운드에 진출해 대회 2연패 도전에 나서게 되었다. === 2라운드 vs [[FC 잉골슈타트 04]] ([[지그날 이두나 파크]]) (홈, 2:0 승) === ||<-3><:>[[DFB-포칼|[[파일:DFB-포칼 로고.svg|height=50]]]][br]'''{{{#FFF 2021-22 DFB-포칼 2라운드[br]2021년 10월 27일 수요일 03:00(UTC+9)}}}'''|| ||<-3><:>'''{{{#007f45 [[지그날 이두나 파크|{{{#007f45 지그날 이두나 파크}}}]] ([[도르트문트|{{{#007f45 도르트문트}}}]])}}}'''|| ||<-3><:> '''{{{#007f45 주심: [[마티아스 옐렌베크|{{{#007f45 마티아스 옐렌베크}}}]]}}}''' || ||<-3><:>'''{{{#007f45 관중: 25,130명}}}'''||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EAEF5F 20%, #000 20%, #000 22%, #EAEF5F 22%, #EAEF5F 38%, #000 38%, #000 40%, #EAEF5F 40%)" [[파일:보루시아 도르트문트 로고.svg|height=100]]}}}||<|2><:>'''{{{+5 {{{#007f45 2 : 0}}}}}}'''||<:>{{{#!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f 60%, #000 60%, #000 80%, #fff 80%)" [[파일:FC 잉골슈타트 04 로고.svg|height=100]]}}} || ||<:>'''{{{#EAEF5F 보루시아 도르트문트}}}'''||<:>'''{{{#000 FC 잉골슈타트 04}}}'''|| ||<:>'''72' [[토르간 아자르]] (A. [[율리안 브란트]]) [br] 81' [[토르간 아자르]] (A. [[율리안 브란트]])'''||<:>[[파일:득점 아이콘.svg|height=20]]||<:>'''-'''|| ||<-3><:>'''[[https://youtu.be/WZcv2uisHKc|{{{#007f45 경기 하이라이트}}}]]'''|| ||<-3><:>'''{{{#FFF Man of the Match: [[주드 벨링엄|{{{#FFF 주드 벨링엄}}}]]}}}'''|| ||<:><-12>
'''{{{#000000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포메이션 (3-4-2-1)}}}'''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12> ST [br] [[슈테펜 티게스]] [br] (71' [[마르코 로이스]]) || ||<:><-6> LF [br] [[헤이니에르 제주스]] ||<:><-6> RF [br] [[율리안 브란트]] [br] (87' [[펠릭스 파슬라크]]) || ||<:><-3> LM [br] [[마리우스 볼프]] [br] (87' [[안스가르 크나우프]]) ||<:><-3> LCM [br] [[악셀 비첼]] ||<:><-3> RCM [br] [[주드 벨링엄]] ||<:><-3> RM [br] [[토마 뫼니에]] [[파일:경고 카드 아이콘.svg|height=15px]] [br] (71' [[토르간 아자르]]) || ||<:><-4> LCB [br] [[엠레 잔]] ||<:><-4> CB [br] [[마츠 후멜스]] [[파일:captainarmband3.png|width=20]] [br] (83' [[마누엘 아칸지]]) ||<:><-4> RCB [br] [[마린 폰그라치치]] || ||<:><-12> GK [br] [[마르빈 히츠]] || ||<:><-12>
'''{{{#000000 교체 명단}}}''' || || GK || [[루카 운베하운]] || || DF || [[마누엘 아칸지]] [br] [[펠릭스 파슬라크]] [br] [[레나르트 말로니]] || || MF || [[마르코 로이스]] [br] [[임마누엘 페라이]] [br] [[안토니오스 파파도풀로스]] || || FW || [[토르간 아자르]] [br] [[안스가르 크나우프]] || }}}|| [[토마 뫼니에]]가 부상에서 복귀하였지만 왼쪽 풀백들은 아직 부상에서 복귀하지 못해 다시 3백을 들고 나왔으며 왼쪽 윙백을 이번에는 [[마리우스 볼프]]에게 맡겼다. 전반에는 무득점을 기록해 불안감을 조성하였지만 교체로 투입 된 [[토르간 아자르]]가 들어가자마자 결승골을 넣은 것 포함, 총 2골을 기록해 다행히 승리를 거두었다. === 16강 vs [[FC 장크트파울리]] ([[밀레른토어 슈타디온]]) (원정, 2:1 패) === ||<-3><:>[[DFB-포칼|[[파일:DFB-포칼 로고.svg|height=50]]]][br]'''{{{#FFF 2021-22 DFB-포칼 16강[br]2022년 1월 19일 수요일 04:45(UTC+9)}}}'''|| ||<-3><:>'''{{{#007f45 [[밀레른토어 슈타디온|{{{#007f45 밀레른토어 슈타디온}}}]] ([[함부르크|{{{#007f45 함부르크}}}]])}}}'''|| ||<-3><:>'''{{{#007f45 주심: 하름 오스메르스}}}'''|| ||<-3><:>'''{{{#007f45 관중: 2,000명}}}'''||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7F5652 20%, #B38784 20%, #B38784 22%, #7F5652 22%, #7F5652 42%, #B38784 42%, #B38784 44%, #7F5652 44%, 64%, #B38784 64%, #B38784 66%, #7F5652 66%, #7F5652 86%, #D55B58 86%, #D55B58 88%, #7F5652 88% )" [[파일:FC 장크트파울리 로고.svg|height=100]]}}} ||<|2><:>'''{{{+5 {{{#007f45 2 : 1}}}}}}'''||<:>{{{#!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EAEF5F 20%, #000 20%, #000 22%, #EAEF5F 22%, #EAEF5F 38%, #000 38%, #000 40%, #EAEF5F 40%)" [[파일:보루시아 도르트문트 로고.svg|height=100]]}}}|| ||<:>'''{{{#000 FC 장크트파울리}}}'''||<:>'''{{{#EAEF5F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4' 에티엔 아메니도 (A. 마르셀 하르텔) [br] 40' [[악셀 비첼]] (O.G)'''||<:>[[파일:득점 아이콘.svg|height=20]]||<:>'''58' [[엘링 홀란]] (PK)'''|| ||<-3><:>'''[[https://youtu.be/v2OecQ9fZRc|{{{#007f45 경기 하이라이트}}}]]'''|| ||<-3><:>'''{{{#FFF Man of the Match: [[|{{{#FFF 에티엔 아메니도}}}]]}}}'''|| ||<:><-12>
'''{{{#000000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포메이션 (4-3-3)}}}'''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4> LW [br] [[토르간 아자르]] [br] (65' [[도니얼 말런]]) ||<:><-4> ST [br] [[엘링 홀란]] ||<:><-4> RW [br] [[마르코 로이스]] [[파일:captainarmband3.png|width=25]] || ||<:><-4> LCM [br] [[율리안 브란트]] ||<:><-4> CM [br] [[악셀 비첼]] [br] (90' [[유수파 무코코]]) ||<:><-4> RCM [br] [[주드 벨링엄]] || ||<:><-3> LB [br] [[라파엘 게헤이루]] ||<:><-3> LCB [br] [[마츠 후멜스]] ||<:><-3> RCB [br] [[마누엘 아칸지]] [br] (76' [[단악셀 자가두]]) ||<:><-3> RB [br] [[토마 뫼니에]] || ||<:><-12> GK [br] [[그레고어 코벨]] || ||<:><-12>
'''{{{#000000 교체 명단}}}''' || || GK || [[마르빈 히츠]] || || DF || [[단악셀 자가두]] [br] [[니코 슐츠]] [br] [[마린 폰그라치치]] || || MF || [[헤이니에르 제주스]] || || FW || [[유수파 무코코]] [br] [[도니얼 말런]] [br] [[슈테펜 티게스]] [br] [[마리우스 볼프]] || }}}|| 전반 4분만에 실점하며 밀리기 시작하였다. 전반 40분에는 [[악셀 비첼]]이 자책골을 넣으며 자멸하기 시작. 후반 13분에 [[엘링 홀란]]이 PK를 넣으며 따라가기 시작하였으나 거기까지였다. 더 이상 골을 넣지 못하며 2부리그 팀인 장크트 파울리에게 완패하며 16강에서 디펜딩 챔피언은 초라하게 대회를 마무리하였다. 올해 DFB-포칼 8강에 올라간 팀들은 다른시즌들보다 많이 새롭다. 먼저 32강에서 탈락한 [[FC 바이에른 뮌헨|뮌헨]]과 [[바이어 04 레버쿠젠|레버쿠젠]]을 포함하여 16강에서 [[보루시아 묀헨글라트바흐|묀헨글라트바흐]]와 디펜딩 챔피언 [[보루시아 도르트문트|도르트문트]]가 탈락하면서 우승 후보로 꼽히던 팀들이 줄줄이 탈락하며 8강에 2부 리그 팀들이 4팀이나 올라가며 저번시즌 보다 많은 이변들이 발생하였다. == 시즌 총평 == 마르코 로제 신임감독의 첫 시즌이었으며 수 개월 동안 로제를 영입하기 위해 애쓴 도르트문트였지만 결과는 매우 아쉬웠다. 유럽 대항전에서도 지난 시즌 8강 진출이라는 좋은 성적에 걸맞지 않게 챔피언스 리그 조별리그 3위 탈락, 유로파 리그 16강 플레이오프 탈락이라는 처참한 성적을 거두었다. 리그에서는 무려 9패를 거두었고 실점도 52실점으로 리그 공동 9위에 해당하는 많은 실점을 허용했다. 지난 시즌 우승을 차지했던 [[DFB-포칼]]에서도 16강에서 장크트 파울리에게 패해 탈락하며 디펜딩 챔피언 답지 않은 모습을 보여주며 탈락. 물론 이 모든 것이 전부 로제의 문제라고는 할 수 없다. 시즌 내내 [[엘링 홀란]], [[마흐무드 다후드]], [[그레고어 코벨]], [[조반니 레이나]], [[마츠 후멜스]], [[토마 뫼니에]], [[라파엘 게헤이루]] 등 전 포지션에 걸쳐 장기 부상이 많이 나오며 많은 선수들이 시즌아웃까지 이어졌고 이로 인해 베스트 11을 제대로 내보내지도 못했었다. 그 외에는 팬들 사이에서 소위 --말네스카를 이은 철의 포백-- '''슐폰찬파'''라고 불리는, [[니코 슐츠]], [[마린 폰그라치치]], [[엠레 찬]], [[펠릭스 파슬라크]], [[단악셀 자가두]] 등 함량 미달의 선수들이 수비에서 좋지 않은 모습까지 크게 한 몫 했다. 허나 선수들의 관리 역시 감독의 중요한 역할 중 하나이므로 이 부분에 대해 비판을 안 할 수는 없는 노릇이다. 그리고 이 나비효과는 결국 다음 시즌으로 이어지며 다음 시즌 챔피언스 리그에서는 그동안 도르트문트가 배정받아온 2포트가 아닌 3포트를 배정받게 되었다. 그리고 로제는 결국 보드진과의 충돌과 성적부진 등 복잡한 과정을 통해 시즌 종료 후 경질되며 도르트문트와 로제의 동행은 대실패로 끝나고 말았다. [[분류:보루시아 도르트문트/역대 시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