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AFC 아약스/간략)]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jax-profile-photos-ajax_0006_ajax-2023-2024-borna-sosa-0004.png|width=100%]]}}}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0f0f0, #fff 20%, #d50032 20%, #b8042b 45%, #b8042b 55%, #d50032 80%, #fff 80%, #f0f0f0)" '''{{{#!html AFC 아약스 No. 25}}}'''}}} || ||<-2><:> '''{{{#d50032 {{{+1 보르나 소사}}}[br]Borna Sosa}}}''' || ||<|2> '''{{{#d50032 출생}}}''' ||[[1998년]] [[1월 21일]] ([age(1998-01-21)]세) || ||{{{-1 [[크로아티아]] [[자그레브]]}}} || || '''{{{#d50032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크로아티아)]''' | [include(틀:국기, 국명=독일)] || || '''{{{#d50032 신체}}}''' ||[[키(신체)|키]] 187cm / [[체중]] 79kg || || '''{{{#d50032 포지션}}}''' ||[[레프트백]], [[윙백]], [[윙어]] || || '''{{{#d50032 주발}}}''' ||왼발|| || '''{{{#d50032 유소년 클럽}}}''' ||[[GNK 디나모 자그레브]] (2005~2015) || || '''{{{#d50032 소속 클럽}}}''' ||[[GNK 디나모 자그레브]] (2015~2018) [br] '''[[VfB 슈투트가르트]] (2018~2023)''' [br] [[AFC 아약스]] (2023~ ) || || '''{{{#d50032 국가대표}}}''' ||18경기 1골 ^^([[크로아티아 축구 국가대표팀|크로아티아]] / 2021~ )^^ || || '''{{{#d50032 등번호}}}''' ||[[크로아티아 축구 국가대표팀|크로아티아 대표팀]] - 19번 [br] [[GNK 디나모 자그레브]] - 3번, 35번 [br] [[VfB 슈투트가르트]] - 24번 [br] [[AFC 아약스]] - '''25번''' || [목차] [clearfix] == 개요 == [[크로아티아]] 국적의 [[AFC 아약스]] 소속 [[축구선수]]. 포지션은 [[풀백(축구)|레프트백]], [[윙백]], [[윙어]]다. == 클럽 경력 == === [[GNK 디나모 자그레브]] === 고향팀 [[GNK 디나모 자그레브]] 유스에서 성장했으며 만 17세인 2015년 3월에 NK 자그레브와의 경기에서 프로 데뷔하였다. 소사는 4시즌간 디나모에서 41경기 6어시스트를 기록했다. === [[VfB 슈투트가르트]] === 2018년 5월 14일, [[VfB 슈투트가르트]]와 2023년까지 5년 계약을 맺었다. 2021년 5월 7일, 스카이스포츠에서 소사가 독일로 귀화한다는 소식을 밝혔다. [[https://twitter.com/Sky_MaxB/status/1390624521275777024?s=20|#]] 2021년 5월 13일 밤, 크로아티아 축구 협회를 통해 FIFA 규정으로 인해 독일 시민권을 취득하더라도 독일 대표팀에 승선할 수 없다고 전했고 이어 소사는 잘못된 결정이었다는 사과를 했다. 2020-21 시즌에 리그 26경기 9도움을 기록하였다. 특히 90분당 크로스 성공 3.3이라는 유럽 5대 리그 전체 2위 스탯을 찍으며, 크로스에 일가견을 드러내고 있다. 2021-22 시즌 리그 개막전 [[그로이터 퓌르트]]전에서 크로스 3개로 3도움을 기록했다. 2021-22 시즌 겨울 이적시장때 [[첼시 FC]]가 관심 있다고 전했다. 21R 프랑크푸르트전 1-2로 끌려가는 상황에 크로스를 올려 [[사샤 칼라이지치]]의 시즌 첫 골을 어시스트하며 팀에 동점에 기여했지만 팀의 패배를 막을 수 없었다. 현재 크리스티안 폴크에 의하면 저번 리즈 유나이티드, 아스톤 빌라에 이어 현재 [[첼시FC]], [[아스날 FC]], [[토트넘 홋스퍼 FC]]가 그에게 관심을 가지고 있는 중이라고 한다. 빌레펠트전은 부상으로 인해 경기에 출장하지 못했다. 독일의 빅클럽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또한 소사를 노리고 있다고 한다. 21-22 시즌 종료 후 [[맨유]]에 새로 부임한 [[텐하흐]]가 관심을 가지고 있다고 한다. 진지한 수준의 관심은 아니고 아직은 주시하는 정도인 것으로 보인다. 또한 첼시와 지속적으로 링크가 뜨고 있다. 예상 이적료는 €25M. 2022년 7월, [[더 선]]에 따르면 [[맨체스터 시티 FC]]도 보르나 소사 영입 경쟁에 합류했다고 한다. 또한 맨시티의 [[마르크 쿠쿠렐라]] 영입 가능성이 낮아지자 소사를 대책으로 노리고 있다고 한다. 2022년 여름 이적시장 데드라인을 앞둔 8월 31일, [[바이어 04 레버쿠젠]]으로 [[로빈 고젠스]]를 보낼 확률이 높은 [[인테르]]가 그의 대체자로 소사를 노리고 있다고 한다. 당초 겨울 이적시장에서 슈투트가르트를 떠날 예정이였으나 부상으로 인해 잔류를 하게 되었고, 팀의 1부 리그 잔류에 기여하겠다고 약속을 했고 승강 플레이오프까지 간 끝에 결국 이 약속을 지켰다. 2023년 8월에는 [[세비야 FC]]가 [[마르코스 아쿠냐]]의 이적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대체자로 보고 있으나, 결국 9월 1일자로 [[AFC 아약스]]로 이적이 확정되었다. === [[AFC 아약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보르나 소사 아약스 오피셜.jpg|width=100%]]}}} || 2023년 9월 1일, [[AFC 아약스]]와 5년 계약을 체결했다.[[https://english.ajax.nl/articles/ajax-signs-borna-sosa/|#]] 이적료는 €8M. ==== [[AFC 아약스/2023-24 시즌|2023-24 시즌]] ==== == 국가대표 경력 == 소사는 크로아티아 대표팀 소속으로 2015 UEFA U-17 챔피언십과 [[FIFA U-17 월드컵|2015 FIFA U-17 월드컵]]에 참가했다. 2018년 5월에는 [[러시아 월드컵]] 32인 예비명단에 이름을 올리기도 했다. 2019년과 2021년 [[UEFA U-21 챔피언십]] 최종 엔트리에 승선했지만 후자의 대회에는 무릎부상으로 불참했다. 이렇게 크로아티아 연령대 대표팀에 많은 경기를 소화했으나 2021년에 독일로 귀화한다는 소식이 나오면서 크로아티아인들의 많은 비판을 받았고 본인이 사과하기에 이르었다. 그러다 8월에 다음달에 있을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지역예선(유럽)/H조|카타르 월드컵 유럽예선]] 3연전을 앞두고 첫 소집이 되었다. 그리고 1일 [[러시아 축구 국가대표팀|러시아]]를 상대로 데뷔전을 치르면서 커리어 기간동안 조국의 유니폼을 입고 뛸 수 있게 되었다. [[카타르 월드컵]] 본선에서는 크로아티아 대표팀의 좌측 풀백 1옵션으로, 16강을 제외한 모든 경기를 선발 출장하여 풀타임 소화했다. 그러나 수비능력은 여전히 처참했고, 본인의 장점이라고 여겨졌던 공격적인 부분에서 심각한 결함을 드러내며, 크로아티아 대표팀의 좌측 공격 활로를 완전히 막아버렸다. 스피드로 상대를 압도하지 못하니 상대를 제치는 과감한 드리블을 전혀 보여주지 못했고, 전방까지 올라가놓고 자꾸 백패스로 공을 돌려야 했으며, 결정적으로 왼발과 오른발을 가리지 않고 시종일관 똥크로스만 올리며 이번 대회 크로아티아의 빈약한 공격력에 크게 일조했다. 이렇게 본인이 왼쪽 공격에서 아무런 도움을 못주다보니 좌측면 윙어로 출장하는 [[이반 페리시치]]가 계속 혼자 고립되어 아무것도 못하는 결과를 가져왔으며, 실제로 저번 월드컵과 현재 클럽에서 공격적으로 준수한 모습을 보여주던 페리시치는 상대 수비에 계속 가로막혀 무리한 크로스를 시도하거나, 백패스를 돌리게 되는 결과를 가져왔다. 수비적으로도 역시 최악이었다. 조별리그 3차전 벨기에 전에서 날아오는 크로스를 제대로 처리하지 못하며 [[로멜루 루카쿠]] 앞에 완벽하게 떨궈주어 실점 위기를 만들었다. [[요슈코 그바르디올]]이 완벽한 태클로 방어하였기에 망정이지 그 전부터 이미 팬들의 비난을 한몸으로 받고 있던 터라 그 골이 들어가 패배했으면 아마 더 심한 비난을 감수했어야 할 것이다. 8강전 브라질 전에서 어느정도 선방하는 듯 하다가 네이마르의 침투를 너무 허무하게 놓치며 연장 전반에 실점을 하게 되었고, 우여곡절 끝에 올라간 4강에서는 [[메시]]와 [[훌리안 알바레스|알바레스]]에게 요리당하며 다소 굴욕적인 실점까지 제공하고 말았다. 이번 대회 최악의 레프트백이라 봐도 전혀 문제 없는 수준. 옆에 그바르디올이 월드컵 베스트급 활약을 펼쳐서 묻혔지 수비적인 문제 역시 공격 능력만큼 심각했다. 문제는 이 선수 대체로 일본전에 나온 [[보르나 바리시치]]는 더 못했다.[* 결국 크로아티아는 3.4위전에서는 아예 3백 전술을 사용하게 된다.] == 플레이 스타일 == [youtube(RMWCIXhZgnE)] 공격적인 성향으로, 풀백과 윙백 모두 소화할 수 있다. 좋은 신체조건과 빠른 스피드로 활발하게 치고 올라가는 모습을 보여주며, 드리블과 연계 능력이 준수해서 공이 없을 때의 움직임도 좋은 편이다. 하지만 가장 뛰어난 장점은 바로 크로스 능력으로, 슈투트가르트의 주요 공격 루트로 꼽힐 정도로 날카로운 왼발 킥력을 갖췄다.[* 상술했듯 20-21 시즌에는 90분당 크로스 3.3개를 성공시킬 정도로, 유럽 5대 리그 전체에서 2위 스탯을 찍었다.] 대신 공격적인 성향이다 보니 수비력이 상대적으로 아쉽다. 속도 싸움이나 공중볼은 괜찮은 편이지만, 위치 선정 등의 문제점으로 인해 상대에게 공간을 내주는 실수가 나온다. 또한 현재는 덜하지만 슈투트가르트 이적 이후 2시즌 동안은 제대로 뛰지 못하는 유리몸 기질을 보이기도 했다. 그러나 상술했던 장점은 카타르 월드컵에서 전혀 드러나지 못하고 오히려 대회 내내 X맨급 활약을 했다. 수비적으로 아쉬운 건 원래도 지적되었지만, 장점으로 언급된 공격 능력도 완전히 맛이 가버린 수준이었다.[* 경기 내내 말도 안되는 크로스들은 차치하더라도 기본적인 패스조차 제대로 주지 못했고, 드리블은 애초에 시도조차 하지 못할 정도로 속도적인 측면에서도 전혀 장점을 보여주지 못했다. 4강전 아르헨티나 전에서는 어처구니 없는 수비 실수로 2번째 실점을 허용하는 등 원래 좋지 않았던 수비 역시 개선이 안 된 모습을 보여주었다.] == 여담 == == 같이 보기 == [include(틀:AFC 아약스)] [include(틀:크로아티아 축구 국가대표팀)] [include(틀:크로아티아 축구 국가대표팀(2022 카타르 월드컵))] [각주] [[분류:1998년 출생]][[분류:2015년 데뷔]][[분류:자그레브 출신 인물]][[분류:크로아티아의 축구선수]][[분류:GNK 디나모 자그레브/은퇴, 이적]][[분류:VfB 슈투트가르트/은퇴, 이적]][[분류:AFC 아약스/현역]][[분류:크로아티아의 FIFA 월드컵 참가 선수]][[분류:2022 FIFA 월드컵 카타르 참가 선수]][[분류:2015 FIFA U-17 월드컵 칠레 참가 선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