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5c71e32ff8efdc9f92232772_shop1_143131.jpg|width=100%]] || ||||||||||<#FF6600><:>'''보르네오 블랙'''|| ||||||Borneo black tarantula||||이명 : || ||||||||||<:><#FF9966>''' ''Phormingochilus arboricola'' ''' Smith % Jacobi, 2015[* 처음 동정 당시 Lampropelma nigerrimum arbornicola라는 학명을 썻다.] || ||<|10><#FFCC66>분류|| ||[[생물 분류 단계#s-3.2|계]]||||||[[동물계]]|| ||[[생물 분류 단계#s-3.3|문]]||||||[[절지동물문]](Arthropoda)|| ||[[아문]]||||||[[협각아문]](Chelicerata)|| ||[[생물 분류 단계#s-3.4|강]]||||||거미강(Arachnida)|| ||[[생물 분류 단계#s-3.5|목]]||||||거미목(Araneae)|| ||[[아목]]||||||원실젖거미아목(Mygalomorphae)|| ||[[생물 분류 단계#s-3.6|과]]||||||짐승빛거미과(Theraphosidae)|| ||[[생물 분류 단계#s-3.7|속]]||||||포르밍고킬루스속(''Phormingochilus'')|| ||[[생물 분류 단계#s-3.8|종]]||||||'''보르네오 블랙'''(''P. arbornicola'')|| [목차] [clearfix] == 개요 == [[보르네오]] 섬의 남부지역 [[인도네시아]]의 열대우림에 서식하는 3성 가능한 초대형 나무위성 [[어스 타이거]] [[타란툴라]]이다. == 습성 == 유체는 버로우성을 띄다가 아성체 부터 나무위성을 띄기 시작하는 편이긴 하나, 사육환경에 따라 성체도 버로우성을 띄기도 한다. 유체는 버로우지만 성장 할수록 나무를 선호하는 대부분의 다른 나무위성 [[어스 타이거]]들과 달리 이 종은 유체부터 성체까지 계속 버로우로도 사육이 가능하다. (적응력이 좋아서 3성을 다 띄기도 하는 모양이다.) 그리고 타 나무위성 어스 타이거는 얇고 길쭉한 체형으로 호불호가 갈리는 반면 보르네오 블랙은 굵은 다리와 튼실한 체형을 가졌다. 과거에는 [[상이헤 아일랜드 블랙]]의 아종으로 여겨져서 Lampropelma nigerrimum arbornicola이라는 학명을 썻으나, 2019년에 재동정돼서 Phormingochilus속으로 변경되어 상이헤 아일랜드 블랙과는 '''아무런 관련도 없는 종이 되었다.''' 더욱이나 황당한 건, 최초 동정년도와 동정자가 같은 [[술라웨시 블랙]]은 처음에 Phormingochilus속이였는데, 2019년에 Lampropelma속으로 변경되었다는 점(...). 앞서 말한 술라웨시 블랙은 돌연사가 잦고 매물이 적지만 이 쪽은 상대적으로 강인하고 돌연사도 드물며 같은 올블랙 바디의 대형 나무위성 어스 타이거 인지라 최근들어 보르네오 블랙의 인기가 증가하게 되었다. 한때 아시아를 대표하는 꽤나 고가의 종이었지만 어스 타이거가 다 그렇듯(...) 높은 인기로 인해 브리딩 활동이 많아지고 쉬운 브리딩 난이도로 인해 가격이 떡락하면서 매물이 많아졌다. 올블랙 바디의 발색과 간지의 멋을 느낄 수 있으며, 아성체부터 발색으로 성별 구별이 가능하다. 이 종도 다른 어스 타이거와 같이 사납고 재빠르기 때문에 처음, 초보자 입문용 타란툴라로는 적합하진 않다는 평이 있으나, 어느정도 숙달된 사육자가 어스 타이거종을 입문하거나 초보 입문자 또한 주의만 기울인다면 충분히 사육 가능하다. [[분류:짐승빛거미과]][[분류:애완동물/거미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