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체스 세계 챔피언)] ||<-2> '''{{{+1 {{{#fff Boris Spassky[br]Бори́с Васи́льевич Спа́сский}}}}}}[br]{{{#fff 보리스 바실리예비치 스파스키}}}''' || ||<-2>{{{#!wiki style="margin:-10px; margin-top:-6px; margin-bottom:-6px" [[파일:LgH8vIPuzwg.jpg |width=100%]]}}} || ||<|2> '''출생''' ||[[1937년]] [[1월 30일]] '''(86세)''' [* 생존 중인 세계 챔피언 중에서 최연장자이다. 이미 사망한 세계 챔피언까지 포함하면 [[바실리 스미슬로프]]가 89세로 가장 오래 살았다.]|| ||[[파일:소련 국기.svg|width=28]] [[소련]] [[레닌그라드]](現 상트페테르부르크)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소련)] (1937-1975)[br] [include(틀:국기, 국명=프랑스)] (1975-)|| || '''타이틀''' ||[[그랜드 마스터#s-2.1|GM]] (1955) || || '''[[체스 세계 챔피언|{{{#fff 세계 챔피언}}}]]''' ||1969-72 || || '''[[Elo 레이팅|{{{#fff Elo 레이팅}}}]]''' ||2690 (최대 레이팅) || [목차] [clearfix] == 개요 == 보리스 스파스키는 10번째 [[체스]] [[체스 세계 챔피언|세계 챔피언]]이다. == 생애 == [[레닌그라드]] (현 상트페테르부르크) 출신이다. 1955년, 안트베르펜에서 개최된 세계 주니어 체스 선수권 대회에서 우승하였고, 이듬해 도전자 결정전 진출권을 손에 넣으면서 동시에 그랜드마스터가 된다. 1966년 [[티그란 페트로시안]]을 상대로 첫번째 세계 챔피언에 도전했지만, 실패하였고, 1969년 두번째 세계 챔피언 도전에서 승리하면서 세계 챔피언으로 등극하였다. 1972년, [[핀란드]] [[레이캬비크]]에서 열린 세계 체스 선수권 대회에서 [[바비 피셔]]에게 패하며 타이틀을 내주게 된다. 1975년, 프랑스로 망명하여 프랑스 여성과 결혼[* 세번째 결혼이다.]하였다. 2010년, 현재 프랑스의 체스 선수로 활동하고 있다. == 기풍 == 전형적인 올라운더 플레이어로 평가 받는다. [[킹즈 갬빗]] 같은 닥공부터 [[히포포타무스 디펜스]] 같은 존버까지 다양한 스타일을 보여줬다. 본인만의 기풍이 옅은데 챔피언 기간도 짧아서 존재감은 희미한 편이다. == 기타 == * 다음 챔피언이 체스계의 슈퍼스타 [[바비 피셔]]다보니 피셔가 챔피언 올랐을 때 상대편 정도로 더 알려지기도 했다. [[막스 오이베]], [[바실리 스미슬로프]]와 함께 인기 없는 챔피언 탑3에 든다.(...) [[분류:1937년 출생]][[분류:상트페테르부르크 출신 인물]][[분류:프랑스의 체스 선수]][[분류:체스 세계 챔피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