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보석]] [include(틀:다른 뜻1, other1=소송법상의 보석, rd1=보석(법))]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artcenter.org/Gemstones-low-res-small.jpg|width=100%]]}}} || ||<-2><#999> '''언어별 명칭''' || || '''[[한국어|{{{#000,#e5e5e5 한국어}}}]]''' ||보석 || || '''[[한자|{{{#000,#e5e5e5 한자}}}]]''' ||[[寶]][[石]] || || '''[[영어|{{{#000,#e5e5e5 영어}}}]]''' ||Jewel, Gem, Gemstone[* Gem과 Jewel의 차이는, Gem은 가공하지 않은 보석의 [[원석]]을 뜻하고 Jewel은 세공 및 가공을 통해 깎은 보석을 뜻한다.(Gem⊂Jewel)] || [목차] [clearfix] == 개요 == 단단하고 미적 가치가 높은 희귀한 [[광물]] 및 준광물을 이르는 말. 주로 가공을 거친 뒤 [[장신구]]로 쓰인다. 보통 일정한 화학적 조성을 가진 비금속 무기물인 경우가 많으나, 엄밀한 학술적 기준은 존재하지 않고 사회에서 사람들이 얼마나 선호하느냐 그렇지 않느냐가 관건이다. 때문에 [[진주]]나 [[산호]], [[호박(보석)|호박]] 등의 유기물도 보석이 될 수 있으며, 현재는 보석으로 취급받는 특정 물질도 혹시 사람들의 선호가 변하여 보석으로 취급하지 않게 된다면 보석이 아니게 된다고 볼 수 있다. 어디까지나 "미적가치"가 핵심이기 때문. == 가치 == 일반적으로 굉장히 투명하거나 그 색이 진하고 균일한 것이 높은 가격에 거래된다. 합성보석이 아닌이상 크기가 커질수록 내포물이 없고 투명한 개체를 보기가 아주 힘들어져서 희소성 덕에 가격이 엄청나게 솟아오른다. 똑같은 분자 구조를 가진 보석들이라도, 불순물의 종류와 양에 의한 색상 차이 때문에 값이 몇 배씩 차이난다. 일례로 무색 베릴(고세나이트)은 같은 무게의 [[에메랄드|녹색 베릴]]보다 50배 이상 저렴하다. 단, 일부에 따라서는 그 무늬로 가격이 매겨지기도 한다. 또 [[호박(보석)|호박]]과 같이 그 안에 [[화석]]이 들어가 있는 경우 몇 배의 가치를 가지기도 한다. 대부분의 보석은 장식용으로 이용되고 일부 공업용으로 이용하기도 한다. [[트레저 헌터]]가 찾아다니는 것. 또한 보석의 색이 조금만 달라져도 몇 배의 값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색이 희미하거나 인기 없는 색깔의 보석을 가열하거나 [[방사선]]을 쬐어서 색을 변질시키기도 한다. 당연하지만 이런 보석은 좋은 값을 못 받게 되니 다들 untreated(미처리)라고 속여서 팔아먹는다. 희소성이나 내구성은 다소 떨어지지만 보석급의 아름다움을 가진 광물은 따로 '준보석'이라는 카테고리로 분류한다. == 인공 보석 == 인공 보석은 보석을 구성하는 원료들을 모아 고온, 고압으로 가공해 만든다. 역사도 제법 오래되어서 최초의 산업적인 방법은 1800년대 말 프랑스의 루이스 베르누이가 개발해 루비를 합성해냈고, 사파이어의 인공 제작법도 1902년에 개발되었다. 당연하지만 가장 늦게 합성법이 개척된건 제조하는데 엄청난 압력을 가해야되는 다이아몬드이다. 천연으로 나는 물질을 '광물'이라고 하기 때문에 사람의 힘으로 원료를 합성하여 만든 인공 보석을 대중에서는 대개 가짜 보석이라고도 한다. 그러나 미국이나 여러 나라 법상 인공 보석은 천연 보석과 동일하다. 게다가 인공 보석의 화학 조성은 천연 보석과 똑같기 때문에 물질의 종류를 판별하는 분석 방법으로는 구별이 거의 어렵다. 대신 인공적인 제조 공정 때문에 생기는 미묘한 물성 차이나 특이 구조 등을 가지고 인공 보석과 천연 보석을 구별한다. 합성보석은 실험실에서 애당초 순도가 높은 물질을 녹여서 만들기 때문에 내포물이 없이 눈으로 보기에 매우 깨끗한것이 특징이다. 하지만 베르누이법으로 합성된것은 현미경으로 자세히 보면 미세한 기포 자국이 있다. 애초에 천연 광물이 자연상에서 극도로 드물어서 인공적으로 합성한 보석이 아니면 찾아볼 수 없는 사례도 존재한다. 가령 [[모이사나이트]]. 인공 보석을 만드는 가장 흔한 방법은 베르누이법(위에 나온 베르누이의 이름을 딴 것)인데, 간단히 설명하면 보석 원료를 고온으로 가열해서 조금씩 녹여 덩어리를 키우는 것이다. 이 방법으로 루비, 사파이어와 같은 코런덤(강옥)이나 스피넬과 같은 보석들을 만든다. 에메랄드는 만드는 방법이 다양하지만 최고로 치는 것은 열수성장법(hydrothermal growth)이다. 제조비가 비싸지만 웬만한 사람은 구별하지 못할 정도로 천연 에메랄드와 비슷한 것을 얻을 수 있다. 문제는 제조비가 너무 비싼 탓에 가격이 천연 보석이랑 별 차이가 없을 정도. 다이아몬드의 경우 고온고압(HTHP) 기법으로 제조하였으나 투명도나 크기가 작아 공업용으로나 사용하였다. 요즘은 화학 증착(CVD)법이 이용되며 크기와 투명도가 개선되어 보증서가 없다면 천연 보석과 구분이 어려운 수준이다. 값이 싼 무색 보석에 [[입자가속기]]로 보석 안에 색을 띄는 불순물을 넣는 방법도 연구 중이다. 그러나 입자가속기 운영 비용이 많이 들어서 별 경제성은 없는 것으로 보인다.([[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096&aid=0000273867|관련 기사]]) 실제로 수정을 전자가속기(싱크로트론)에서 나오는 강력한 X선에 노출시켜도 방사선에 의해 결정격자가 손상되면서 검은색의 연수정이 될 수 있다. == 종류 == === 광물 === 괄호 표기는 보석으로서의 이름과 지질학적 이름이 다르거나 일상적으로 자주 쓰이는 이름이 여러 종류인 경우 알아보기 쉽도록 추가한 것이며, [[문서:/|슬래시(/)]] 표기는 지질학적으로는 같은 광물임을 뜻한다. * [[감람석]] (페리도트) * [[강옥]] ([[루비]]/[[사파이어]]/[[스타 사파이어]]) * [[공작석]] * 금강석 ([[다이아몬드]]) * [[녹주석]] ([[아쿠아마린]]/[[에메랄드]]) * [[마노]] ([[오닉스]]) * [[모이사나이트]] * [[문스톤]] * [[비취]] (옥) * [[석류석]] (가넷) * [[수정(보석)|수정]]/[[자수정]]/[[황수정(보석)|황수정]] * 첨정석 ([[스피넬]]) * [[알렉산드라이트]] * [[오팔]] * 줄타나이트 * [[전기석]] (토르말린) * [[청금석]] (라피스 라줄리) * [[크리소프레이즈]] * [[탄자나이트]] * [[터키석]] * [[포스포필라이트]] * 호안석 * [[황옥]] (토파즈) * [[혈석]] * [[홍옥수]] (카닐리언) * [[흑옥]] * [[흑요석]] ([[옵시디언]]) === 유기물 === * [[산호]] * [[상아]] * [[진주]] * [[호박(보석)|호박]] ([[앰버]]) * --유골보석--[* 사람의 시신을 화장시킨 유골을 고온으로 가열 시켜, 보석과 비슷한 형태의 알갱이로 만든 것이다. 화장된 유골은 자칫 잘못하여 쏟거나 병이 깨지면 다시 담기가 어렵기도 하고 위생적인 문제가 든다. 또한 시설에 안치시킨 경우 매달 지속적으로 비용이 발생한다. 이렇게 구슬 같은 형태로 만들어 놓게 되면 좀 더 위생적으로 보관하기에 용이하여, 비용의 부담없이 집에서도 보관 할 수 있다. 물론 초기에 유골을 보석 형태로 만들때 들어가는 비용이 있긴 하나, 장기적으로 관리할 것을 생각하면 괜찮은 방법이다. 더불어 완전한 보석이라고 할 수는 없지만 대체적으로 여러가지 색으로 빛이 나기에 보석과 비슷하게 된다. 사람의 신체 상태에 따라 조금씩 색이 다르며, 암에 걸린 상태라면 검은빛이 난다. 때문에 요청할 경우 보석의 형태가 된 유골로 악세사리를 만들어 보관 할 수도 있다. 물론 시각에 따라 소중한 가족을 두번 불태우는듯한 느낌에 거부감이 들 수도 있으나, 또다른 시각에선 오히려 가까이 있다는 마음 가짐이 생겨 괜찮다고 여기기도 한다.] === 유명한 보석 === * [[인도의 별]] * [[저주받은 다이아몬드]] * [[코이누르]] * [[흑태자의 루비]] * [[화씨지벽]] == 문화 == 보석은 예전부터 신비한 힘의 원천으로 여겨졌고, 그저 자연적으로 희귀하게 생기는 불순물 섞인 결정이란 게 밝혀진 현대 사회에서도, 여전히 에너지를 낸다는 [[유사과학]]이 돌고 있다. [[파워스톤]] 항목 참고. 그래서 창작물들에서도 많은 경우 물리력보다는 주로 [[마법]] 등의 초자연적인 능력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묘사된다.[* 단 물리력과 관련되어 사용되는 거의 유일한 보석은 다이아몬드. 그 높은 경도를 모티브로 해서 다이아몬드 보호구나 방어벽 같은 아이템이 간혹 등장한다. 그런데 사실 다이아몬드는 인성이 낮기 때문에 창작물 수준의 천하무적 방어력은 무리다.] 보석에 인위적으로 특수한 마법을 불어넣어 만든 부적(혹은 다른 아이템)[* [[슬레이어즈]] 초반부에서 [[리나 인버스]]가 [[루비]] 속에 마법진을 봉인해서 부적으로 세공하는 장면이 나온다.]이라든가, 보석 자체가 특정한 마력을 품고 있다든가 하는 설정이 흔한 예. 보석이 [[렌즈]]나 [[돋보기]]처럼 마력을 증폭시켜 준다는 설정이 붙는 경우도 있다. === 창작물 === 위와 같은 이유 때문에 각 보석마다 특수한 힘을 품고 있는 식으로 표현되는 경우가 많다. [[TCG]] 《[[유희왕]]》에 등장하는 [[보옥수]]나 [[젬나이트]]는 보석을 모티브로 만들어 졌고, [[만화]] 《[[크로노 크루세이드]]》의 [[사테라 하벤하이트]]는 쥬얼 서머너로써 정환석을 사용하는 등 여러 가지 매체에서 응용되곤 한다. [[비주얼 노벨]] 《[[Fate/stay night]]》의 [[토오사카 린]]은 [[보석 마술]] 사용자라 항상 자금부족에 시달린다. 원래는 부자 가문이라 별 문제가 없었는데 선대 당주인 [[토오사카 토키오미]]가 사망한 후 [[코토미네 키레이|후견인으로 붙은 사람]]의 금전감각이 끔찍했던 탓에 그만... [[스티븐 유니버스]]에는 [[스티븐 유니버스/등장인물#s-1|보석을 바탕으로 한 외계 종족]]이 등장한다. 보석을 무기에 끼워 추가 옵션을 부여하는 게임들도 있다. 대표적인 예가 [[디아블로 시리즈]]와 [[블레이드 앤 소울]], [[패스 오브 엑자일]]. [[마비노기]]에서는 무기 개조, NPC한테 선물하는 용도로도 쓰이지만, [[정령무기]]의 '''고급 사료'''용도로 자주 정령한테 먹히는 아이템이다. [[보석의 나라]]는 먼 미래 '''사람 형태의 보석'''이 월인들과 벌이는 전쟁을 다룬 스토리이다. 현질이 가능한 게임의 경우, 주요 재화로 사용된다. [[엘더스크롤 시리즈]]에서는 [[엘더스크롤 5: 스카이림]] 이전까지 판매용 아이템 아니면 연금술 재료였다. 보석을 연금술에 사용하는 건 [[엘더스크롤 3: 모로윈드]]까지였으며, [[엘더스크롤 4: 오블리비언]]에서는 아예 연금술 재료에서도 제외되어 오로지 판매용 아이템으로만 사용할 수 있어 취급이 좋지 않았다. 그러다 스카이림에서는 금이나 은에 보석을 사용해 장신구를 만들 수 있게 되었고, 보석을 붙여 만든 장신구는 가격이 비싸져 제련 숙련도가 빠르게 오르며, 일부 보석은 [[아트로나크 포지]]에서 원소 소금을 만드는 재료나 DLC [[엘더스크롤 5: 스카이림 - 드래곤본|Dragonborn]]에 등장하는 [[알비노 거미]]를 만드는 재료로도 쓸 수 있는 등 취급이 매우 좋아졌다. [[바렌지아의 돌]] 퀘스트를 완료하면 보석 획득률이 상승하는 영구 버프가 걸려 보석을 얻기가 매우 쉬워진다. === 가공의 보석 === * [[소울 젬]] - 이 이름을 가진 아이템이 매체를 불문하고 굉장히 많다. * [[야명주]] * [[오리할콘|오리하르콘]] - 가공의 [[금속]]으로도 알려져 있다. * [[가면라이더 위자드]] - 마보석 [[위자드 링]]의 주재료가 되는 원석 형태의 보석. 색깔, 형태등에 따라 다양한 마법과 능력을 지니고 있다. * [[개구리 중사 케로로]] - 한원석(코레데나이트) * [[나이트런]] - [[보석(나이트런)|보석]] * [[녹색전차 해모수]] - 썬 크리스탈 * [[다오 배찌 붐힐 대소동]] - 착한 보석 * [[디지몬 어드벤처 02]] - 홀리스톤(성스러운 돌) * [[레이브(만화)|레이브]] - [[레이브(레이브)|레이브]] * [[레젠다리움]] * '''[[실마릴]]''' - 인공보석이다. 불행을 부르는 보석류 중 실로 최강이라 할 만한 보석. [[페아노르|제작자]]와 소유자 뿐 아니라, 그 일족과 왕국, 심지어는 적대세력까지도 실마릴의 저주에 의해 파멸했다. * [[팔란티르]] - 인공보석이다. 재질은 보석이지만 보석보다는 마법도구로 취급되는 경향이 있다. * [[아르켄스톤]] * [[라스갈렌의 하얀 보석]] - [[호빗 실사영화 시리즈]]에서 등장하는 오리지널 보석. * [[마동왕 그랑조트]] - 마동석 * [[마법사 프리큐어]] - [[마법사 프리큐어!/등장 아이템#s-3|링클 스톤]] * [[마법사의 약속]] - 마나석 * [[마법천자문]] - 마정석 * [[마블 코믹스]] - [[인피니티 젬]] * [[메이플스토리]] * [[봉인석]] * [[루#s-2.3]]: 문서 상단에 언급된, [[독일어]]로 보석을 뜻하는 마을인 [[에델슈타인]]에서 채굴된다. * [[모험유기 플러스터 월드]] - 플러스톤 * [[미소녀 전사 세일러 문 시리즈]] - 은수정 * [[버디 미션 BOND]] - 레드 다이아 * [[벤10 시리즈]] - 코로디움, 테이드나이트 * 코로디움: 강력한 오염 물질을 내장한 외계 광물로 접촉한 모든 생물을 돌연변이화시킨다. 다만 원산지인 아누르 행성계 출신의 종족[* 아누르 팩토스 행성의 [[고스트프리크|엑토뉴라이트]], 아누르 트렌실의 위성 루나 로보의 [[블리츠울퍼|로보안]], 아누르 쿠포스의 [[스네어-오|테프 쿠판]], 아누르 트렌실의 [[프랑켄스트라이크|트렌실리안]].]들은 코로디움에 내성이 있다. 전기를 통해 에너지를 증폭시킬 수 있으며 지 스케어가 이 코로디움으로 지구 전체를 오염시키려고 했지만 이후 벤 일행에게 저지된다. * 테이드나이트: 우주에서 제일 단단한 광물이며 당연히 비싸다. 색깔은 옥색. * [[붉은 보석]] - 붉은 보석 * [[아룬드 연대기]] * [[타로핀]] 보석은 아니다. 단지 희귀 광물이며, 신비한 힘을 가졌다는 것 정도. * [[세월의 돌]] - [[아르나의 눈빛]], [[엔젠]] 엄밀히 말하면 보석은 아니다. * [[펠드로바드]] 스스로 빛을 내는 '''광석'''이지만, 드워프 외에는 채굴한 적도 없고 그 비밀을 아는 자도 없다. 보석으로 치기에는 애매하다. * [[소닉 더 헤지혹 시리즈]] - [[카오스 에메랄드]], [[슈퍼 에메랄드]], [[마스터 에메랄드]], 솔 에메랄드, 타임 스톤, [[팬텀 루비]] * [[스티븐 유니버스]]의 [[스티븐 유니버스/등장인물#s-1|젬]] 정확히 말하면 등장인물이지만, 젬은 자기가 갖고 있는 보석이 없거나 손상되면 존재할 수 없다. 그리고 손상된 젬이 다시 살아나는 걸 방지하기 위해 비누방울 속에 넣어 보석 형태로 보존하는 것도 젬이라고 부르므로 여기에 기술함. * [[신비한 바다의 나디아]] - [[블루워터]] * [[악튜러스]]의 [[달란트(악튜러스)|달란트]] - 설정상 붉은 보석으로 알려져 있지만 실상은 좀 다르다. * [[영웅전설3]] - [[진홍의 불꽃]] * [[이런 영웅은 싫어]] - [[완벽(이런 영웅은 싫어)|완벽]] * [[이스 시리즈]] - [[흑진주(이스 시리즈)|흑진주]] * [[정령왕 엘퀴네스]] - 브리아의 보석 * [[죠죠의 기묘한 모험]] - [[에이자의 적석]] 이걸 전용 석가면에 끼우고 자외선을 받으며 석가면을 착용한 [[기둥 속 사내]]는 [[완전생물]]이 될 수 있다. 또한 에이자의 적석은 [[파문]] 증폭기다. 단순히 촛불을 비치기만 해도 [[기둥 속 사내]]에게 상처를 입힐 수 있다. * [[집사레인저]] - 냥잼 * [[창세기전 시리즈]] - [[카오스 큐브]], [[바루스(창세기전 시리즈)|바루스 코어]] * [[천공의 성 라퓨타]] - 비행석 * [[드래곤 퀘스트 다이의 대모험]] - [[휘성석]] * [[탐그루]] - 시드의 귀 * [[테일즈위버]] - [[탄생석#s-3.1]] * [[플래닛사이드 2]] - 아우락시움, 코르티움 다만 금속일 수도 있다. 아우락시움은 무기나 장비에 도금한 것도 있으며, 코르티움은 채취하여 건축물을 건설하는 데 쓰인다. 일단 게임상에서 보여지는 모습은 아우락시움은 보라색 보석, 코르티움은 검은색에 금빛이 섞인 보석이다. * [[해리 포터 시리즈]] - [[마법사의 돌]], [[죽음의 성물|부활의 돌]] * [[황금용자 골드란]] - [[파워스톤]] === 관련 캐릭터 === * [[가면라이더 시리즈]] * [[가면라이더 W]] - 쥬얼 도펀트 * [[가면라이더 위자드]] - [[가면라이더 위자드(가면라이더)|가면라이더 위자드]], [[가면라이더 메이지#s-2.1|가면라이더 메이지]][* 위자드와 메이지(호박)는 모두 변신체가 보석이 모티브다. 위자드의 각 스타일의 모티브 보석은 문서 참조.] * [[강철전기 C21]]과 [[코즈믹 브레이크]] - [[모치즈키 코요미]], [[크리스타스]], [[크리스타스 레이]], [[크리스혼]] 등 * [[러브라이브 선샤인]] - [[쿠로사와 다이아]], [[쿠로사와 루비]] 이름 자체가 보석이다. * [[로맨싱 사가 2]] - 궁정 마술사(여) 캐릭터들 이름이 보석 이름이다. * [[록맨 클래식 시리즈]] * [[록맨 5]] - [[크리스털맨]] * [[록맨 9]] - [[주얼맨]] * [[록맨 X 시리즈]] * [[록맨 X2]] - [[크리스타 마이마인]] * [[록맨 X8]] - [[어스록 트릴로비치]] * [[리그 오브 레전드]] - [[타릭(리그 오브 레전드)|타릭]], [[스카너]] * [[마리아 홀릭]] - [[시노지 마츠리카]] * [[마법소녀 육성계획]] 시리즈 - [[블루 코메트]](2대 째 [[라피스 라즐리느]]) * [[마케몬]] - 쥬얼 보이즈(루비 화이트, 사피르, 에메로드, 알렌, 알마스)와 라이벌들(스피넬 블랙, 애머시스, 아쿠아, 토파즈, 오닉스) * [[미남고교 지구방위부 시리즈]] - [[미남고교 지구방위부 시리즈#s-4.2|에델슈타인]] * [[보석비빔밥]][* 거의 왕가네 식구들 수준으로 뜨아스러운 [[작명]] 센스를 자랑한다.] - 궁비취, 궁루비, 궁산호, 궁호박 * [[보석소녀 엘레쥬]] - 거의 모든 등장인물들.[* 주인공을 비롯한 일부 등장인물들의 이름이 [[탄생석]]에서 따왔다] * '''[[보석의 나라]] - [[보석의 나라#s-3.1|등장 보석 종족들]]''' 등장하는 인물들 대부분의 이름 및 성질을 보석 및 광물에서 따왔다. * [[벤10 시리즈]] - [[다이아몬드헤드]], [[테트락스 샤드]][* 다이아몬드헤드와 같은 종족이다.], [[크로마스톤]], [[수길라이트]][* 옴니트릭스에 크로마스톤 DNA 소스를 제공한 크리스탈 사피엔 남성으로, 페트로피아의 수호자. 현재 벤10 세계관 내의 유일무이한 크리스탈 사피엔이다.] * [[슈퍼전대 시리즈]] * [[대전대 고글파이브]] - 주인공 5인 변신 상태의 헬멧에 각각 5대 문명을 상징하는 보석이 박혀 있다. * [[마진전대 키라메이저]] - 주인공 작품의 메인 소재 중 하나가 보석이다. * '''[[스티븐 유니버스]]''' - [[스티븐 유니버스/등장인물|'''등장인물 대부분''']] 젬 종족의 이름은 전부 보석에서 따 왔다. * [[시공탐정 겐시군]] - 랄드(크리스타) * [[아다마스]] - 쥬얼마스터들 전원 * [[온에어!]] - 각각의 캐릭터들이 자신의 모티브 보석을 가지고 있다. * [[유희왕]] - [[보옥수]], [[젬나이트]] * [[용자 시리즈]] * [[전설의 용자 다간]] - [[비올레체]] 전투병기인 '쥬얼 아머'뿐만 아니라 처음 등장할 때부터 보석 총을 들고 있는 모습이 보인다. * [[용자지령 다그온]] - [[용자지령 다그온/우주인|우주상인 누벨 성인]] 지구의 유적이나 관광지들을 보석으로 바꿔 팔아넘겼다. * [[왕궁의 트리니티]] - [[에디(왕궁의 트리니티)|에디]] * [[영원한 7일의 도시]] - [[라게츠]] * '''[[쥬얼펫 시리즈]] - 등장 [[쥬얼펫]]들''' * [[크로노 크루세이드]] - [[사테라 하벤하이트]], [[피오레(크로노 크루세이드)|피오레]] * [[포켓몬스터]] - [[깜까미]], [[멜리시]], [[디안시]] * [[프리큐어 시리즈]] * [[마법사 프리큐어!]] - [[아사히나 미라이|큐어 미라클]], [[이자요이 리코|큐어 매지컬]], [[하나미 코토하|큐어 펠리체]] * [[트로피컬 루즈! 프리큐어]] - [[스즈무라 산고|큐어 코랄]] * [[푸른 뇌정 건볼트 爪]] - [[가우리(푸른 뇌정 건볼트)|가우리]] * [[Fate/stay night]] - [[토오사카 린]], [[루비아젤릿타 에델펠트]] * [[D.I.O]] - [[윤용노|멀린]]등 [[세븐 쥬얼 학파]]의 마법사 * [[hololive ENGLISH]] - [[코세키 비쥬]] == 관련 문서 == * [[장신구]] * [[탄생석]] * [[피의 다이아몬드]] * [[광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