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보통고중수학과정표준)] [include(틀:중국의 고등학교 수학)] [목차] == 소개 == || 원제 || 高中数学必修1 || || 번체 및 한국어 || 高中數學必修1[br]{{{-2 고중수학 필수1}}} || [[중국]] 고등학생들이 1학년 1학기의 '''1분기'''[* 중간고사, 기말고사 시험 범위로 나누었을 때 중간고사 기간에 해당하는 시기라고 보면 된다. (중국 학기 기준으로 보면 9월부터 10월까지) 한국 수학 교육 과정상 이 정도 분량이면 중간, 기말로 나누어서 배워야 한다.] 때 배우는 공통 필수 과정이다. 중국의 전국 통일 대입 시험인 [[보통고등학교학생모집전국통일고시|보통고등학교학생모집전국통일고시(가오카오)]]의 문·이과 공통 시험 범위에 속한다. [[대한민국]]의 경우엔 다항식을 먼저 다루고 집합, 함수를 가르치는 방식인데 여기에는 다항식 단원이 없는 것처럼 보인다. 이는 [[중국]]에서 다항식, 유리식, 무리식 등을 '''중학교''' 과정에서 배웠기 때문이다. 따라서 중국에서는 집합, 함수를 먼저 배운다. 대한민국에서는 다항함수를 제외하고 가장 처음 배우는 초등함수가 '무리함수와 유리함수'인데 반해, 중국(그 외 미국, 일본 등)은 지수함수와 로그함수를 가장 기초 단계로 다루고, 그 다음에 유리함수와 무리함수를 다루는 식이다. 그리고 '명제'와 '집합'이 한 과목으로 붙어있지 않고 분리되어있다. == 목차 == * 참조한 문서: [[https://baike.baidu.com/item/%E6%8F%90%E5%88%86%E6%95%99%E7%BB%83%EF%BC%9A%E9%AB%98%E4%B8%AD%E6%95%B0%E5%AD%A6%E5%BF%85%E4%BF%AE1|중국 바이두 백과 提分教练:高中数学必修1]] * 다소 직역 및 의역이 있을 수 있다. 원문을 함께 붙여놓을 것이니 추후 의역 바람. * 运算(운산): 우리말의 '연산'에 대응된다. * 图象(도상): 우리말의 '(해석기하학적) 그래프'에 대응된다. * 待定系数法(대정계수법): 우리말의 '미정계수법'에 대응된다. * 方程(방정): 우리말의 '방정식'에 대응된다. * 零点(영점): 우리말의 '근' 또는 '해'에 대응된다. * 幂函数(멱함수): '유리함수', '무리함수'에 대응된다. 변수의 지수가 정수와 유리수 범위로 넘어가면 이를 '''멱'''이라고 한다. * 对数函数(대수함수): 우리말의 '로그함수'에 대응된다. === 제1장. [[집합]] === [[대한민국]] 교육과정과의 큰 차이점은 '집합과 명제'처럼 [[명제 논리]]와 집합이 붙어있지 않다. 오히려 집합 단원을 '함수'와 긴밀한 단원으로 취급한다. ==== 중단원 1. 집합과 집합의 표시 방법 ==== || 한자 원문 || 集合与集合的表示方法 ||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50px]][br]{{{-2 [[2015 개정 교육과정]]}}} || [[수학(2015)]] || * '''소단원 1.''' 집합의 개념 (集合的概念) * '''소단원 2.''' 집합의 표시 방법 (集合的表示方法) ==== 중단원 2. 집합 사이의 관계와 연산 ==== || 한자 원문 || 集合之间的关系与运算 ||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50px]][br]{{{-2 [[2015 개정 교육과정]]}}} || [[수학(2015)]] || * '''소단원 1.''' 집합 사이의 관계 (集合之间的关系) * '''소단원 2.''' 집합의 연산 (集合的运算) === 제2장. [[함수]] === [[대한민국]] 교육과정과의 큰 차이점은 '다항함수' 다음 과정이 '지수함수와 로그함수'라는 것이며, '유리함수와 무리함수'는 '''멱함수'''라는 단원으로 비교적 뒷단원에 구성되어있다. 대한민국에서 정식적으로 다루지 않는 [[대칭함수|기함수와 우함수]], 단조함수 등이 포함되어 있다. ==== 중단원 1. 함수 ==== || 한자 원문 || 函数 ||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50px]][br]{{{-2 [[2015 개정 교육과정]]}}} || [[수학(2015)]][br]{{{-2 {{{#blue '''(교과 외 내용 있음)'''}}}}}} || * '''소단원 1.''' 함수 (数函) * 제1장에서 다룬 '''[[집합]]'''으로 함수의 정의를 배우는 단원으로 보인다. '일대일대응', '일대일함수', '항등함수' 등을 다룬다. * '''소단원 2.''' 함수의 표시 방법 (函数的表示方法) * '''소단원 3.''' 단조함수 (函数的单调性) * 직역하면 '함수의 단조성'이다. * 역함수, 합성함수가 여기에 포함되어 있다. * '''소단원 4.''' 기함수와 우함수 (函数的奇偶性) * 직역하면 '함수의 기우성'이다. 의역하면 '홀함수', '짝함수'이다. ==== 중단원 2. [[일차함수]]와 [[이차함수]] ==== || 한자 원문 || 一次函数和二次函数 ||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50px]][br]{{{-2 [[2015 개정 교육과정]]}}} || [[수학(2015)]] || * '''소단원 1.''' 일차함수의 성질과 그래프 (一次函数的性质与图象) * '''소단원 2.''' 이차함수의 성질과 그래프 (二次函数的性质与图象) * '''소단원 3.''' 미정계수법 (待定系数法) * 대한민국 교육과정에서는 '다항식' 단원에서 가르친다. 중국 고등학교 과정에서는 다항식 단원을 찾을 수 없는데, 아무래도 이는 중학교 과정에 속해 있는 것으로 보인다. ==== 중단원 3. 함수의 응용 (Ⅰ) ==== || 한자 원문 || 函数的应用 (Ⅰ) ||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50px]][br]{{{-2 [[2015 개정 교육과정]]}}} || [[수학(2015)]] || * 소단원이 없다. * 앞서 배운 다항함수의 응용 파트이다. * 소금물의 농도나 이자, 효율, 변화율 관련 실생활 활용 문제가 있는 것으로 추측된다. ==== 중단원 4. 함수와 방정식 ==== || 한자 원문 || 函数与方程 ||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50px]][br]{{{-2 [[2015 개정 교육과정]]}}} || [[수학(2015)]][br]{{{-2 {{{#blue '''(교과 외 내용 있음)'''}}}}}} || * '''소단원 1.''' 함수를 이용한 방정식의 근 (函数的零点) * '''소단원 2.''' 방정식의 근을 근삿값으로 추론하기 (求函数零点近似解的一种计算方法二分法) * 대한민국 교육과정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교과 내용이다. === 제3장. 기본 [[초등함수]] (Ⅰ) === 우리나라 교육과정에서는 함수 단원 아래에 초등함수 일부를 하위 단원으로 다루고 있는데, 중국 교육과정에서는 이를 분리하였다. 사실 엄밀히 한다면 한국 교육과정이 잘못된 것이다. ==== 중단원 1. [[지수(수학)|지수]]와 [[지수함수]] ==== || 한자 원문 || 指数与指数函数 ||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50px]][br]{{{-2 [[2015 개정 교육과정]]}}} || [[수학Ⅰ(2015)]] || * '''소단원 1.''' 실수 지수와 그 연산 (实数指数幂及其运算) * 지수방정식이 여기에 들어간다. * '''소단원 2.''' 지수함수 (指数函数) ==== 중단원 2. [[로가리듬|로그]]와 [[로그함수]] ==== || 한자 원문 || 函数与方程 ||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50px]][br]{{{-2 [[2015 개정 교육과정]]}}} || [[수학Ⅰ(2015)]] || * '''소단원 1.''' 로그와 그 연산 (对数及其运算) * 로그방정식이 여기에 들어간다. * '''소단원 2.''' 로그함수 (对数函数) * '''소단원 3.''' 지수함수와 로그함수의 관계 (指数函数与对数函数的关系) * 역함수 관계를 다루는 것이다. ==== 중단원 3. [[멱함수]] (유리·무리 함수) ==== || 한자 원문 || 幂函数 ||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50px]][br]{{{-2 [[2015 개정 교육과정]]}}} || [[수학(2015)]] || * 소단원이 없다. * 대한민국에선 '유리식, 무리식' 등을 고등학교 과정에서 다루지만, 중국에서는 '''[[중학교]] 과정'''에서 다룬다. * 중국 교육과정에서는 지수법칙을 유리수로 확장시키는 방법을 먼저 배우고 이 과정을 다루기 때문에 무리함수를 [math(y=x^{\frac{1}{a}})]로 표기하고, 유리함수를 [math(y=x^{-a})]로 표기하는 큰 차이가 있다. ==== 중단원 4. 함수의 응용 (Ⅱ) ==== || 한자 원문 || 函数的应用 (Ⅱ) ||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50px]][br]{{{-2 [[2015 개정 교육과정]]}}} || [[수학(2015)]][br][[수학Ⅰ(2015)]] || * 소단원이 없다. 실생활 활용 문제가 있는 것으로 추측된다. * 앞서 배운 멱함수(유리함수, 무리함수), 지수함수, 로그함수의 응용 파트이다. * [[상용로그]] 파트가 여기에 있다. == 여담 == * [[대륙의 기상]]답게 1학기 과정이 아니라 1학기 '''중간고사''' 과정이다. [[대한민국]] 교육과정에서는 무려 1학기에 걸쳐서 배우는 분량이다. [각주] [[분류:중국의 교육과정]][[분류:수학 교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