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아르샤쿠니 왕조 샤)] ||<-3><#000080> '''{{{#FFF 아르샤쿠니 8대 샤}}}''' [br] {{{+2 {{{#FFF '''Վաղարշ | 볼로가세스 1세'''}}}}}} || ||<|3><#000080> '''{{{#FFF 제호}}}''' ||<#000080> '''[[한국어|{{{#FFF 한국어}}}]]''' ||볼로가세스 1세 || ||<#000080> '''[[아르메니아어|{{{#FFF 아르메니아어}}}]]''' ||Վաղարշ || ||<#000080> '''[[라틴어|{{{#FFF 라틴어}}}]]''' ||Vologases || ||<-2><#000080> '''{{{#FFF 존호}}}''' ||[[샤]] || ||<-2><#000080> '''{{{#FFF 생몰 년도}}}''' ||미상 ~ [[140년]]에서 [[144년]] 사이 || ||<-2><#000080> '''{{{#FFF 재위 기간}}}''' ||[[116년]] ~ [[140년]]에서 [[144년]] 사이 || [목차] [clearfix] == 개요 == [[아르메니아]] [[아르샤쿠니 왕조]]의 8대 [[샤]]. == 생애 == [[아르샤쿠니 왕조]] 제5대 왕 [[사나투르케스]]의 아들로 알려졌다. 114년 [[로마 제국]] 황제 [[트라야누스]]가 아르메니아로 쳐들어가 [[파르타마시리스]] 왕을 폐위하고 아르메니아를 속주로 삼은 뒤 115년 파르티아로 쳐들어가 셀레우키아, 크테시폰 등을 공략하고 메소포타미아를 속주로 삼았다.([[트라야누스의 파르티아 원정]]) 이에 116년 아르메니아인들을 이끌고 봉기하여 아르메니아 일대에서 로마군을 쫓아내려 했다. 트라야누스는 파르티아군의 반격과 아르메니아 유격대의 보급로 교란, [[제2차 유대-로마 전쟁]] 발발로 인해 고전하다가 실의에 빠진 채 로마로 귀환하던 중 117년 8월 9일 킬리키아의 작은 섬 셀레누스에서 병사했고, 뒤를 이어 황위에 오른 [[하드리아누스]]는 유대 반란을 제압하고 파르티아와 평화 협약을 맺고 볼로가세스의 아르메니아 왕위를 인정했다. 서기 5세기에 활동한 기독교 계열 역사가 [[모세스 호레나치]](Movses Khorenatsi)에 따르면, 그는 바르제사반(Vardgesavan)을 재건하고 자신의 이름을 따서 바그하르샤파트로 개명했다고 한다. 이 도시가 현재 아르메니아의 4번째 도시인 에치미아진(Էջմիածին)이다. 136년 로마에 사절을 보내 이베리아 왕 파라스만 2세가 코카서스 남쪽, 아르메니아, 메디아, 카파도키아까지 침략한 알란족과 공모했다고 주장하며 이들을 응징해달라고 호소했지만 별다른 호응을 얻지 못했다. 140년에서 144년 사이에 사망했다고 전해지며, 사후 에메사 왕족 [[소헤모스]]가 로마 황제 [[안토니누스 피우스]]의 지명을 받고 아르메니아 왕위에 올랐다. [[분류:아르샤쿠니 왕조 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