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2차 세계대전의 전투 목록(유럽 및 아프리카))] ||<-3> {{{+1 '''볼호프 전투'''}}} [br]영어: Escape of the 2nd Shock Army Operation[* 제2충격군 탈출작전][br]러시아어: Любанская оборонительная операция[* 류반 방어작전][br]/Опера́ция по выводу из окружения 2-й ударной армии[* 제2충격군 철수작전][br]독일어: '''Schlacht am Wolchow'''[* 볼호프 전투] || ||<-3> {{{#fff [[제2차 세계 대전|{{{#fff '''제2차 세계 대전'''}}}]] 중 [[독소전쟁|{{{#fff '''동부전선'''}}}]]의 일부}}}[br]{{{#fff [[레닌그라드 공방전|{{{#fff '''레닌그라드 공방전'''}}}]]의 일부}}} || ||<-3> [[파일:볼호프 전투.png |width=100%]]|| ||<-3> ▲ 지도 하단, 돌출부 제거를 시도하는 독일군 || ||<-3> '''시기''' || ||<-3> 1942년 5월 13일 ~ 7월 10일 || ||<-3> '''장소''' || ||<-3> [[볼호프 강]] 서쪽, [[벨리키 노브고로드 |노브고로드]]와 류반 사이 소련군 돌출부 || || '''교전국''' ||<^|1>[[파일:소련 국기(1936-1955).svg|width=23]] [[소련]]||<^|1>[include(틀:국기, 국명=나치 독일)]|| || '''지휘관''' ||<^|1>[[파일:소련 국기(1936-1955).svg|width=23]] 미하일 호진[br],,(레닌그라드 전선군 사령관),,[br][[파일:소련 국기(1936-1955).svg|width=23]] [[안드레이 블라소프]][br],,(제2충격군 사령관),,||<^|1>[[파일:나치 독일 국기.svg|width=23]] [[게오르크 폰 퀴힐러]][br],,(북부 집단군 사령관),,[br][[파일:나치 독일 국기.svg|width=23]] [[게오르크 린데만]][br],,(제18군 사령관),,|| ||<-3> '''결과''' || ||<-3> 소련 제2충격군 전멸 || ||<-3> '''영향''' || ||<-3> 북부 전선 안정화[br]전선이 [[류반 공세]] 시작 이전으로 돌아감 || || '''병력''' ||<^|1>병력 231,900명||<^|1>|| || '''피해 규모'''||<^|1>전사/실종 54,774명[br]부상 39,977명||<^|1>전사 4,000명[br]실종/포로 700명[br]부상 19,000명 || [목차] [clearfix] == 개요 == 제2충격군 철수 작전 혹은 류반 구원 작전은 [[류반 공세]] 이후 볼호프 전투의 후반부로 독일군의 본격적인 반격이 이루어진 시기다. 대신 전장이 볼호프강 전체에서 소련군의 돌출부로 축소됐다. 소련군은 돌출부를 지키는 게 무리라고 판단하고 철수를 결정했으나 그 전에 독일군이 먼저 공세를 펼치면서 제2충격군을 구하는데 실패했다. 류반 남쪽 제2충격군의 돌출부는 일멘 호수를 경계로 바로 밑에서 동시기에 펼쳐진 [[데미얀스크 전투]]에서 제16군의 돌출부와 거의 같은 형태인데 차이점이라면 소련군의 돌출부는 좁은 회랑이 짧은 대신 강 건너라 방어가 불리하고 독일군의 돌출부는 바로 강 건너는 아니지만 좁은 회랑이 매우 길어 방어가 불리하다는 점이 있다.[* 양 쪽 다 철수하는게 상식적으로 맞는데 서로 배짱 싸움을 했다.] 소련군에게는 굉장히 희귀한 경우로 현장에서도 스타브카에서도 돌출부를 포기하는 것이 맞다는 판단을 내린 경우지만 결과는 좋지 않았다. 결국 소련군은 자신들의 돌출부는 지키는데 실패하면서 2충격군이 섬멸됐고 독일군의 돌출부는 제거하지 못해 2군단이 반 년간 더 버티다가 후방으로 철수하게 된다. == 전투 서열 == === 독일군[* 5월 11일 기준] === * 북부 집단군 ( 사령관 : [[게오르크 폰 퀴힐러]] 상급대장[* 6월 30일에 원수로 진급]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제18군 ( 사령관 : [[게오르크 린데만]] 기병대장[* 7월 5일에 상급대장으로 진급]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제1군단 * 제20보병사단 * 제121보병사단 * [[SS경찰사단|제4SS경찰기갑척탄병사단]] * 제61보병사단 * 제215보병사단 * 제291보병사단 * 제254보병사단 * 제38군단 * 제285보병사단 * 제2SS차량화보병여단 * 제126보병사단 * 제58보병사단 * 제250보병사단 }}} }}} === 소련군[* 6월 1일 기준] === * 레닌그라드 전선군[* 4월 23일부터 두 전선군이 합쳐진 상황이라 3곳의 전선을 담당하고 있었으며 레닌그라드 그룹은 서쪽 오라니엔바움 교두보와 레닌그라드를, 볼호프 그룹은 볼호프 강을 담당하고 있었다.] ( 사령관 : 미하일 호진 중장[* 6월 8일에 해임되고 다시 레닌그라드 전선군과 볼호프 전선군으로 분리되면서 각각 [[레오니트 고보로프]] 포병중장과 [[키릴 메레츠코프]] 대장으로 교체]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볼호프 방면 그룹[* 8군,54군,4군은 돌출부 북쪽에 배치되어 류반 구원 작전에는 참여하지 않았다.] * 그룹 직할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제6근위소총군단 * 제4근위소총사단 * 제21근위소총사단 * 제1공수여단 * 제13기병군단 * 제25기병사단 * 제80기병사단 * 제87기병사단 * 제378소총사단 * 제2예비항공사단 * 제3공병여단 * 제19전투항공연대 * 제522전투항공연대 }}} * 제2충격군 ( 사령관 : [[안드레이 블라소프]] 중장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제19근위소총사단 * 제46소총사단 * 제92소총사단 * 제259소총사단 * 제267소총사단 * 제327소총사단 * 제382소총사단 * 제22소총여단 * 제23소총여단 * 제25소총여단 * 제53소총여단 * 제57소총여단 * 제59소총여단 * 제313돌격항공연대 * 제696경폭격기항공연대 * 제844수송항공연대 }}} * 제52군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제65소총사단 * 제225소총사단 * 제305소총사단 * 제2근위전투항공연대 * 제10전투항공연대 * 제662경폭격기항공연대 }}} * 제59군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제2소총사단 * 제165소총사단 * 제191소총사단 * 제372소총사단 * 제374소총사단 * 제376소총사단 * 제377소총사단 * 제24소총여단 * 제58소총여단 * 제7근위전차여단 * 제29전차여단 * 제658경폭격기항공연대 * 제660경폭격기항공연대 }}} }}} == 전개 == == 결과 == [[분류:독소전쟁/지상전]][[분류:1942년 전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