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대구시 공영차고지)] [목차] [[파일:봉무차고지.jpg]] {{{+2 鳳舞公營車庫地 | Bongmu Public Garage}}}[* [[전기버스]] 충전기가 설치되기 전의 사진이며, 충전기는 연두색 펜스 쪽에 설치됐다.] == 개요 == [[대구광역시]] [[동구(대구광역시)|동구]] [[팔공로]] 400([[봉무동]]) 파군재삼거리에 있는 시내버스 [[공영 차고지]]다. [[광남자동차]]가 입주해 있다. == 상세 == 원래는 1982년 육군 제6813부대의 시설이 있던 곳이었으나, 1994년 7월 (당시) 대구직할시로 소유권이 옮겨졌다. 1995년 10월에 [[공영 차고지]]가 완공되어 [[불로동(대구)|불로동]]에 차고지가 있었던 [[광남자동차]]가 옮겨와 입주했다. 2015년 차고지의 일부가 [[대구외곽순환고속도로]] 공사의 영향으로 교량 하부 부지에 편입됐다. 차고지 부지 위에 고가가 올라가 있어서 이전한다는 설이 들렸으나, 차고지 이전 대신 고가 남쪽으로 확장하는 것으로 가닥이 잡혔다. 2021년 11월 25일에[* 2020년 말 완공 예정이었으나, 코로나19의 영향에 따라 연기.] 약 5,900㎡, 주차대수 65대에 달하는 면적의 정비가 완료되었다. 차고지의 입구는 북쪽으로 옮겨지고, 진출입 가감속 차로가 설치됐다. 팔공산 일대 노선들이 대부분 파계사/동화사/갓바위 등지로 올라가고 2006년 개편 전의 [[대구 버스 401|401번]]도 [[공산동|지묘동]]까지 가는 차량은 왕산교에서 대기했다가 [[공산동|지묘동]] 아파트 단지로 나왔기 때문에 이 곳에서는 종점 기능을 하지 않다가, 2012년 10월 20일 [[대구 버스 북구2|북구2번]]이 [[대구연경공공주택지구|연경지구]] 개발로 회차지 폐쇄와 함께 [[봉무동]]으로 연장되면서 종점 기능을 시작했다. 이후 [[대구 버스 급행6|급행6번]]이 추가됐지만, 회차 문제[* 차고지 근처와 파군재삼거리에 U턴 차로가 없기 때문이다. 그래서 [[대구 버스 급행6|급행6번]]은 공산터널을 지나 내동까지 가서 회차한 적이 있다.] 때문에 차고지 도착 후 다시 [[공산댐]]으로 올라가서 대기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하지만 2020년 3월 2일부터 북구2번은 봉무공원으로 종점을 옮겼고, [[대구 버스 급행6|급행6번]] 또한 2021년 4월 10일부터 파군재삼거리에서 왕산교를 거쳐 [[연경지구공영차고지|연경동]]으로 들어가기 때문에 다시 종점 기능을 상실했다. 파군재삼거리에 U턴 차로가 없지만, 첫차 시간에 각 기점으로 차량이 출발할 때에는 통행량이 한산할 때라 차고지에서 그냥 불법U턴으로 시내 방향으로 내려간다. 입구 근처에 가보면 U턴한 타이어 자국이 선명하다. 2022년 12월경 차고지에 [[전기버스]] 충전기 2대가 설치됐으며, [[대구 버스 북구2|북구2번]]에 [[현대 일렉시티|일렉시티]]의 운행을 시작했다. [[팔공로]] 도로상에서 충전기를 볼 수 있다. == 운행노선 == 장기 정차 노선은 '''볼드체''' 표시 * '''[[대구 버스 북구2|북구2번]]'''(봉무공원 ~ [[약령시(대구)|약령시]] ~ 봉무공원) : 봉무공원 운행 종료 후 차고지로 [[공차회송]] 및 전기 충전. '''중간경유 노선''' * [[대구 버스 급행1|급행1번]] (무정차 통과)[*A 봉무청구새들마을 하차] * [[대구 버스 급행6|급행6번]] (무정차 통과)[*A][* 과거에는 장기 정차하였으나 연경지구 연장으로 인해 무정차 통과한다.] * [[대구 버스 101, 101-1|101(-1)번]] (정류장: 파군재삼거리) * [[대구 버스 401|401번]] (정류장: 파군재삼거리) * [[대구 버스 팔공1|팔공1번]][* 평광동행 제외. 평광동행은 불로시장 못 가서 나오는 불로교네거리에서 도동으로 우회전하기 때문이다.] (정류장: 파군재삼거리) * [[대구 버스 팔공2|팔공2번]][* 주말/공휴일 한정] (정류장: 파군재삼거리) [[분류:대구광역시의 시내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