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봉화 서동리 동탑 사리장엄구1.jpg]] [[https://artsandculture.google.com/asset/서동리-동탑-사리갖춤/AQE8OkCcBV8lTw?hl=ko|사진 출처 : Google Arts & Culture - 국립경주박물관 서동리 동탑 사리갖춤]] [목차] == 개요 == 1962년 [[경상북도]] [[봉화군]] 서동리의 동삼층석탑에서 발견된 [[통일신라]] 시대의 사리장엄구 일체. 현재 [[국립경주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 내용 == [[파일:봉화 서동리 동탑 사리장엄구5.jpg]] [[파일:봉화 서동리 동탑 사리장엄구3.jpg]] [[http://www.emuseum.go.kr/detail?relicId=PS0100100200100051900000|사진 출처 : 전국박물관소장품검색 - 奉化西洞里塔 삼층소탑]] 1962년에 [[경상북도]] [[봉화군]] 춘양면 서동리에 위치한 동삼층석탑을 해체할 때 석탑 1층 탑신석 윗면의 네모난 사리공(舍利孔)에서 출토된 사리장엄구로, [[녹색]] 유리사리병을 넣은 곱돌 사리호와 [[흙]]으로 만든 99개의 작은 탑이 발견되었다. 제작 연대는 8세기(서기 700년) 경 [[통일신라]] 시대이다. 사리병 안에는 [[부처]]의 [[사리(불교)|사리]] 세 과(顆)가 들어있었으나, 탑을 복원할 때 사리를 새로운 용기에 넣어 탑 안에 다시 봉안했다. 함께 발굴된 소탑들은 틀로 찍어 구운 후 표면에 하얀색 호분을 발랐으며, 탑 바닥에는 작은 구멍을 뚫어 [[무구정광대다라니경]]을 넣고 나무 마개로 막았으나 현재 마개는 남아있지 않다. 당시 [[신라]]인들이 77개 또는 99개의 탑을 만들고 그 안에 무구정광대다라니를 넣어 탑에 봉안하면 [[도솔천]]에 태어날 수 있는 공덕을 쌓는다는 무구정광대다라니경의 가르침에 따라 99개의 작은 탑을 만들어 석탑 안에 봉안한 것이다. [[파일:봉화 서동리 동탑 사리장엄구2.jpg]] [[파일:봉화 서동리 동탑 사리장엄구4.jpg]] [[https://blog.naver.com/a1k1/220828654913|사진 출처 : 국립경주박물관 신라미술관]] 당시 신라에서 유행하던 [[무구정광대다라니경]]은 다라니를 써 넣은 탑을 만들어 공양하면 수명을 연장하고 공덕을 쌓을 수 있다고 설명하고 있다. 이런 가르침에 따라 만들어진 탑을 무구정탑(無垢淨塔)이라고 하는데, 서동리 동삼층석탑이 1,300여년 전 조성된 무구정탑 중 하나이다. 지금으로부터 1,300여년 전 신라인들이 만든 사리장엄구, 사리병, 99개의 소형 탑으로, 당시 불교 문화 및 공예술을 연구하는 데 큰 도움을 준다. 한국에는 이와 비슷한 [[신라]]시대 사리장엄구 소탑들이 많다. 아래는 그 중 일부. [[파일:봉화 서동리 동탑 사리장엄구6.jpg]] [[http://blog.daum.net/rudgmltjans/13379138|사진 출처 : 탑의 사리함에 작은 소탑을 넣는 이유는?]], [[경상남도]] [[합천군]] [[해인사]] 길상탑에서 발견된 [[통일신라]]시대 고대 소탑군(海印寺 吉祥塔 舍利具 土製小塔). 역시 8세기 경 [[신라]]에서 제작되었으며, 총 157기(基)의 소탑으로 이루어져 있다.[[https://www.museum.go.kr/site/main/relic/search/view?relicId=5293|국립중앙박물관 홈페이지 : 해인사 길상탑 사리구 소탑]] [[파일:봉화 서동리 동탑 사리장엄구7.jpg]] [[http://blog.daum.net/kelim/10851161|사진 출처 : 대구 동화사 금당암 서삼층석탑 출토 납석소탑]] 1957년 [[대구광역시|대구]] [[동화사]] 금당암 서삼층석탑에서 발견된 총 99구의 납석 소탑군. 9세기 경 통일신라에서 제작되었으며, 현재 [[국립대구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이 외에도 [[경주시]] 구황리 삼층석탑, [[경주 나원리 오층석탑]], [[화엄사]] 서오층석탑, [[산청군]] 석남사 오층석탑, [[경주시|경주]] 창림사 석탑, [[봉화군|봉화]] 취서사 오층석탑, 경주 [[황룡사]] 구층목탑 심초석 사리공, [[강원도]] 선림원 삼층석탑, [[충청남도]] [[보령시]] 성주사 석탑, 공주 동원리 삼층석탑 등 다양한 신라시대 불탑 유적에서 [[무구정광대다라니경]]과 소탑들이 나오고 있다. [[분류:신라의 공예]] [[분류:사리장엄구]] [[분류:국립경주박물관 소장품]] [[분류:봉화군의 문화재]] [[분류:경주시의 문화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