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계획 당시 명칭이 봉화산역이었던 부산 도시철도 1호선의 역, rd1=장림역)] ||<-3> {{{+2 '''봉화산'''}}}'''(서울의료원)'''{{{+2 '''역'''}}} || ||<-3> [[서울 지하철 6호선|[[파일:Seoulmetro6_icon.svg|width=30]]]] || || [[응암역|{{{#!html
응암순환}}}]][[화랑대역|화랑대]][br]← 0.7 ㎞ || [[서울 지하철 6호선|{{{#!html
6호선
(647)
}}}]] || [[신내역|{{{#!html
신내 방면}}}]][[신내역|신 내]][br]1.3 ㎞ → || ||<-3>[include(틀:지도, 장소=봉화산(서울의료원)(6호선), 너비=100%, 높이=225px)]|| ||<-3> '''다른 문자 표기''' || || [[로마자]] |||| {{{#!wiki style="letter-spacing: -1px" Bonghwasan {{{-2 (Seoul Medical Center)}}}}}} || || [[한자]] ||<-2> 烽火山(서울醫療院) || || [[간체자]] ||<-2> 烽火山(首尔医疗院) || || [[가나(문자)|가나]] ||<-2> [ruby(烽火山, ruby=ポンファサン)] || ||<-3> '''주소''' || ||<-3> [[서울특별시]] [[중랑구]] 신내로 지하232 ([[신내동]] 643-1) || ||<-3> '''운영 기관''' || || [[서울 지하철 6호선|{{{#ffffff 6호선}}}]] ||<-2> [[서울교통공사]] || ||<-3> '''개업일''' || || [[서울 지하철 6호선|{{{#ffffff 6호선}}}]] ||<-2> 2000년 8월 7일 || ||<-3> '''역사 구조''' || ||<-3> 지하 2층 || ||<-3> '''승강장 구조''' || ||<-3> 2면 3선식 승강장 (횡단 가능) || ## 상단 역명란은 정보만을 전달하기로 합의되었습니다. 절대 개드립을 적지 마세요. (https://namu.wiki/thread/ThePlacidAndSincereDirection) [목차] [clearfix] == 개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봉화산역.jpg|width=100%]]}}}|| || '''{{{#fff 봉화산역 5번 출구[* 지금은 [[홈플러스 신내점]]과 상가들이 우상단 공터에 들어서 있다.] }}}''' || [[서울 지하철 6호선]] 647번. [[서울특별시]] [[중랑구]] 신내로 지하232 ([[신내동]] 643-1)에 위치해 있다. == 역 정보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38-봉화산.jpg|width=100%]]}}}|| || {{{#ffffff '''역 안내도'''}}}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봉화산역 6호선.jpg|width=100%]]}}}|| || {{{#ffffff '''대합실'''}}} || 2면 3선식 승강장을 가지고 있다. 역 이름은 인근의 야산인 [[봉화산#s-1]]에서 유래했다. 역명 확정 이전의 가칭은 신내역이었으나 1992년 역명 확정 당시에 현재처럼 봉화산역이 되었다. 봉화산 관련 내용은 해당 문서 참조. 2019년 12월 20일 까지는 시종착역이었지만 2019년 12월 21일에 [[신내역]]의 개통으로 인해 중간역으로 바뀌었다. 다만 단선으로 연장되었기에 일부 열차는 이 역까지만 운행한다. 2010년 11월 27일부터 2011년 12월까지 에스컬레이터 설치공사로 인해 3번 출구를 철거하였고, 2011년 12월에 3번 출구의 에스컬레이터 공사를 끝냈다. 일단은 에스컬레이터지만 내려가는 길에서는 내려가는 길이라서 올라가는 길에서는 서둘러 버스를 타거나 가까운 자택으로 귀가하려는 이용객들이 바쁘게 지나가기 때문에 서서 타고 가는 경우는 거의 없다. 에스컬레이터 완성 직후부터 한동안 '''"이용객 여러분 지난 1년 간 수고하셨습니다"''', 라는 플래카드가 3번 출구쪽 벽면에 붙어 있었다. 에스컬레이터로 만든 3번 출구가 상당히 좁기 때문에 이용객이 급속히 늘어나는 출퇴근시간대에는 에스컬레이터를 타기 위한 병목현상으로 긴 줄이 발생한다. [[서울교통공사]] 관할 역들 중에는 드물게 마감재가 타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런 형태의 역은 [[대구 도시철도 2호선]] [[수성구청역]]에도 찾아볼 수 있다. 또한 위 사진 왼쪽에서 보듯 타일으로 봉화산과 봉수대의 모양을 형상화하여 꾸며놓았는데 이러한 것도 1기 지하철스러운 느낌을 준다. == 역 주변 정보 == 이름처럼 봉화산이 주변에 있지만 그리 가깝지는 않다. 2km로 [[봉화산]]에서 [[망우역]]까지랑 비슷한 거리다. 대개 단독주택 지역이 많은 일반적인 [[중랑구]]와는 달리 1990년대 후반에 조성된 신내신도시의 배후 지하철역이다. 전 역인 [[태릉입구역]]과 [[화랑대역]]이 노원구에 있어서 처음 이곳에 온 사람은 [[노원구]]로 착각하기 쉽다. 주변에는 [[중랑소방서]], [[홈플러스 신내점]]이 있으며, 좀 떨어진 곳에 [[서울중랑경찰서]]가 있다. 이 역이 있는 곳 뒷편으로 있는 큰 도로는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구리IC]]로 연결되는 도로이며 반대쪽으로 가면 내부순환로와 직결된다. [[중랑공영차고지]]로 진입하기 위해서는 2번 출구에서 이동할 것을 추천한다. 2011년, 이 역과 [[신내역]] 사이에 [[서울특별시 서울의료원]]이 완공되고 본래 있었던 [[강남구]] 삼성동 본원은 강남분원으로 변경되면서 2013년 12월 26일에 병기역명으로 '''서울의료원'''이 추가되었고,[* [[http://www2.seoul.go.kr/snews/data/CN_MST/2013-%C1%A63210%C8%A3-pdf.pdf|서울특별시고시 제2013-469호, 2013-12-26, 서울특별시]]] 역 이름 변경에 따른 시설물 교체는 2014년 2월 28일까지 완료되었다. 여담으로 이 역의 1번 출구는 이용률이 정말로 0에 가깝다. 1번 출구를 이용해서 갈 수 있을 만한 역세권이 정말 아무 것도 없기 때문이다. === 출구 정보 === ||<-2> {{{#000,#fff [[파일:Seoulmetro6_icon.svg|width=20]] 봉화산(서울의료원)역 출구 정보}}} || ||<-2> {{{#000,#fff 1,4,5번 출구}}} || ||{{{#ffffff 1}}}||공릉동[br]공릉근린공원|| ||{{{#ffffff 4}}}||중랑정보도서관[br]신내동우체국[br]봉화산[br]중랑·노원구선거관리위원회[br]중랑구민체육센터[br]원묵고등학교[br]금성초등학교[br]구립신내노인종합복지관[br]중랑구시설관리공단|| ||{{{#ffffff 5}}}||묵1동[br]태릉고등학교[br]신내대림·두산아파트|| ||<-2> {{{#000,#fff 2,3번 출구}}} || ||{{{#ffffff 2}}}||서울특별시 서울의료원[br]봉화산역환승주차장[br]신내데시앙아파트|| ||{{{#ffffff 3}}}||중랑소방서[br]봉화지구대[br]봉화초등학교|| == 일평균 이용객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 {{{#ffffff '''연도'''}}} || [[서울 지하철 6호선|[[파일:Seoulmetro6_icon.svg|width=25]]]] || {{{#ffffff '''비고'''}}} || ||<^|1><-3>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2000년~2009년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 2000년 || 7,463명 || [* 개통일인 8월 7일부터 12월 31일까지 147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 || || 2001년 || 12,011명 || || || 2002년 || 14,110명 || {{{#fff,#1f2023 비고}}} || || 2003년 || 15,240명 || || || 2004년 || 15,757명 || || || 2005년 || 15,706명 || || || 2006년 || 15,513명 || || || 2007년 || 15,030명 || || || 2008년 || 14,785명 || || || 2009년 || 14,731명 || ||}}}}}}}}} || || 2010년 || 16,075명 || || || 2011년 || 16,325명 || || || 2012년 || 17,062명 || || || 2013년 || 17,370명 || || || 2014년 || 18,413명 || || || 2015년 || 18,768명 || || || 2016년 || 18,485명 || || || 2017년 || 18,476명 || || || 2018년 || 18,880명 || || || 2019년 || {{{#cd7c2f 19,585명}}} || || || 2020년 || 14,456명 || || || 2021년 || 14,248명 || || || 2022년 || 15,445명 || || ||<-3> {{{#ffffff '''출처'''}}} || ||<-3> [[http://www.seoulmetro.co.kr/kr/board.do?menuIdx=548|서울교통공사 자료실]] || }}} 6호선의 종점으로 역 위에는 [[북부간선도로]]와 [[육군사관학교]]가 있어 시가지가 형성되지 못하였고[* 육사는 단순한 4년제 대학이 아니라 군사학교라 대학 캠퍼스도 군부대와 같은 국가보안시설로 간주되어 주변 개발에 제한을 두기 때문이다. 육사 근처는 로드맵을 펴도 모자이크 처리되어 있다.], 오로지 역 남쪽으로만 소수의 아파트 단지가 있어 경기도의 택지지구와 비슷한 분위기를 띤다. 따라서 역세권이 신내1지구에 한정되어 이용객이 적을 수밖에 없는 입지임에도 하루 평균 18,000여 명이 이용을 하고 있다. 6호선 내에서는 19위로 나름 중상위권이다. 2000년대에는 15,000명 내외를 꾸준히 유지하다가 [[서울의료원]]이 2011년 5월에 지금의 자리로 들어오면서 이용객이 소폭 증가하였다. [[중랑공영차고지]] 및 [[신내역]] 일대에 택지지구가 조성되고 있어 이쪽의 개발이 끝나면 일정 부분 혜택을 입을 것으로 예측되지만 6호선 [[신내역]]이 개통에도 환승저항 탓인지 이용객수에는 크게 영향을 받지 않고 있다. == 승강장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봉화산역 승강장.jpg|width=100%]]}}}|| || '''{{{#fff 6호선 승강장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봉화산역 역명판.jpg|width=100%]]}}}|| || '''{{{#fff 6호선 역명판 }}}''' || 봉화산역은 2면 3선의 승강장이며,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스크린도어가 닫힐 때 경고음이 추가되었다. ||<-7> [[화랑대역|화랑대]] ↑ || || ㅣ || {{{#ffffff 하}}} || {{{#ffffff 중}}} || ㅣ || {{{#ffffff 중}}} || {{{#ffffff 상}}} || ㅣ || ||<-7> ↓ [[신내역|신내]]/[[신내차량사업소|신내기지]] || || {{{#ffffff 상}}} ||<|3> [[파일:Seoulmetro6_icon.svg|width=17]] [[서울 지하철 6호선]] ||출고열차 시착/[[태릉입구역|태릉입구]]·[[석계역|석계]]·[[고려대역|고려대]]·[[삼각지역|삼각지]]·[[응암역|응암]] 방면|| || {{{#ffffff 중}}} ||종착 후 회차|| || {{{#ffffff 하}}} ||입고열차 종착/[[신내역|신내]] 방면|| 신내역 연장개통 전에는 중앙홈과 하행홈에 번갈아가면서 당역종착 열차가 들어왔다.[* 중앙홈에 들어온 열차는 [[오리카에시]] 식으로 바로 응암순환 방향으로 나갔고, 하행홈에 들어온 열차는 신내차량사업소로 입고했다.] [[서울 지하철 7호선|7호선]] [[온수역]]과 비슷한 구조인데, 신내역이 개통하면서 열차 진입홈이 바뀌었다. 다만 봉화산역 ↔ 신내역 구간이 단선이기 때문에 전부 신내행으로 옮겨지진 않고 [[장암역]]과 [[도봉산역]]처럼 봉화산행과 신내행으로 나뉘어지게 되었는데, 봉화산행은 바깥쪽 선로와 중간 선로로 대략 1:1의 비율로 들어가고 신내행은 모두 바깥쪽 승강장을 이용한다. 즉, [[서울 지하철 5호선|5호선]] [[하남선]] 연장 이후의 [[상일동역]], 7호선 [[석남역]] 연장 이후의 온수역, [[인천 도시철도 1호선|인천 1호선]]의 [[박촌역]]과 같은 구조로 운행된다. 실제 승강장에는 상행홈에 1번 승강장, 중앙홈에 2번 승강장(상행홈 쪽), 3번 승강장(하행홈 쪽), 하행홈에 4번 승강장이라고 쓰여있다. == 연계 교통 == 봉화산역 부근에 정류소들이 산개되어 있으며, 봉화산역을 다양한 경로로 굴곡지게 지나간다. === 신내로 정류소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 {{{+1 {{{#373a3c,#dddddd '''봉화산역2번출구(07296)'''}}}}}} {{{#!wiki style="text-align: left" * 2번 출구에 위치한 정류소이다. * [[서울 버스 1122|1122번]]은 4번 출구 건너편 정류소에서도 승차할 수 있다.}}} || ||<^|1>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버스 목록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2> '''신내6단지 방면''' || || [[간선버스|{{{#ffffff 간선}}}]]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d5bab; font-size: .95em" [[서울 버스 241|{{{#ffffff 241(논현역)}}}]]}}} || || [[지선버스|{{{#ffffff 지선}}}]]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서울 버스 2012|{{{#ffffff 2012(중랑차고지)}}}]]}}} || ||<-2> '''구립도서관 방면''' || || [[지선버스|{{{#ffffff 지선}}}]]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서울 버스 1122|{{{#ffffff 1122(원자력병원)}}}]]}}}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서울 버스 2236|{{{#ffffff 2236(중랑차고지)}}}]]}}} || ||<-2> '''원묵초교 방면''' || || [[지선버스|{{{#ffffff 지선}}}]]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서울 버스 2114|{{{#ffffff 2114(태릉시장)}}}]]}}}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서울 버스 2236|{{{#ffffff 2236(신이문역)}}}]]}}} || ||<-2> '''화랑대역 방면''' || || [[지선버스|{{{#ffffff 지선}}}]]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서울 버스 1221|{{{#ffffff 1221(중계동)}}}]]}}}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서울 버스 2212|{{{#ffffff 2212(불암동)}}}]]}}} || || [[일반시내버스|{{{#ffffff 일반시내}}}]]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95em" [[구리 버스 75|{{{#ffffff 75(석계역)}}}]]}}}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95em" [[구리 버스 75-1|{{{#ffffff 75-1(화랑대역)}}}]]}}} || }}}}}}}}} ||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 {{{+1 {{{#373a3c,#dddddd '''봉화산역3번출구(07297)'''}}}}}} {{{#!wiki style="text-align: left" * 3번 출구에 위치한 정류소이다. * [[서울 버스 1122|1122번]]은 4번 출구 정류소에서도 승차할 수 있다.}}} || ||<^|1>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버스 목록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2> '''의료원정문 방면''' || || [[지선버스|{{{#ffffff 지선}}}]]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서울 버스 1122|{{{#ffffff 1122(석관동)}}}]]}}}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서울 버스 2012|{{{#ffffff 2012(동대문역사문화공원)}}}]]}}}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서울 버스 2236|{{{#ffffff 2236(신이문역)}}}]]}}} || ||<-2> '''의료원후문 방면''' || || [[간선버스|{{{#ffffff 간선}}}]]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d5bab; font-size: .95em" [[서울 버스 241|{{{#ffffff 241(중랑차고지)}}}]]}}} || || [[지선버스|{{{#ffffff 지선}}}]]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서울 버스 2114|{{{#ffffff 2114(중랑차고지)}}}]]}}}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서울 버스 2212|{{{#ffffff 2212(면목동)}}}]]}}}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서울 버스 2236|{{{#ffffff 2236(중랑차고지)}}}]]}}} || || [[일반시내버스|{{{#ffffff 일반시내}}}]]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95em" [[구리 버스 75|{{{#ffffff 75(갈매역)}}}]]}}}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95em" [[구리 버스 75-1|{{{#ffffff 75-1(갈매역)}}}]]}}} || ||<-2> '''봉화초교 방면''' || || [[지선버스|{{{#ffffff 지선}}}]]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서울 버스 1221|{{{#ffffff 1221(서울의료원)}}}]]}}} || }}}}}}}}} || }}} === 신내로21길 정류소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 {{{+1 {{{#373a3c,#dddddd '''신내우체국.5단지두산대림아파트(07288)'''}}}}}} {{{#!wiki style="text-align: left" * 4번 출구에 위치한 정류소이다. * [[서울 버스 1122|1122번]]은 3번 출구 정류소에서도 승차할 수 있다.}}} || ||<^|1>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버스 목록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2> '''신내6단지·의료원정문 방면''' || || [[간선버스|{{{#ffffff 간선}}}]]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d5bab; font-size: .95em" [[서울 버스 240|{{{#ffffff 240(신사역)}}}]]}}} || || [[지선버스|{{{#ffffff 지선}}}]]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서울 버스 2113|{{{#ffffff 2113(중랑차고지)}}}]]}}} || ||<-2> '''봉화산역·의료원정문 방면''' || || [[지선버스|{{{#ffffff 지선}}}]]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서울 버스 1122|{{{#ffffff 1122(석관동)}}}]]}}}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서울 버스 2236|{{{#ffffff 2236(신이문역)}}}]]}}} || }}}}}}}}} ||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 {{{+1 {{{#373a3c,#dddddd '''신내우체국.5단지두산대림아파트(07289)'''}}}}}} {{{#!wiki style="text-align: left" * 4번 출구 건너편에 위치한 정류소이다. * [[서울 버스 1122|1122번]]은 2번 출구 정류소에서도 승차할 수 있다.}}} || ||<^|1>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버스 목록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2> '''구립도서관 방면''' || || [[지선버스|{{{#ffffff 지선}}}]]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서울 버스 1122|{{{#ffffff 1122(원자력병원)}}}]]}}}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서울 버스 1143|{{{#ffffff 1143(수락리버시티)}}}]]}}}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서울 버스 2113|{{{#ffffff 2113(석계역)}}}]]}}}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서울 버스 2236|{{{#ffffff 2236(중랑차고지)}}}]]}}} || ||<-2> '''봉화초교 방면''' || || [[간선버스|{{{#ffffff 간선}}}]]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d5bab; font-size: .95em" [[서울 버스 240|{{{#ffffff 240(중랑차고지)}}}]]}}} || }}}}}}}}} || }}} == 둘러보기 == [include(틀:서울 지하철 6호선의 역 목록)] [[분류:2000년 개업한 철도역]][[분류:중랑구의 도시철도역]][[분류:서울 지하철 6호선]][[분류:나무위키 철도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