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 나무위키 내 별도 문서가 존재하는 '''우표의 종류''' || || [[보통우표]] || [[기념우표]] || [[영원우표]] || || [[인터넷 우표]] || [[부가금우표]] || [[맞춤형 우표]] || Semi-postal stamp, Charity stamp 부가금우표는 우체국에서 특별한 기금 조성을 위해 발행되는 [[우표]]이다. 보통 [[보통우표]]나 [[기념우표]]는 액면가만큼의 가치를 지니고 액면가에 판매되지만, 부가금우표는 액면가만큼의 가치를 지니되 판매되는 가격은 그보다 약간(어떤 경우에는 좀 많이) 높게 판매된다. 액면가와 판매가의 차액만큼이 해당 우표가 조성하고자 하는 기금으로 편입되는 방식. [[세금]]이 합법적인 삥뜯기이고 [[복권]]이 한방을 노리는 자들에게 확률로 꼬셔서 그럴듯하게 뜯는 삥이라면, 부가금우표는 [[우표 수집|우취]]가들이 자발적으로 뜯기는 삥이라고 보면 되겠다. 그래도 액수가 너무 크면 곤란하기 때문에 액면의 50%가 넘는 우표는 예전부터 우취, 수집의 대상에서 거부한다. 아예 우표를 발행할 때부터 부가금우표로 기획하면 '''70 +30'''처럼 부가금이 얼마인지 찍어 주지만, 나중에 부가금우표로 전환하는 경우 첨쇄로 자기들이 원하는 금액을 찍어넣는 경우도 있다. 이런 형식의 우표를 많이 발행한 나라들로는 이 분야의 선구자인 [[영국]], 전문가들인 [[독일]]과 [[스위스]]가 있다. 의외로 [[미국]]은 좀 늦은 편으로, 최초의 부가금우표가 1998년에 [[유방암]] 기금 모금을 위해서 발행되었다. 물론 [[우정사업본부|우리의 우사본]]도 [[1988 서울 올림픽]] 전인 1985년과 1986년에 부가금우표를 발행한 적이 있다. [[분류:우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