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현재 동일 노선을 운항하는 훼리, rd1=부관훼리)] [include(틀:폐쇄된 교통시설)] [include(틀:일본의 철도 연락선)] ||<:>{{{+1 [ruby(関, ruby=かん)][ruby(釜, ruby=ふ)][ruby(連, ruby=れん)][ruby(絡, ruby=らく)][ruby(船, ruby=せん)]}}}||<:>{{{+1 Kanfu Train Ferry}}}|| [youtube(Yofc2mx5Vlo)] 1930년대 영상 ||<-2>|| ||<-2><:>{{{#000000 {{{+1 関釜連絡船 (釜關連絡船)}}}[br]Kanfu Train Ferry / 부관연락선 (관부연락선[* 일본어로는 '칸후렌라쿠센'(かんふれんらくせん)])}}}[br]{{{#red (폐지)}}}|| ||<:><-2>[[파일:attachment/Abukan.jpg|width=100%]] 객선 도쿠주마루(徳寿丸)|| ||<-2><:>'''노선 정보'''|| ||<:>'''분류'''||<:>[[철도 연락선]]|| ||<:>'''기점'''||<:>[[시모노세키역]]|| ||<:>'''종점'''||<:>[[부산잔교역]]|| ||<:>'''개업일'''||<:>[[1905년]] [[9월 11일]]|| ||<:>'''폐업일'''||<:>[[1945년]] [[6월]]|| ||<:>'''소유자'''||<|2><:>산요기선(山陽汽船)→철도원(鉄道院)|| ||<:>'''운영자'''|| ||<-2><:>'''노선 제원'''|| ||<:>'''항로거리'''||<:>240.0km|| [목차] [clearfix] == 개요 == 1905년 9월 산요기선주식회사(山陽汽船株式會社)가 개설한 [[조선]] [[부산항]]과 [[일본]] [[시모노세키]]항 연결 해운 노선. 부관/관부는 각각 부산(釜山)과 시모노세키(下關)를 따서 붙인 이름이다. [[경부선]] [[부산잔교역]]과 [[산요 본선]] [[시모노세키역]]을 연결하는 노선이었기 때문에 연락선이라는 명칭이 붙었다. 일본 입장에서 경부선은 산요 본선과 [[도카이도 본선]] 연장이었고, 따라서 [[서울역|경성역]] 방면은 하행이었다. 일본 [[수도(행정구역)|수도]]였던 [[도쿄역|도쿄]] 방면이 상행이라고 보았기 때문이다. 당시 연락선에서 내려 열차를 갈아탔는데 [[서울역|경성역]]행이 하행으로 표기되었다는 것에 괴리감을 느낀 증언이 남아 있다. 조선과 일본의 철도 궤간이 [[표준궤]]와 [[협궤]]로 달랐기 때문에 선박 내에 철도차량을 적재할 수 있는 별도의 궤도가 없이 환적하는 방식이었다. 1945년 6월 공습과 [[어뢰]]/[[기뢰]] 공격이 잦아지자 정기 항로로서는 휴항하였고, 사실상 이것으로 역사는 끝난다. 이 노선은 [[한일기본조약|한일국교 정상화]] 이후인 1970년 6월부터 [[부관훼리]]/관부페리로 부산 ~ 시모노세키 항로가 복구되어 지금도 운항되고 있다. 부관훼리는 일반 [[카 페리]] 노선 운항 중이므로 완전히 같지는 않으나, 부관연락선이 그 전신격으로 여겨진다. [[일제강점기]] 당시 인적/물적 수송 대동맥 중 하나로 식민지 시기 사회/경제에 큰 영향을 끼친 해운 노선이라고 할 수 있다. == 운항 목적 == 일제의 조선 침탈 수단으로서 활용되었다. 이 항로는 일본 ~ 조선 ~ [[만주]]로 이어지는 대륙 침탈 기지 중계 노선으로서 국가 정책적/군사 전략적으로 매우 중요한 노선이었다. 통계에 의하면[* P.31『부관연락선과 부산』, 논형, 2007] 노선이 개설된 1905년 총 수송객 수가 39,956명인데 이것이 점차 늘어나 1910년대 말 40만명을 넘고, 1930년대 후반 100만명을 넘어서며 [[태평양 전쟁|본격적으로 조선인을 징용/징병하는 1940년대]]가 되면서 200만, 많게는 300만 가까운 인원을 수송하게 된다. 40년간 약 3천만 달하는 인원을 수송하는 명실상부한 조선과 일본 간 대동맥 역할을 수행했다. 물론 다른 해운노선도 많았지만, 통계자료 차이는 있으나 조선과 일본 간을 도항한 약 8,90% 인원이 왕복했다. 물론 물류 수송 측면에서도 큰 역할을 담당한 노선이었다. 조선에서 일본으로 건너가는 사람들인 경우는 유학생, 사업가, 노동자 등이었으며 노동자인 경우 값싸고 힘이 세다는 이유로 수요가 많았다. 전시 체제가 가동되던 1930년대 말~ 패망시기에는 강제 징용으로 끌려가는 경우도 많았다. 일본에서 조선으로 건너가는 사람들인 경우는 대부분 이주 정책으로 온 농민들이 많았다. [[동양척식주식회사]]에서 싼 값으로 토지를 불하받아 자영농이 되었다. 자매품으로 [[하코다테 본선]] [[하코다테역]]과 [[도호쿠 본선]] [[아오모리역]]을 이었던 [[세이칸 연락선]], [[소야 본선]] [[왓카나이역]]과 [[가라후토]] 동선 [[코르사코프|오토마리역]]을 이었던 [[치하쿠 연락선]]이 있었다. 치하쿠 연락선은 부관연락선과 함께 [[제2차 세계 대전]] 패전으로 폐지, 세이칸 연락선은 현재 [[세이칸 터널]]로 대체되었다. == 운항 선박[* P.35『부관연락선과 부산』, 논형, 2007.] == 이 외에도 부관 항로에 일시적으로 투입되었던 선박은 많으나 임시선이 아닌 정기선으로 장기취항한 선박만 목록에 넣었다. 또 운항 기간은 부관 항로만의 운항기간으로 부관항로에서 퇴역한 이후에 일본군에 징발되거나, 다른 항로에 투입되거나 한 선박도 많다. 예를 들면 게이후쿠마루(경복환)는 [[토야마루 침몰사고]] 이후 세이칸 항로의 연락선으로 투입되었고, 현역에서 물러난 뒤에는 하코다테에서 선상 호텔로 사용되다가 해체되었다. || 선명 || 운항기간 || 총 톤수 || 길이(m) || 정원(명) || 적재량(t) || 속도(Knot) || 비고 || ||이키마루(壹岐丸)|| 1905.9 ~ 1931.5 || 1,680 || 79.4 || 337 || 300 || 15 ||최초 취항 선박 || ||쓰시마마루(對馬丸)|| 1905.11 ~ 1925.12 || 1,679 || 82.5 || 337 || 300 || 15 ||1925년 12월 17일 좌초 사고로 침몰(사상자는 없음) || ||고마마루(高麗丸)|| 1913.1 ~ 1932.10 || 3,029 || 102 || 603 || 930 || 16 || || ||시라기마루(新羅丸)|| 1913.4 ~ 1945.5 || 3,024 || 98.9 || 603 || 930 || 16 ||1945년 5월 25일 관문해협상에서 기뢰에 피침, 침몰. || ||게이후쿠마루(景福丸) || 1922.5 ~ 1945.6 || 3,620 || 114.3 || 949 || 430 || 20 || || ||도쿠주마루(徳壽丸) || 1922.11 ~ 1945.6 || 3,620 || 114.3 || 945 || 430 || 20 || || ||쇼케이마루(昌慶丸) || 1923.3 ~ 1945.6 || 3,620 || 114.3 || 945 || 430 || 20 ||창경이라는 이름을 가졌으나 [[창경호 침몰 사고]]와는 무관하다. || ||콘고마루(金剛丸)|| 1931.11 ~ 1945.5 || 7,082 || 134.1 || 1,746 || 3,170 || 23.2 ||1945년 5월 27일 [[하카타]] 항에서 기뢰에 피침, 침몰(사망자 1명, 부상자 4명) || ||코안마루(興安丸) || 1937.1 ~ 1945.6 || 7,082 || 134.1 || 1,746 || 3,170 || 23.2 ||1945년 4월 1일 기뢰에 피침, 항행불능 || ||이키마루(壹岐丸)|| 1940.11 ~ 1945.6 || 3,519 || 103.8 || - || 4,617 || 17.2 ||화물선. 앞의 이키마루와는 다른 배. 1945년 4월 5일 기뢰에 피침, 항행불능 || ||쓰시마마루(對馬丸)|| 1941.4 ~ 1945.6 || 3,516 || 103.8 || - || 4,617 || 17.2 ||화물선. 앞의 쓰시마마루와는 다른 배. 1945년 8월 13일 청진항에서 소련 전투기/폭격기의 공습으로 격침, 침몰. || ||텐잔마루(天山丸) || 1942.9 ~ 1945.6 || 7,907 || 143.4 || 2,048 || 2,223 || 23.3 ||1945년 7월 28일 미군기의 로켓 공격으로 항행불능. 침수되기 시작하여 침몰. 이후 건져져 창경호로 개조 되었다가 1953년 1월 9일 [[창경호 침몰 사고|다시 침몰]]. 창경호의 기원은 확실하지 않지만, 당시 연락선으로 쓰일 만한 배를 개조할 능력이 없었으니 이 배일 가능성이 높다고 한다. 6.25 전쟁 중인데다 일본 배를 그냥 쓴다는 것이 쪽팔렸던지 당시에는 이 배의 기원에 대해 제대로 된 보도가 없었다. 하지만 물자가 부족하던 시절이라, 엔진은 건져져 한일호라는 배에 쓰였다가 1967년 해군 충남함과 충돌해 침몰 ~~리얼 재수 옴붙은 배~~. || ||콘론마루(崑崙丸) || 1943.4 ~ 1943.10 || 7,908 || 143.4 || 2,050 || 2,223 || 23.4 ||1943년 10월 5일 미 해군 [[가토급 잠수함]] 28번함 SS-238 와후의 어뢰 공격으로 격침, 승무원과 승객 중 중의원 2명을 포함한 585명이 사망했다. 와후는 이후 일본 상선 2척을 더 격침시킨 뒤 [[홋카이도]]의 소야 해협을 통해 태평양으로 빠져나가려 했으나 일본군의 감시망에 걸려 폭뢰공격으로 격침당했다. || 배 이름을 보면 묘한 특징이 있는데 아직 정식으로 일제의 지배가 시작된 것이 아닌 1900년대에는 [[이키]], [[쓰시마 섬]] 같은 일본과 한반도 사이의 섬들이 붙는다. 그러다가 일제의 한반도 식민통치가 본격화된 1910~1930년 사이에 취항한 선박에는 한반도 내의 왕조 이름([[신라]], [[고려]]), 궁궐 이름([[경복궁]], [[덕수궁]], [[창경궁]]), 산 이름([[금강산]])으로 붙여지고, [[만주사변]]이후 [[중일전쟁]]기에 접어드는 1930년대 이후에는 만주, 중국의 지명인 싱안(다싱안링산맥), 톈산([[톈산 산맥]]), 쿤룬([[쿤룬 산맥]])으로 옮겨가는 것을 볼 수 있다. 즉 일본 → 대한제국 → 만주 → 중국으로 점차 확장되는 일제의 침략 의도가 배 이름에서 고스란히 드러난다. == 운임 및 이용 == 운임은 1905년 노선 개설 당시에 1등석 12엔, 2등석 7엔, 3등석 3엔 50센이었다. 이후 1942년 조정된 운임은 1등석 20엔, 2등석 10엔, 3등석 5엔. [[일본인]]들의 조선 도항에는 큰 제한이 없었으나 [[조선인]]들의 일본([[내지]]) 도항에는 여러 차례 제한이 있었다. 일본 도항을 위해서는 도항증명서를 얻어야 했는데, 이런 도항 허가제는 일본 본토의 정치/경제 사정에 따라 여러 번 폐지되었다가 다시 생기기를 반복했다. 특히 [[다이쇼 데모크라시]] 시절부터 조선인, [[대만인]]도 일단 주소지가 '내지'면 투표권을 줬기 때문에 일본 도항에 더 민감해졌다. 최종적으로 내지 도항제한이 완전히 철폐된 것은 1945년 3월에 이르러서였는데 이것은 이미 패색이 짙은 상황에서 일본 본토 내의 노동력이 부족해 더 이상 도항 제한을 둘 이유가 없었기 때문으로, 언제까지나 조선인의 도항 난이도는 일제의 의도대로 흘러간 것이다. == 기타 == * 한기주와 함께 한국 최초의 [[소프라노]] 여가수였던 [[윤심덕]]이 1926년 8월 4일 이 노선의 도쿠주마루를 타고 가던 중 새벽 4시 [[대마도]] 근해를 지나던 중 애인이었던 유부남 김우진과 함께 [[자살]]하였다. 이 사건은 당시 큰 화제가 되었으며, 1991년 '사의 찬미'라는 제목으로 영화화되기도 했다. * [[염상섭]]의 소설 『만세전』의 주인공 이인화가 탔던 배도 이 부관연락선이다. * [[조용필]]의 노래 [[돌아와요 부산항에]]의 가사에서 '''"[[오륙도]] 돌아가는 연락선마다, 목매어 불러봐도 대답없는 내 형제여"''' 부분에서도 언급된다. * 현재는 '[[http://www.kampuferry.co.jp/passenger/daiya/daiya.html|칸푸훼리(関釜フェリー)]]'사에서 운영하는 하마유우(はまゆう)호와 [[https://www.pukwan.co.kr/|부관훼리(주)]]에서 운항하는 성희호가 부산-시모노세키간을 운행중이다. 자세한 내용은 [[부관훼리]] 참조. [br]한편 1988년부터 시행했던 [[코레일]]과 [[JR그룹]] 6개사가 연계하여 판매하는 [[한일공동승차권]]이 이와 비슷한 방식으로 되어 있었다. KTX([[서울역|서울]] - [[부산역|부산]]) ↔ 부관페리(부산 - [[시모노세키]]) ↔ 시모노세키에서 일본 각지로 철도가 연계되는 구조. 하지만 항공편에 비해 시간대비 가격의 메리트가 떨어지는데다 시모노세키가 후쿠오카, 오사카, 도쿄에 비해 관광지로서의 매력이 떨어지는 편이라 이용률은 저조한 편. 결국 2015년 6월 30일자로 폐지되었다. * [[길창덕]] 화백의 만화 [[쭉쟁이]]에서는 황당하게도 주인공 쭉쟁이가 이 배를 타고 일본 [[시모노세키]]까지 가는 에피소드가 그려진다. 그것도 [[여권]]도 없이! * 이 노선을 배경으로 한 연극 [[관부연락선(연극)]]이 있다. [[분류:부관연락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