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 [[파일:부다페스트 혼베드 FC 로고.svg|width=300]] || ||<-2> '''{{{#09120B {{{+1 부다페스트 혼베드 FC}}}}}}''' || ||<-2> '''{{{#F4E077 {{{+1 Budapest Honvéd FC}}}}}}''' || || '''정식 명칭''' ||Budapest Honvéd Football Club || || '''[[축구단 별명|{{{#09120B __별칭__}}}]]''' ||Mighty Magyars || || '''창단''' ||[[1909년|{{{#000,#ddd 1909년}}}]] [[8월 3일|{{{#000,#ddd 8월 3일}}}]] '''^^([age(1909-08-03)]주년)^^'''[* [[http://honvedfc.hu/tartalom/kispesti-labdarugas-tortenete|#]]] || || '''소속 리그''' ||[[넴제티 바이녹사그 II]] (Nemzeti Bajnokság II) || || '''연고지''' ||[[부다페스트]] 키슈페슈트구 (Kispest) || || '''홈구장''' ||보지크 아레나(Bozsik Arena) [br] (8,200명 수용) || || '''구단주''' ||조지 헤밍웨이 (George Hemingway) || || '''감독''' ||데안 클라푸리치 (Dean Klafurić) || || '''공식 웹사이트''' ||[[https://honvedfc.hu|[[파일:부다페스트 혼베드 FC 로고.svg|height=25]]]] [[https://www.facebook.com/honvedfc|[[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5]]]] [[https://www.instagram.com/bphonvedfcofficial/|[[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5]]]] [[https://www.youtube.com/@budapesthonvedfc|[[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 [[https://www.linkedin.com/company/budapest-honved-fc|[[파일:LinkedIn 아이콘.svg|width=25]]]] || || '''[[영구결번/스포츠|{{{#09120B 영구결번}}}]]''' ||{{{#!wiki style="background-color: #E2001C; margin: 0px; border-radius: 10px; display: inline-block; font-style: normal; width: 20px; text-align: center" {{{#09120B '''10'''}}}}}} [[페렌츠 푸스카스]] (Ferenc Puskás)[* 2000년 7월에 영구결번으로 지정했다.] || ||<-2> '''{{{#F4E077 우승 기록}}}''' || || '''{{{#ccac00 ★}}}'''[br]'''[[넴제티 버이녹샤그 I|{{{#09120B __넴제티 버이녹샤그 I__}}}]]'''[br](14회) ||1949-50, 1950, 1952, 1954, 1955, 1979-80, 1983-84, 1984-85, 1985-86, 1987-88,[br] 1988-89, 1990-91, 1992-93, 2016-17 || || '''__넴제티 바이녹사그 II__ (2부)'''[br](2회) ||1904, 1911-12 || || '''__머저르 쿠퍼__[* [[헝가리 축구 연맹]] 컵]'''[br](8회) ||1925-26, 1964, 1984-85, 1988-89, 1995-96, 2006-07, 2008-09, 2019-20 || || '''__리가 쿠퍼__'''[br](3회) ||2008, 2009, 2012 || || '''__머저르 수페르쿠퍼__'''[br](3회) ||1992, 2002, 2014 || || [[미트로파컵|'''{{{#09120B __미트로파컵__}}}''']][br](1회) ||1959 || ||<-2> '''{{{#F4E077 클럽 기록}}}''' || || '''역대 최다 이적료 영입''' ||[include(틀:국기, 국명=스페인, 출력= )] [[노노(1993)|노노]] (Nono)[br](2021년, From [[ŠK 슬로반 브라티슬라바]], 50만 €) || || '''역대 최다 이적료 방출''' ||[[헝가리 인민공화국|{{{#!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7px; padding:1px;background:#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파일:헝가리 인민 공화국 국기(1957–1990).svg|width=100%]]}}}]] [[러요시 디타리]] (Lajos Détári)[br](1987년, To [[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 180만 €) || || '''최다 출전''' ||[[요제프 보지크]] (József Bozsik) - 447경기 (1943~1962) || || '''최다 득점''' ||[[페렌츠 푸스카스]] (Ferenc Puskás) - 358골 (1943~1956) || || '''리그 득점왕'''[br](25회) ||[[페렌츠 푸스카스]] (1947-48, 1949-50, 1950, 1953) [br] [[산도르 코츠시스]] (1950-51, 1951-52, 1953-54) [br] [[졸탄 치보르]] (1955)[*A 공동수상] [br] [[페렌츠 머호시]] (1955)[*A] [br] [[러요시 티히]] (1958-59, 1960-61, 1961-62, 1963, 1964) [br] [[미하이 코즈머]] (1970-71, 1973-74, 1974-75) [br] [[러요시 디타리]] (1984-85, 1985-86, 1986-87) [br] [[요제프 그레고르]] (1990-91) [br] [[일리시 빌러]] (1993-94) [br] [[마르톤 에펠]] (2016-17) [br] [[다비드 란자파메]] (2017-18) [br] [[필리프 홀렌데르]] (2018-19) || [목차] [clearfix] == 개요 == [[헝가리]]의 축구 클럽으로, [[부다페스트]] 키슈페슈트구의 축구 클럽으로 혼베드(Honved)는 헝가리어로 "군대"를 뜻한다. == 역사 == [[1909년]] 키슈페슈티 AC(Kispesti AC)로 창단되었으며, [[1949년]] 구단의 소유권이 [[헝가리군]]에 넘어가면서 지금과 같은 이름이 되었다. 축구 뿐만 아니라 [[펜싱]], [[사이클(스포츠)|사이클]], [[체조]], [[레슬링]], [[육상]], [[복싱]], [[테니스]], [[수구]], [[핸드볼]] 선수단도 운영한다. 헝가리 군의 지원을 바탕으로 '매직 마자르'라 불리던 당시 세계 최고였던 [[헝가리 축구 국가대표팀]]의 주전 11명중 7명이 이 팀에서 뛰었고,[* 페렌츠 푸스카스, 줄러 그로시치, 줄러 로란트, 산도르 코츠시스, 졸탄 치보르, 요제프 보직, 라슬로 부다이] 혼베드는 1949년부터 1955년까지 5차례 우승을 차지하며[* 중간에 2차례 우승을 차지하지 못했는데, [[히데그쿠티 난도르]]를 비롯해 헝가리 국가대표팀 3명이 있었던 [[MTK 부다페스트]]가 우승을 차지했다.] 세계 최고의 팀으로 인정받았다. 그러던 중 1954년 12월 잉글랜드 챔피언이었던 [[울버햄튼 원더러스 FC]]와 부다페스트 혼베드가 친선 경기를 가졌고 울버햄튼이 3:2로 승리하면서 "우리가 세계 최고의 팀이다"라고 선언했는데, [[레알 마드리드 CF]]나 [[AC 밀란]]이 더 강하지 않나?라는 의견들이 나왔고. 기왕 이렇게 된거 각 리그 최강팀끼리 한 대회에 모여 누가 가장 강한지 겨뤄보자! 라는 의견들이 나오면서 현재의 [[UEFA 챔피언스 리그]]가 탄생하게 되었다. 하지만 정작 그 흐름의 중심에 있었던 혼베드의 챔피언스 리그 성적은 초라한데, 1956년 [[헝가리 혁명]]이 발생하면서 푸스카스를 비롯한 주축 선수들의 상당수가 팀을 떠났고 팀의 전성기가 끝나버렸기 때문이다. 이후 1980년와 90년대 초반까지 2번째 전성기를 누리며 7번의 우승을 추가했다. 당시 혼베드 선수들이 1986년 월드컵때 [[헝가리 축구 국가대표팀]]의 주축이었는데, 그것이 현재까지 헝가리의 마지막 월드컵 출전이다. 다만 헝가리 축구의 하락세와 맞물리며 혼베드의 유럽 대항전에서의 성적은 아쉬웠고, 월드컵도 조별 탈락으로 마무리했다. === 구단명 변천사 === || 기간 || 구단명 || || 1909.08.03('''창단''')~1926.12.18 || 키슈페슈티 AC || || 1926.12.19~1944 || 키슈페슈트 FC || || 1944~1949.12.31 || 키슈페슈티 AC || || 1950.01.01~1991 || 부더페슈티 혼베드 SE || || 1991~1996 || 키슈페슈트혼베드 FC || || 1996 || 키슈페슈트혼베드 TIG FC || || 1996~2003 || 키슈페슈트혼베드 FC || || 2003~'''현재''' || '''부다페스트 혼베드 FC''' || == 유명 선수 == * '''[[페렌츠 푸스카스]]''' * '''[[산도르 코츠시스]]''' * '''[[요제프 보지크]]''' * [[졸탄 치보르]] * [[줄러 그로시치]] [[분류:부다페스트 혼베드 F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