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부씨 정권 군주)] [목차] == 개요 == Vũ Văn Uyên[*한자/한글표기 武文淵 / 무문연.] [[1479년]] ~ [[1557년]] [[대월]] [[남북조 시대]] [[버우 주]]의 제1대 군주(재위: [[1527년]] ~ [[1557년]])였다. 베트남 북부 뚜옌꽝 지방을 근거지로 삼아 [[버우 주]]를 세웠고, [[막 왕조]]를 토벌하는 데 참여했다. [[작위]]는 '''경양후'''[* Khánh Dương Hầu / 慶陽侯.]였다. == 생애 == 부반우옌이 활동한 [[16세기]]는 권신 [[막당중]]이 [[후 레 왕조]]의 공제로부터 제위를 찬탈하여 [[막 왕조]]를 세움으로써 [[베트남|대월 제국]]이 중흥 후 레 왕조와 막 왕조의 두 세력으로 분열된 상태였다. [[1537년]] 농력(農曆) 9월 임오일([[10월 9일]][* http://sinocal.sinica.edu.tw/ 台灣中央研究院計算中心─兩千年中西曆轉換])에 그가 [[명나라]]에 제출한 《백안남란장언》(白安南亂狀言)에 따르면 >"문연(文淵, 부반우옌)은 대대로 레씨(黎氏, 후 레 왕조)의 신하가 되어 왔는데, 막당중의 난으로 인해 뚜옌꽝으로 나가 근거지로 삼았습니다.[文淵世黎氏臣, 以登庸之亂, 出據宣光.]" 라는 문구를 확인할 수 있다. 그의 막하에는 '병사 10,000명'[有兵萬人]이 있었고, 그와 동시기에 활동한 후 레 왕조의 관원 응우옌년리엔(阮仁蓮), 레까인미(黎景瑂) 등도 '한 지방을 나누어 막당중과 서로 공격했다'[分據一方, 與登庸相攻.]고 한다.[*A 《明實錄·世宗實錄》卷二百零四,嘉靖十六年九月壬午條,茲參考李國祥主編《明實錄類纂·涉外史料卷》,武漢出版社版,795頁。] 명나라 사람 엄종간(嚴從簡)의 《수역주자록》(殊域周咨錄)에 따르면 가정 15년([[1536년]])에 부반우옌과 부응이엠우이(武嚴威), 부뜨랑(武子陵) 등이 함께 '죄를 피하여 달아났다'[避罪出逃]고 했으며, 아울러 명나라 변경에서 소요를 일으켰는데 명나라의 변경 관리들은 이를 저지할 수 없었다고 했다.[* 嚴從簡《殊域周咨錄》卷之六《安南》,北京中華書局點校本,211頁。] 운남 총병(雲南總兵) 목소훈(沐紹勳)은 이를 발견한 뒤 '조정의 은혜와 위엄을 선포하고, 이해 관계를 명시함'[宣佈朝廷恩威, 明示利害.]으로써 대응했다.[* 《明實錄·世宗實錄》卷一百八十,嘉靖十四年十月乙未條,茲參考李國祥主編《明實錄類纂·涉外史料卷》,武漢出版社版,792頁。] 그런데 《명실록·세종실록(世宗實錄)》권180에 따르면 해당 사건은 가정 14년 10월 을미일 조에 기록되어 있으나 부반우옌이 그 일에 참여했다는 언급이 없다. [[1537년]] 농력(農曆) 9월, 부반우옌이 명나라에 병사의 진격에 대한 내용이 있는 지도를 제출하며 원조를 구했고, 이 기회를 통해 후 레 왕조를 돕고 막 왕조를 타도할 수 있기를 희망했다. 또한 스스로 뚜옌꽝을 근거지로 삼아 지키고 있으면서 >'병사 10,000명이 있고, 원컨대 천병(天兵, 명나라 병사)이 남하하기를 기다려 제질(弟侄) 부뜨랑(武子陵) 등을 이끌고 석롱관(石瀧關)에 주둔하여 이를 좇고, 나라 안의 의사(義士)들을 불러모은다면 막당중은 가히 깨뜨릴 수 있다' 고 일컬었다. 명나라 조정은 부반우옌의 표현에 상당히 만족하고 관대(冠帶)를 주었으며, 또한 무직(武職) 4품(品)의 장복(章服), 백금(白金), 문폐(文幣)를 하사했고 부뜨랑 등에게도 관대를 주었다.[*A] 엄종간의 《수역주자록》은 부반우옌의 또 다른 보고서 한 편을 수록했는데, 거기엔 그가 자신의 직함을 '안남총병사 경양후'(安南總兵使慶陽侯)로 칭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嚴從簡《殊域周咨錄》卷之六《安南》,北京中華書局點校本,215-217頁。] 20세기 초에 지어진 베트남 문헌 《남국위인전》(南國偉人傳)에 따르면 부반우옌이 죽은 뒤 그의 동생 [[부반멋]]이 뒤를 이어 무리를 통솔했고,[* 《南國偉人傳‧武將以下‧武文淵、武文密》,收錄於《越南漢文小說叢刊》第一輯第七冊《筆記小說類》,臺灣學生書局民國七十六年(1987年)版,104頁。 ] 뚜옌꽝진은 부씨 일족의 장기 근거지가 되었다.[* 《大越史記全書·本紀續編·黎紀·玄宗穆皇帝》,東京大學東洋文化硏究所,988-989頁;http://www.nomfoundation.org/nlvnpf/index.php?IDcat=2&cat=3&subcat=305&ok= Hội Bảo tồn Di sản chữ Nôm─《欽定越史通鑑綱目》正編卷之三十三,黎玄宗景治七年九月條,Image 28。] == 참고문헌 == *《明實錄類纂·涉外史料卷》, 李國祥主編, 武漢出版社, ISBN 7543004577 *《殊域周咨錄》, 嚴從簡, ISBN 7101006078 *《南國偉人傳》, 臺灣學生書局 *台灣中央研究院計算中心─兩千年中西曆轉換}} *國學導航─嚴從簡《殊域周咨錄》卷之六《南蠻·安南》}} *《大越史記全書·本紀續編·玄宗穆皇帝》 *潘清簡等《欽定越史通鑑綱目》正編卷之三十三至三十六 }} *武文淵「申報」}} *武文淵「白安南亂狀」 *《明史·安南列傳》 [각주] [[분류:1479년 출생]] [[분류:1557년 사망]] [[분류:버우 주]][[분류:하장 성 출신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