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2 {{{#ffffff '''부발역'''}}}}}} || ||<-3>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고속열차 노선 보기 {{{#!wiki style="margin: -6px -1px -12px" || {{{-1 {{{#585858,#a7a7a7 시종착}}}}}} || [[KTX|{{{#ffffff {{{-1 중부내륙선[br]KTX}}}}}}]] || [[충주역|{{{-1 {{{#585858,#a7a7a7 충주 방면}}}}}}]][br][[가남역|가 남]][br]9.0 ㎞ → || }}}}}}}}} || ||<-3>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수도권 전철 노선 보기 {{{#!wiki style="margin: -6px -1px -12px" ||<-3> [[수도권 전철 경강선|[[파일:GyeonggangLine_icon.svg|width=30]]]] || || [[판교역(성남)|{{{-1 {{{#585858,#cccccc 판교 방면}}}}}}]][br][[이천역|이 천]][br]← 4.5 km || [[수도권 전철 경강선|{{{-1 {{{#ffffff 경강선[br](K418)}}}}}}]] || [[여주역|{{{-1 {{{#585858,#cccccc 여주 방면}}}}}}]][br][[세종대왕릉역|세종대왕릉]][br]8.3 km → || }}}}}}}}}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5px" [include(틀:지도, 장소=부발역, 너비=100%, 높이=100%)]}}} || ||<-3> '''{{{#ffffff 다른 문자 표기}}}''' || || [[로마자]] ||<-2> Bubal || || [[한자]] ||<-2> 夫鉢 || || [[간체자]] ||<-2> 夫钵 || || [[가나(문자)|가나]] ||<-2> [ruby(夫鉢, ruby=プバル)] || ||<-3> '''{{{#ffffff 주소}}}''' || ||<-3> [[경기도]] [[이천시]] [[부발읍]] 신아로 87 (아미리) || ||<-3> '''{{{#ffffff 관리역 등급}}}''' || ||<-3> [[보통역]](3급)[br]([[수서역(수도권 전철)|수서역]] 관리 / [[한국철도공사|코레일]] 수도권광역본부) || ||<-3> '''{{{#ffffff 운영 기관}}}''' || || [[경강선]] ||<|2><-2> [[한국철도공사|[[파일:코레일_기본_로고.svg|width=100]]]] || || [[중부내륙선]] || ||<-3> '''{{{#ffffff 개업일}}}''' || || [[경강선]] ||<-2><|2> 2016년 9월 24일 || || [[수도권 전철 경강선|{{{#ffffff 경강선}}}]] || || [[중부내륙선]] ||<-2><|2> 2021년 12월 31일 || || [[KTX|[[파일:KTX BI_White, Red.svg|width=45]]]] || ||<-3> '''{{{#ffffff 역사 구조}}}''' || ||<-3> 지상 2층 || ||<-3> '''{{{#ffffff 승강장 구조}}}''' || ||<-3> 2면 4선 [[쌍섬식 승강장]] (횡단 가능) || ||<-3> '''{{{#ffffff 철도거리표}}}''' || || [[판교역(성남)|{{{-1 {{{#585858,#cccccc 판교 방면}}}}}}]][br][[이천역|이 천]][br]← 4.5 km || '''[[경강선]]'''[br]부 발 || [[여주역|{{{-1 {{{#585858,#cccccc 여주 방면}}}}}}]][br][[세종대왕릉역|세종대왕릉]][br]8.3 km → || ||<|2> {{{-1 {{{#585858,#cccccc 기점}}}}}} || '''[[부발기지선]]'''[br]부 발 || [[부발차량사업소|{{{-1 {{{#585858,#cccccc 부발기지 방면}}}}}}]][br][[부발차량사업소|부발기지]][br] 3.3 ㎞ → || || '''[[중부내륙선]]'''[br]부 발 || [[충주역|{{{-1 {{{#585858,#cccccc 충주 방면}}}}}}]][br][[아미신호장|아 미]][br] 2.5 ㎞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부발역2.jpg|width=100%]]}}}|| || {{{#ffffff '''부발역 전경'''}}} || [목차] [clearfix] == 개요 == || [[파일:부발역 스탬프.jpg|width=150]] || || 부발역의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 부발역사를 형상화했다. || >'''부면과 발면의 통합으로 완성된 '부발', 벼가 여물던 땅이 반도체의 땅으로 탈바꿈''' >부발역은 2016년 9월 24일 경강선 개통과 함께 보통역으로 영업을 개시하였다. 역사는 2층 규모로 부발읍의 주요 산업인 반도체 메모리를 형상화하였으며, 인접한 반도체 기업 SK하이닉스를 연상시키는 컬러로 디자인 되었다. 1914년 부면과 발면의 통합으로 완성된 부발읍의 옛 중심지는 무촌이었다. 그곳에 있던 역이 바로 지금은 사라진 수려선 무촌역이다. 그러나 무촌리가 아닌 아미리에 SK하이닉스가 들어서면서 벼가 여물던 땅이 반도체의 땅으로 탈바꿈되며 부발의 중심으로 떠오르게 되었다. 그 아미리에 부발읍 무촌역이 새로운 이름과 새로운 모습으로 돌아온 셈이다. >---- >[[국가철도공단]] 공식 소개 문구 [[수도권 전철 경강선]] K418번이며 [[경강선]]과 [[중부내륙선]]의 분기역. [[경기도]] [[이천시]] [[부발읍]] 신아로 87 (아미리 505-7번지) 소재. [[한국철도공사]]가 운영 중이다. == 역 정보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부발역 안내도(2022.8 ver).png|width=100%]]}}}||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45deg, #003da5 50%, #005bac 50%)" '''{{{#ffffff 부발역}}}''' '''{{{#ffffff 안내도}}}''' '''{{{#ffffff [[https://drive.google.com/file/d/1rXBXW_ABu2sBx4f-FT2QLNHWRQ_FLWCQ/view?usp=sharing|크게보기]]}}}'''}}}|| 이 역은 지상역 2층 구조이며, 2층에 승강장이 있지만 고가역은 아니다. 부발-여주 구간의 경강선과 부발~충주~문경 구간의 [[중부내륙선]]이 여기서 갈라진다.[* 정확히는 중부내륙선이 부발기지선을 따라 가다가 분기한다.] 다만 [[수서광주선]] 개통시까지 당분간 이 역이 중부내륙선의 종착역이다. 때문에 중부내륙선 연선 지자체들은 중부내륙선 KTX를 [[판교역(성남)|판교역]]까지 연장하려는 노력을 하고 있다. [[수도권 전철 경강선]] 일부 열차들은 이 역에서 종착한다. 여기서 [[부발차량사업소]]로 빠지는 [[부발기지선]]이 분기한다. 장기적으로는 [[평택부발선]]이 이 역에서 합류할 예정인데, 실현될 경우 이 역에서 갈 수 있는 방향은 시흥방향, 강릉방향, 평택방향, 김천방향으로 총 4개 방향이 된다. 대합실에 책을 대여하거나 반납할 수 있는 스마트도서관이 있으며, 스마트도서관 기기 내부에 있는 책만 대출이 가능하다. 스마트도서관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대출증을 바코드에 찍거나, 대출증을 기계에 접촉시켜야 한다. 단, 스마트도서관에서 빌린 책은 스마트도서관에서만 반납이 가능하며 반납기한을 넘겨서 반납할 경우 연체한 일수만큼 이천시 내의 모든 도서관에서 대출이 불가하니 유의하도록 하자. == 역 주변 정보 == 역 이름은 부발역이지만 부발읍 소재지와는 거리가 꽤 있으며, 부발읍 남쪽 끝인 [[이천IC]] 근처에 위치해 있다. 부발역에서 이천IC까지는 자동차로 5분도 안 걸린다. 부발읍 소재지에는 과거 [[수려선]] 시절에 [[무촌역]]이 있었다. 인근에 [[SK하이닉스]], [[아미초등학교(경기)]], [[신하초등학교]], 효양중학교, [[효양고등학교]], 아파트단지 등이 있다. 부발역의 존재로 인해 이제 [[SK하이닉스]] 이천사업장은 수도권에서 대중교통으로 출근 가능한 곳이 된다. 다만, 실제로는 수도권에서 출근할 사람은 셔틀 타고 출근하고 그나마도 주변으로 거처를 옮기는게 보통이니 실질적인 수혜자는 SK하이닉스를 방문하는 고객 또는 협력업체 사람들일 것으로 추정된다. [[2012년]] [[판교테크노밸리]]가 들어서면서, 하이닉스와 제품 납품 협의를 위해 '''판교-부발 구간을 이동'''하는 [[IT]], [[전자]], [[전기]], [[그래픽]], [[방송]][* [[방송]]계도 [[반도체]] 사용이 매우 많다.] 업체 사람들이 매우 많이 보인다. 판교테크노밸리에 2,000개 가까운 회사가 입점하면서 이들 업체에 공급해야 할 반도체가 어마어마하기 때문이다. 하이닉스에서 역까지의 거리가 상당히 애매하다. 시내버스 환승(당연히 [[수도권 통합 요금|수도권 통합 요금제]] 적용이 된다.) 등으로 메꾸면 되긴 하지만 아쉬운 건 어쩔 수 없다. 역에서 [[SK하이닉스]] 정문까지 도보로 22분 거리(1.4km). [[SK하이닉스]]에서 부발역 간에 셔틀버스를 운행하나, 탑승 시 사원증을 타각해야 하므로 일반인의 이용은 불가능하다. 하이닉스 직원의 경우, 부발역을 한 번도 이용 안 해본 경우가 많다. 출·퇴근 시간에 이용하려고 해도 부발역에서 근무하는 건물까지 약 2km로 걸어서 30분 추가로 걸린다. 버스를 타도 정문 앞에서 내려야 하고 셔틀버스까지 타야한다. 그렇다고 매번 택시를 타기엔 비용 부담이 크다. 하이닉스-부발역 간 셔틀버스를 운행하긴 하지만 환승 등을 고려하면 도로가 막히는 것을 감안해도 출·퇴근버스를 이용하는 것이 더 빠르고 대중교통 비용도 아낄 수 있다. 이천역이 이천 시내와 먼 것도 부발역의 이용률이 떨어지는데 한 몫을 한다. 회사 주변에 사는 직원들이 이천 시내로 갈 때 버스-지하철-버스로 이천시내를 가는 것보다 택시를 타는 게 낫기 때문이다. 하이닉스 정문에 있는 지하 도보 통로에 부발역이 있었다면 하는 바람이 있다. 그러면 출퇴근시간 때 교통 분산하는 효과도 확실히 있었을 것이다. 하이닉스-부발역간 셔틀버스를 대형버스가 아닌 소형버스로 운행하고 2대씩 순환하는 식으로 운행한다면 지금보다는 이용률을 훨씬 끌어올릴 수 있을 것이다. 역 바로 앞에 있는 죽당천은 [[구피]]천으로 전국적 유명세를 탔다. 아직도 지하철을 타고 구피를 잡으러 온다고 한다. 이천시에 있는 역 중에서 가장 역 주변이 번화가라곤 하지만 사실 나머지 역들이 심히 허허벌판에 세워진거라 '''상대적으로''' 그렇게 느껴질 뿐이며, 출구 반대쪽은 다른 역들과 크게 다르지 않다. 개통 초기 주차장이 부족해 주변에 불법주차가 많았으나, 임시 공영주차장이 도보 5분 거리 내에 생겼다. == 일평균 이용객 == === 수도권 전철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 {{{#ffffff '''연도'''}}} || [[수도권 전철 경강선|[[파일:GyeonggangLine_icon.svg|width=25]]]] || {{{#ffffff '''비고'''}}} || || 2016년 || 2,747명 || [* 개통일인 9월 24일부터 12월 31일까지 99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 || || 2017년 || 3,133명 || || || 2018년 || 3,424명 || || || 2019년 || 3,700명 || || || 2020년 || 2,893명 || || || 2021년 || 3,285명 || || || 2022년 || {{{#005bac 4,201명}}} || || ||<-3> {{{#ffffff '''출처'''}}} || ||<-3> [[https://info.korail.com/info/selectBbsNttList.do?bbsNo=425&key=867|한국철도공사 광역철도[br]수송통계 자료실]] || }}} * 하루 평균 4천여 명이 이용하여 경강선 안에서도 이용객 숫자가 하위권에 속한다. 그나마 2022년에는 [[중부내륙선]] 환승객의 영향으로 이용객이 천 명 가까이 늘기는 했다. * 경강선의 여느 역이 다 그렇겠지만, 여기도 대부분의 승객들이 버스 및 자가용으로 갈아탄다. 너무 늦게 노선이 지어져서 개발된 지역을 속속 피했기 때문에 벌어진 문제로써, 역 앞에 초등학교와 아파트단지가 있긴 하나 대부분의 구역은 농촌 지역이다. 아파트단지를 넘어가면 [[SK하이닉스]]가 나온다. 단 걸어가기엔 20분 정도로 조금 먼 거리. * 신하리, 아미리 및 대월면 주민들이 주로 이용하며, 근처 하이닉스 종사자들도 간혹 이용하지만 대체로는 자가용의 이용 비중이 높다. * 부발읍 인구와 비교해도 이용객이 아직은 많지 않은 편이다. 역에서 불과 400m 거리에 [[영동고속도로]] [[이천IC]]가, 1.1km 거리에 [[서울고속버스터미널]]행 [[시외버스 서울경부-이천|버스]]를 탈 수 있는 정류소가 있어 도로 교통이 매우 편리하기 때문이다. 남쪽 역시 약 800m거리에는 [[동서울터미널]]행 [[시외버스 1336|버스]]를 탈 수 있는 정류소가 있다. === 고속철도 === || {{{#ffffff '''연도'''}}} || [[KTX|[[파일:KTX BI.svg|width=50]]]] || {{{#ffffff '''비고'''}}} || || 2021년 || 1,604명 || [* 개통일인 12월 31일 하루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 || ||<-3> {{{#ffffff '''출처'''}}} || ||<-3> [[https://info.korail.com/info/selectBbsNttList.do?bbsNo=202&key=1421|철도통계연보]] || == 시각표 == 2023.05.08. 14:00 기준 |||||||||| [[파일:KTX BI.svg|width=70]](상행) |||||||||| || '''열차종별''' || '''열차번호''' || '''도착시각''' || '''출발시각''' || '''종착역''' || || KTX-이음 || 732 || 07:16:00 || - || 당역 종착 || || KTX-이음 || 734 || 11:37:00 || - || 당역 종착 || || KTX-이음 || 736 || 14:27:00 || - || 당역 종착 || || KTX-이음 || 738 || 19:05:00 || - || 당역 종착 || |||||||||| [[파일:KTX BI.svg|width=70]](하행) |||||||||| || '''열차종별''' || '''열차번호''' || '''도착시각''' || '''출발시각''' || '''종착역''' || || KTX-이음 || 731 || - || 07:52:00 || 충주 || || KTX-이음 || 733 || - || 12:40:00 || 충주 || || KTX-이음 || 735 || - || 15:35:00 || 충주 || || KTX-이음 || 737 || - || 19:30:00 || 충주 || == 승강장 == || [[파일:부발역1.jpg|width=100%]] [br] [[경강선]] 승강장 || ||<-8> ↑ [[이천역|이천]] || || | || {{{#ffffff 1}}} || {{{#ffffff 2}}} || | || | || {{{#ffffff 3}}} || {{{#ffffff 4}}} || | || ||<-2> [[가남역|가남]] ↓ ||<-4> [[세종대왕릉역|세종대왕릉]] ↓ ||<-2> [[가남역|가남]] ↓ || || {{{#ffffff 1}}} || [[중부내륙선]] || [[KTX-이음|[[파일:KTX-이음 BI.svg|width=75]]]] || 당역종착[br][[감곡장호원역|감곡장호원]]·[[충주역|충주]] 방면 || || {{{#ffffff 2}}} ||<|2><-2> [[파일:GyeonggangLine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경강선]] || [[이천역|이천]]·[[경기광주역|경기광주]]·[[이매역|이매]]·[[판교역(성남)|판교]] 방면[br](일부열차 출발) || || {{{#ffffff 3}}} || [[세종대왕릉역|세종대왕릉]]·[[여주역|여주]] 방면[br](일부열차 종착) || || {{{#ffffff 4}}} ||<-3> 사용하지 않는 승강장[* 송도역, 수서역 연장 이후에 사용할 것으로 보인다.] || 이 역은 세종대왕릉 방면으로 2퍼밀 [[철도의 구배|하구배]]가 있다. 양쪽에 있는 승강장은 KTX가 정차하는 승강장이고, 6량 조성으로 되어 있는 [[KTX-이음]]이 정차하게끔 이천 방향으로 승강장이 증설되었다. 또한, 경강선과의 환승 편의를 위해 승강장에 경춘선 [[ITX-청춘]] 정차역처럼 [[교통카드]] 승하차 단말기가 설치되었다.[* 물론 이렇게 되면 [[부정승차]]가 생길 위험이 있다.] 2021년 11월 23일, 역 대합실에 매표소와 수유실 설치 공사가 완료되었고, 양 끝 승강장 및 대합실에 여객열차 전용 전광판 및 LCD 안내기가 설치되어 가동 중이다. 개찰구 역시 승차권의 QR 코드 리더기가 추가된 형태로 개조되었다. == 연계 교통 == 부발역 개통과 함께 신하리를 지나던 28, 29번대 버스들이 부발역을 경유해서 나가도록 노선이 변경되었다. 단, 일부 주요 노선([[경기광주 버스 114|114번 좌석버스]]. [[이천 버스 8|8번]] 등)은 부발역을 경유하지 않으므로 도보 15~20분 거리에 위치한 SK하이닉스 정류장까지 가야 한다. 일부노선을 제외하고 대부분의 노선의 양방향 버스가 같은 정류장에서 정차하므로, 탑승 전 바닥에 도색한 "장호원 방면 버스"나 "시내 방면 버스" 글씨와 행선 판대기를 보고 타야한다. || 정류장 이름 || 경유 노선 || || 부발역[* 역 앞](32477)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95em" [[이천 버스 7|{{{#fff 7}}}]]}}}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95em" [[이천 버스 10|{{{#fff 10}}}]]}}}[*양방향 양쪽 방향 모두 정차.]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95em" [[이천 버스 28-1|{{{#fff 28-1}}}]]}}}[*양방향]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95em" [[이천 버스 28-17|{{{#fff 28-17}}}]]}}}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95em" [[이천 버스 28-2|{{{#fff 28-2}}}]]}}}[*양방향]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95em" [[이천 버스 28-20|{{{#fff 28-20}}}]]}}}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95em" [[이천 버스 28-21|{{{#fff 28-21}}}]]}}}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95em" [[이천 버스 28-3|{{{#fff 28-3}}}]]}}}[*양방향]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95em" [[이천 버스 28-30|{{{#fff 28-30}}}]]}}}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95em" [[이천 버스 28-31|{{{#fff 28-31}}}]]}}}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95em" [[이천 버스 28-4|{{{#fff 28-4}}}]]}}}[*양방향]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95em" [[이천 버스 28-40|{{{#fff 28-40}}}]]}}}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95em" [[이천 버스 28-41|{{{#fff 28-41}}}]]}}}[*양방향]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95em" [[이천 버스 28-42|{{{#fff 28-42}}}]]}}}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95em" [[이천 버스 28-5|{{{#fff 28-5}}}]]}}}[*양방향]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95em" [[이천 버스 28-50|{{{#fff 28-50}}}]]}}}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95em" [[이천 버스 28-51|{{{#fff 28-51}}}]]}}}[*양방향]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95em" [[이천 버스 28-53|{{{#fff 28-53}}}]]}}}[*양방향]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95em" [[이천 버스 28-54|{{{#fff 28-54}}}]]}}}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95em" [[이천 버스 28-55|{{{#fff 28-55}}}]]}}}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95em" [[이천 버스 28-56|{{{#fff 28-56}}}]]}}}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95em" [[이천 버스 28-6|{{{#fff 28-6}}}]]}}}[*양방향]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95em" [[이천 버스 28-8|{{{#fff 28-8}}}]]}}}[*양방향]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95em" [[이천 버스 28-81|{{{#fff 28-81}}}]]}}}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95em" [[이천 버스 28-82|{{{#fff 28-82}}}]]}}}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95em" [[이천 버스 28-83|{{{#fff 28-83}}}]]}}}[*양방향]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95em" [[이천 버스 28-9|{{{#fff 28-9}}}]]}}}[*양방향]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95em" [[이천 버스 28-90|{{{#fff 28-90}}}]]}}}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95em" [[이천 버스 28-91|{{{#fff 28-91}}}]]}}}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95em" [[이천 버스 28-92|{{{#fff 28-92}}}]]}}}[*양방향]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95em" [[이천 버스 29-1|{{{#fff 29-1(시내)}}}]]}}}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95em" [[이천 버스 29-12|{{{#fff 29-12(시내)}}}]]}}}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95em" [[이천 버스 29-13|{{{#fff 29-13}}}]]}}}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95em" [[이천 버스 29-2|{{{#fff 29-2(시내)}}}]]}}}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95em" [[이천 버스 29-21|{{{#fff 29-21(시내)}}}]]}}}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95em" [[이천 버스 29-3|{{{#fff 29-3(시내)}}}]]}}}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95em" [[이천 버스 29-31|{{{#fff 29-31(시내)}}}]]}}}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95em" [[이천 버스 220|{{{#fff 220}}}]]}}}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95em" [[이천 버스 230|{{{#fff 230}}}]]}}}[*양방향] || || 부발역[* 역 건너편.](32641)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95em" [[이천 버스 29-1|{{{#fff 29-1(사동리)}}}]]}}}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95em" [[이천 버스 29-11|{{{#fff 29-11}}}]]}}}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95em" [[이천 버스 29-12|{{{#fff 29-12(현대7차)}}}]]}}}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95em" [[이천 버스 29-2|{{{#fff 29-2(사동리)}}}]]}}}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95em" [[이천 버스 29-21|{{{#fff 29-21(현대5.6차)}}}]]}}}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95em" [[이천 버스 29-22|{{{#fff 29-22}}}]]}}}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95em" [[이천 버스 29-3|{{{#fff 29-3(사동리)}}}]]}}}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95em" [[이천 버스 29-31|{{{#fff 29-31(현대5.6차)}}}]]}}} || == 둘러보기 == [include(틀:수도권 전철 경강선의 역 목록)] [[분류:2016년 개업한 철도역]][[분류:이천시의 철도역]][[분류:이천시의 도시철도역]][[분류:수도권 전철 경강선]][[분류:중부내륙선의 철도역]][[분류:경강선의 도시철도역]][[분류:분기역]][[분류:나무위키 철도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