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부산광역시의 마을버스/강서구)] [include(틀:하단역 환승센터 경유버스)] || [[파일:부산강서7AJS.jpg|width=100%]] || [목차] == 노선 정보 == ||<-6>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width=20]] {{{#ffffff 부산광역시 마을버스 강서7번}}} || ||<-2> 기점 || 부산광역시 강서구 봉림동(둔치도종점) ||<-2> 종점 || 부산광역시 사하구 하단동(하단역) || ||<|2> 종점[br]행 || 첫차 || 05:55 ||<|2> 기점[br]행 || 첫차 || 06:00 || || 막차 || 22:20 || 막차 || 23:05 || ||<-2> 배차간격 ||<-4> 40분 || ||<-2> 운수사명 || 강서교통 ||<-2> 인가대수 || 2대 || ||<-2><|2> 노선 ||<-4> 둔치도종점 - 둔치도입구 - 조만포 - 녹산동주민센터 - [[렛츠런파크 부산경남|렛츠런파크]]입구 - 세산삼거리 - 가달 - __생곡__ - 장락 - 성산 - 강서경찰서 - [[경일고등학교(부산)|경일중·고교]] - __명지시장 - 명지새동네__ - [[을숙도]] - [[하단역]] || ||<-4> * 밑줄 친 구간은 양방향 모두 정차하므로 행선지를 확인하고 탑승바람. || == 개요 == 강서교통이 운행 중인 마을버스 노선. '''둔치도, 조만포''' 주민들의 발이기도 하다. == 역사 == 과거에는 조만포에서 범방동(경마장 뒷쪽), 미음마을 일대를 돌고 세산마을로 빠져나왔다. 당시에는 범방동과 생곡마을을 거치지 않는 강서7-1번이 있었는데 수요가 저조해 2007년에 폐선되었다. [[2014년]] [[12월 27일]]에 미음산단 조성을 위해 범방동 일대를 다 갈아엎게 되면서 세산마을을 거쳐 [[렛츠런파크 부산경남|경마공원]]으로 곧장 가게 되었다. [[http://bus.busan.go.kr/busanBIMS/bus_info/adjust_view.asp?seq=34|부산시 노선조정안내]] 그러니까 위에 말한 7-1번이 운행하던 루트로 가게 된 것이다. 현재는 [[부산 버스 1005|1005번]]이 당시 7번과 비슷하게 다니고 있다. 본래 이 노선은 조만포에서 시종착한 노선이었으나 둔치도 주민들이 노선 연장을 꾸준히 요구한 결과 둔치도 내 대피차로 조성이 완료되면서 2015년 제3차 마을버스노선 조정 때 둔치도 내부까지 노선이 연장되었고 '명지시장 - 하단역' 구간에 중복노선이 많다는 이유로 명지시장까지 단축되었다. 그러나 기존 이용객들의 항의가 많아 [[2016년]] [[4월 9일]]에 [[하단역]]으로 다시 환원되었다. [[http://bmbus.co.kr/04cust/cust02_view.aspx?url=b3A9Vmc9PSZwaz1NZz09JnAxPU1RPT0=|관련 공지사항]] == 특징 == 예전 황성교통 시절에는 [[현대 코러스]]로 운행했고 이후 중형차 및 중고 대형차량도 종종 다니다가[* 대형차량은 전차량 1995년식 냉방초기형 BS106으로 구도색도 있었고 신도색으로 재도색한 차량도 있었다.] 현재는 [[현대 카운티]]로 다니고 있다. '''전국 최후의 영업용 [[현대 코러스]] 차량을 운행한 것으로도 유명하다.''' 부산에서 코러스는 AM937, BF105, 하이파워, BS105만큼 품귀하였으며 [[기아 콤비]]의 경우 영업용에서는 [[2011년]] 운행이 종료되었다. 금요일, 주말, 공휴일에는 1005번과 마찬가지로 [[부산경남경마공원]] 안쪽에 있는 관람대를 경유한다. 어째 보면 이 노선은 금.토.일요일에 운행하는 [[부산 버스 강서12|강서12번]] 마을버스와 많이 비슷하다. [[부산 버스 강서12|강서12번]]도 금.토.일요일에 한해서 [[렛츠런파크 부산경남|경마공원]]을 경유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평일에는 경마공원 이용 승객이 없으면 미경유하고 지사산단으로 바로 가기 때문에 상시 운행 노선 중 [[하단역]]에서 경마공원을 경유하는 마을버스로는 이 노선이 유일하다.[* 경마공원을 경유하는 일반버스는 단 한대도 없고(예전에 48번이 있었으나 폐선되었다.) 좌석버스인 [[김해 버스 220|220번]]과 [[부산 버스 221|221번]], [[부산 버스 1005|1005번]]이 있다.] 즉 경마공원 방문객과 둔치도 주민들이 주된 수요이다. 사실상 비싼 좌석버스보다는 저렴한 마을버스를 이용할 승객들이 더욱 많다. 그 밖에도 둔치도랑 조만포 바로 앞까지 가는 유일한 노선이기 때문에[* 조만포는 [[좌석버스]]인 [[김해 버스 220|220번]]과 [[부산 버스 221|221번]]이 경유하고 있다. 이 둘도 [[하단역]]에서 [[렛츠런파크 부산경남|경마공원]]을 잇는다.] 연선 주민들의 이용률이 높다. [[부산 버스 55|55번]], [[부산 버스 강서12|강서12번]], [[부산 버스 강서16|강서16번]]도 둔치도를 살짝 경유하긴 하는데 장락 정류장에서 내려서 한참을 걸어가야 하기 때문에 별 도움이 되진 않는다.[* 둔치도 내부로 들어가는 길은 장락 정류장 부근에 위치한 [[연륙교]]인 둔치2호교가 있고 [[렛츠런파크 부산경남|경마공원]] 인근 [[가락IC]] 근처에 위치한 둔치교가 있는데 마을은 거의 둔치교 주변에 몰려있다. [[부산 버스 강서7-2|강서7-2번]]과 [[급행버스]] [[부산 버스 1005|1005번]]이 근처를 살짝 경유하여 간다.] 예전에는 [[렛츠런파크 부산경남|경마공원]] 이용객들로 인하여 수요가 제법 되었으나 최근 [[부산 버스 1005|1005번]]의 개통으로 인하여 수요가 좀 이탈하였다.[* [[부산 버스 1005|1005번]]은 금.토.일 뿐만 아니라 평일에도 경마공원 안쪽 관람대까지 상시 경유하는 유일한 노선이다.] 그래도 이 노선은 [[하단역]]으로 가기 때문에 둔치도, 조만포 [[주민]]들과 경마공원 방문객들에겐 없어서는 안 되는 버스이므로 지금처럼 한결같이 운행될 듯 하다. 조만포에서 하단역까지 또 다른 노선인 [[김해 버스 220|김해 220번]] 같이가지만 요금이 다를 수 있다. === 시간표 === * [[https://www.bsgangseo.go.kr/visit/img/sub06/map_07_202301.jpg|시간표]] === 노선 === ||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width=20]] {{{#ffffff 부산광역시 마을버스 강서7번}}} || ||<^|1>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경유 도로 목록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2> [[낙동남로|{{{#353535,#eee '''낙동남로'''}}}]] || || {{{-2 명지시장 ▼}}}||{{{-2 ▲ 을숙도}}} || ||<-2> [[르노삼성대로|{{{#353535,#eee '''르노삼성대로'''}}}]] || || {{{-2 진목 ▼}}}||{{{-2 ▲ 명지시장}}} || ||<-2> [[낙동남로|{{{#353535,#eee '''낙동남로'''}}}]] || || {{{-2 성산삼거리 ▼}}}||{{{-2 ▲ 노적봉능엄사 입구}}} || ||<-2> [[생곡로|{{{#353535,#eee '''생곡로'''}}}]] || || {{{-2 생곡삼거리 ▼}}}||{{{-2 ▲ 가리세입구}}} || ||<-2> [[생곡산단로|{{{#353535,#eee '''생곡산단로'''}}}]] || || {{{-2 생곡입구 ▼}}}||{{{-2 ▲ 생곡삼거리}}} || ||<-2> [[생곡로|{{{#353535,#eee '''생곡로'''}}}]] || || {{{-2 녹산주민문화회관 ▼}}}||{{{-2 ▲ 세산삼거리}}} || ||<-2> [[가락대로|{{{#353535,#eee '''가락대로'''}}}]] || || {{{-2 둔치도입구 ▼}}}||{{{-2 ▲ 둔치도입구}}} || ||<-2> {{{#353535,#eee '''둔치강변길'''}}} || }}}}}}}}} || || || == 연계 철도역 == * [[파일:Busan1.svg|width=17]] [[부산 도시철도 1호선]]: [[하단역]] == 둘러보기 == [include(틀:가락동 경유 시내버스)] [[분류:부산광역시의 마을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