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부산광역시의 마을버스/강서구)] [include(틀:하단역 환승센터 경유버스)] || [[파일:kangsŏ9.jpg|width=100%]] || [목차] == 노선 정보 == ||<-6>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width=20]] {{{#ffffff 부산광역시 마을버스 강서9번}}} || ||<-2> 기점 || 부산광역시 강서구 신호동(신호마을) ||<-2> 종점 || 부산광역시 사하구 하단동(하단역) || ||<|2> 종점[br]행 || 첫차 || 06:15 ||<|2> 기점[br]행 || 첫차 || 06:50 || || 막차 || 20:55 || 막차 || 21:35 || ||<-2> 배차간격 ||<-4> 50~60분 || ||<-2> 운수사명 || [[녹산버스]] ||<-2> 인가대수 || 2대 || ||<-2><|2> 노선 ||<-4> 신호마을 - 신호농협 - [[르노코리아자동차]]정문 - 삼성서비스센터 - 화전마을 - LS산전 - 부산은행화전공단지점 - 세주정공 - 산양마을입구 - 본녹산 - 성산 - 강서경찰서 - [[경일고등학교(부산)|경일중·고교]] - 명지시장 - __명지시장 - 명지새동네__ - [[을숙도]] - [[하단역]] || ||<-4> * 밑줄 친 구간은 양방향 모두 정차하므로 행선지를 확인하고 탑승 바람. || == 개요 == 부산광역시 강서구 마을버스 노선 중 하나로 형제격 노선인 [[부산 버스 강서9-1|강서9-1번]]과 [[부산 버스 강서9-2|강서9-2번]]이 있다. == 역사 == 개통 연도는 정확하지 않지만 녹산공단이 간척되기 이전에 개통된 것으로 추정되며 당시에는 신호동으로 진입 시에는 강서9번의 노선대로 녹산수문을 경유하여 녹산에서 내려가야 했다. 신호교통이라는 업체에서 운행하였으며 노선 경로는 송정마을 - 화전마을 - 신호마을 - 사암마을 - 본녹산 - 성산삼거리 - 명지새동네 - 하단간 운행하였다. 당시에는 신호동 주민들의 중요한 노선이였으나 1990년대 후반 녹산공단과 신호도 간척, [[신호대교]]가 개통됨에 따라 2000년 당시 녹산공단에 공장들이 입주하여 근로자 수요가 늘어났고 시내버스 노선들이 막장운행중인 태화교통에 비해 유일하게 멀쩡하게 다녔던 노선인지라 승객 수가 대폭 증가하였으며 때 아닌 호황에 업체에서도 에어로시티와 냉방초기형 하이파워를 들여와[* 그 중에는 BS106'''[[저상버스#s-3.1|L]]'''도 있었다.] 전체 대형차량으로 운행하는 등의 대풍족을 이루었으나... 2002년에 [[태영버스]]의 [[부산 버스 58-1|58-1번]]의 정상운행 및 배차간격 단축 그리고 [[부산 버스 520|520번]]이 재운행하게 되었고, 두 노선은 녹산공단의 안쪽을 훓어주며 운행하였던지라 녹산공단을 외곽만 [[수박 겉핥기]]만 하던 강서9번은 점점 승객수가 감소하였고, 본녹산으로 가는 수요 외에는 외면받기 시작했다. 이후 신호교통은 경영난에 못 이겨 막장상태에 이르렀고 2004년에는 폐업이 되고 말았다. 그리고 [[태영운송그룹]]에서 녹산마을버스를 설립해 강서9번을 다시 전성기시절까지 차량을 증차하였고 이윽고 2004년 말 노선 계통을 분리하여 강서9번은 신호마을로 끊고 송정마을에서 용원까지 연장하여 [[부산 버스 강서9-1|강서9-1번]]을 개통하였다. 초기엔 차량대수가 적었으나 개통 초기부터 호응이 좋아 불과 몇 달만에 증차하여 준수한 배차 간격으로 운행하게 되었다. 그런데 이게 또 아이러니하게도 승객들이 배차 간격이 다소 넓은 [[부산 버스 520|520번]]보다 [[부산 버스 강서9-1|강서9-1번]]을 선호하게 되면서 승객이 점점 늘어나고 오히려 [[부산 버스 520|520번]]은 몰락하게되는 상황이 되면서 졸지에 형제노선 강서9번의 복수를 해준 셈이 되나... 2004년 노선 분리 이후 [[부산 버스 강서9-1|강서9-1번]]이 더 호응이 좋았던지라 강서9번의 그나마 있던 차량들도 강서9-1번에게 빼앗겼고 승객 수 또한 더욱 감소하여서 아예 60분 한 대 꼴로 운행하는 시간표 노선으로 전락하였다. 그리고 중형차량이 주력차종이었던 이 노선은 모두 소형차량으로 대차되었고 이 상황은 계속 이어져 현재에도 이르고 있다. [[2017년]] [[4월 22일]]에 노선이 대폭 변경된 [[부산 버스 강서21|강서21번]]을 대체하기 위해 '사암마을 - 산양마을입구' 구간이 [[녹산화전로]] 직통에서 화전공단 경유('사암마을 - LS산전 - 부산은행화전공단지점 - 세주정공 - 강림씨에스피 - 산양마을입구')로 변경되었다. [[http://bmbus.co.kr/04cust/cust02_view.aspx?url=b3A9Vmc9PSZwaz1PUT09JnAxPU1RPT0=|관련 공지사항]] 2022년 1월 8일에 신호소방서(신호산단4로64번길)를 경유하던 경로를 시내버스와 동일한 경로인 신호농협을 경유하여 운행한다. == 차량 == [[파일:1472284500.jpg]] 2004년 [[하단역]][* 그 당시 중앙버스전용차로가 없었다.]에서 촬영된 사진으로서 신호교통에서 녹산교통으로 넘어간지 얼마 안된 시절이였다. 차량의 노후화가 심한 지 앞부분은 [[도색]]도 제대로 안되어있고 [[청테이프]]로 회사명을 붙이고 다녔다.[* 사진은 녹산교통으로 넘어간 직후로, 신호교통 시절에는 사명이 제대로 붙어 있었으나 녹산교통으로 넘어가면서 저렇게 대충 때워붙인 것이다. 위 차량은 2번 대차되어 [[부산 버스 강서20|강서20번]], [[부산 버스 강서20-1|강서20-1번]]에서 운행하다가 현재는 [[부산 버스 강서9-2|강서9-2번]]에서 운행중이다.] 덧붙이자면 해당 차량에는 바닥에 구멍이 뚫려 있었다. 그저 대형버스라는 것을 위안삼아야 할 판이었다. 또한 예비차가 부족하면 '''태영버스 시내버스 예비차를 빌려와 행선판만 부착한 채 운행'''한 적도 있었다.[* 강서9번 포함 구.강서10번, 강서16번도 간혹 시내버스 예비차를 투입한 사례가 있었다.] 동일 회사의 다른 차량같으면 에어로타운 뒷문 이후 부분을 빙 둘러앉는 형식의 롱시트 형태로 개조한 차량도 있었다. 에어로시티 입석형 2인석을 뜯어와서 지하철 롱시트와 유사한 배치를 한 것도 있었다. 부산의 [[제부여객]]이라 봐도 될 정도로 재정상황부터 임기응변식 대처까지 매우 비슷한 상황이었다.[* 당시 제부여객도 눈물 없이는 볼 수 없는 역사가 많았다. 좌석버스에 입석시트라는 민원이 들어오자 폐차장에서 시트 떼어서 박아넣고 우등도색 115H를 녹슨 채로 운행하던 시절이 있었다. 지금은 녹산버스, 제부여객 모두 주인을 잘 만나서 꽤 나아졌다.] [[파일:강서9번.jpg]] 무려 구도색에다 구형 번호판이다(...). 차급이 확 내려가긴 했지만 그래도 같은 회사, 같은 노선이라고 하기엔 위 사진에 비하면 개과천선 그 자체.[* 위 차량은 레스타로 대차되었다.] == 특징 == * '''[[신호동]] 신호주거단지와 [[화전동(부산)|화전동]] 화전산업단지를 잇는 유일한 노선.''' 때문에 신호주거단지와 화전산업단지로 오가는 수요가 많은 편이다. * 신호부영아파트가 생기기 전엔 유일하게 신호주거단지 안쪽으로 들어오던 노선이었다. 그러나 승객은 적은 편이었다. * 그러던 2015년 신호부영아파트가 입주하면서 [[부산 버스 58-1|58-1번]]에 [[부산 버스 58-2|58-2번]]까지 들어오게되면서 신호마을 수요는 거의 시내버스로 넘어갔다. * 사실상 사암마을과 녹산공단 쪽에서 시내버스인 [[부산 버스 58|58번]]과 [[부산 버스 강서9-1|강서9-1번]]의 와일드카드 노선으로 이들 노선과 수요 나눠먹기하며 생기는 이용객들이 대부분의 수요를 차지한다. * [[2017년]] [[4월 22일]]에 노선이 변경됨에 따라 화전산단의 출퇴근 수요를 노릴 수 있게 되었다. 덤으로 신호주거단지에서 유일하게 화전산단으로 가는 노선으로 자리잡아 좋은 수요로 운행중이다. 그러나 오래전부터 화전산단을 운행하고 있는 58번도 대당 운송수입금이 약 19만원 수준 밖에 되지 않고 강서21번도 화전산단에서 재미보지 못하고 신호동으로 바뀌었기에 강서9번이라고 큰 효과는 없을 듯 하다. 그야말로 폐지하기는 애매하니 화전산단으로 우회시킨 것. 따라서 [[부산 버스 58|58번]]의 서브노선이나 다름이 없다. * 2017년 11월에 낙동강에코버스 노선에서 운행하였던 레스타가 재도색해 투입되었다. == 이용 시 주의할 점 == * '''기점인 신호주거단지(신호초등학교)에서 종점인 [[하단역]]까지 가려면 절대 이 노선을 이용하면 안된다.''' 화전산단과 본녹산을 거쳐서 빙빙 둘러가는 [[굴곡 노선/버스|굴곡 노선]]이기 때문에 이동 소요시간이 매우 오래걸리기 때문이다. 차라리 신호초등학교 사거리 정류장까지 걸어가서 회차하여 돌아가는 [[부산 버스 3]], [[부산 버스 124]], [[부산 버스 171]]을 이용해서 가거나 [[신호산단2로]]까지 조금 걸어간 다음에 [[부산 버스 58-2]]를 이용해서 가는 편이 훨씬 낫다. [[부산 버스 강서9-2]], [[부산 버스 강서17]]도 있으나 배차간격이 매우 길어 이용에 전혀 적합하지 않다. [[부산 버스 58-1]]도 있으나 좌석버스라 요금이 500원 더 비싼데 [[명지국제신도시]]를 거쳐가지 않기에 하단역으로 빠르게 가고 싶다면 이용해도 무방하다. === 시간표 === * [[https://www.bsgangseo.go.kr/visit/img/sub06/time_09_202301.jpg|시간표]] === 노선 === ||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width=20]] {{{#ffffff 부산광역시 마을버스 강서9번}}} || ||<^|1>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경유 도로 목록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2> [[낙동남로|{{{#353535,#eee '''낙동남로'''}}}]] || || {{{-2 명지시장 ▼}}}||{{{-2 ▲ 을숙도}}} || ||<-2> [[르노삼성대로|{{{#353535,#eee '''르노삼성대로'''}}}]] || || {{{-2 진목 ▼}}}||{{{-2 ▲ 명지시장}}} || ||<-2> [[낙동남로|{{{#353535,#eee '''낙동남로'''}}}]] || || {{{-2 산양마을입구 ▼}}}||{{{-2 ▲ 녹산농협}}} || ||<-2> [[녹산화전로|{{{#353535,#eee '''녹산화전로'''}}}]] || || {{{-2 ▼}}}||{{{-2 ▲ 산양마을입구}}} || ||<-2> [[화전산단3로|{{{#353535,#eee '''화전산단3로'''}}}]] || || {{{-2 세주정공 ▼}}}||{{{-2 ▲}}} || ||<-2> [[화전산단6로|{{{#353535,#eee '''화전산단6로'''}}}]] || || {{{-2 부산은행화전공단지점 ▼}}}||{{{-2 ▲ 세주정공}}} || ||<-2> [[화전산단2로|{{{#353535,#eee '''화전산단2로'''}}}]] || || {{{-2 사암마을 ▼}}}||{{{-2 ▲ LS산전}}} || ||<-2> [[녹산화전로|{{{#353535,#eee '''녹산화전로'''}}}]] || || {{{-2 삼성자동차출고사무소 ▼}}}||{{{-2 ▲ 삼성자동차출고사무소}}} || ||<-2> [[녹산산업북로|{{{#353535,#eee '''녹산산업북로'''}}}]] || || {{{-2 ▼}}}||{{{-2 ▲ 삼성서비스센터}}} || ||<-2> [[녹산산업대로|{{{#353535,#eee '''녹산산업대로'''}}}]] || || {{{-2 신호하수처리장 ▼}}}||{{{-2 ▲}}} || ||<-2> [[르노삼성대로|{{{#353535,#eee '''르노삼성대로'''}}}]] || || {{{-2 신호윌아파트105동 ▼}}}||{{{-2 ▲ 삼성자동차정문}}} || ||<-2> [[신호산단2로|{{{#353535,#eee '''신호산단2로'''}}}]] || || {{{-2 신호윌아파트 ▼}}}||{{{-2 ▲ 신호윌아파트105동}}} || ||<-2> [[신호산단3로|{{{#353535,#eee '''신호산단3로'''}}}]] || || {{{-2 ▼}}}||{{{-2 ▲ 신호윌아파트}}} || ||<-2> [[신호산단4로|{{{#353535,#eee '''신호산단4로64번길'''}}}]] || || {{{-2 신호마을 ▼}}}||{{{-2 ▲ 신호소방서}}} || ||<-2> [[신호산단1로|{{{#353535,#eee '''신호산단1로'''}}}]] || }}}}}}}}} || || || == 연계 철도역 == * [[파일:Busan1.svg|width=17]] [[부산 도시철도 1호선]]: [[하단역]] [[분류:부산광역시의 마을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