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부산광역시의 일반버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부산버스100-1A.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부산100-1저상.png|width=100%]]}}} || [목차] == 노선 정보 == ||<-6>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width=20]] {{{#ffffff 부산광역시 일반시내버스 100-1번}}} || ||<-6> {{{#!folding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부산 100-1 노선도.png|width=100%]]}}} || ||<-2> 기점 ||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청강리(청강리공영차고지) ||<-2> 종점 || 부산광역시 금정구 장전동(장전역) || ||<|2> 종점[br]행 || 첫차 || 05:00 ||<|2> 기점[br]행 || 첫차 || 06:28 || || 막차 || 22:10 || 막차 || 23:35 || ||<-2> 평일배차 || 출퇴근 9분 / 평시 14분 ||<-2> 주말배차 || 토요일 14분 / 공휴일 16분 || ||<-2> 운수사명 || [[해동여객]] ||<-2> 인가대수 || 18대[*주말 토요일 17대 / 공휴일 15대 운행] || ||<-2> 노선 ||<-4> [[동부산공영차고지|청강리공영차고지]] - 내리 - [[송정역(부산)|동해선송정역]] - {{{#aaa 송정터널}}} - 신도시시장.아세안문화원 - 대동상가 - 대림3차아파트 - [[중동역(부산)|중동역]].순복음교회 - [[해운대역|해운대도시철도역]] - [[동백역(부산)|동백역]] - 동해선[[벡스코역]] - 동해선[[센텀역]] - {{{#aaa 과정교}}} - 수영강푸르지오아파트 - [[부산경상대학교]] - {{{#aaa 연산터널}}} - 연일시장 - (→ [[연산역(부산)|연산역]].연산교차로 →/← [[연산역(부산)|연산역]] ← 연제자동차매매단지[*단독 이 노선의 단독 구간이다.] ←) - [[교대역(부산)|교대역]] - [[동래역(도시철도)|동래역]] - [[명륜역]] - (→ 동래더샵아파트 →/← 온천장아스타아파트 ←) - [[온천장]] - [[온천장역]].SK허브스카이 - 식물원입구 - [[금정초등학교(부산)|금정초등학교]] - [[부산대학교]]후문^^(11-089)^^ → 부산대학교정문^^(11-081)^^ → [[장전역]] → 장전동어린이놀이터 → 부산대학교정문^^(11-085)^^ → 부산대학교후문^^(11-088)^^ → 이후 역순 || == 개요 == 부산광역시의 시내버스 노선. 왕복 운행거리는 53.7km다. 전체 정류장 목록은 [[http://map.naver.com/?busId=71190|여기로]] == 역사 == * 이 노선의 시초는 1991년에 개통된 [[부산 버스 100|100번]]의 [[좌석버스]]이며 100번 노선과 동일했다. * 1996년 6월에 송정 - 송정터널 - 해운대신시가지 - 해운대로 변경되었다. * 1997년 일반버스로 형간전환됨과 동시에 노선번호도 100-1번으로 변경되었다. 해운대신시가지 구간은 북좌동 경유로 변경되었다. * 2011년 6월 10일 [[부산 도시철도 4호선]] 개통 이후 노선 개편으로 129번이 폐선되자 [[연산교차로]] - [[동래역(도시철도)|내성교차로]] 간 버스노선 요구 민원이 제기되었고 과정교(수영4호교)가 개통되며 [[부산 버스 54|54번]]만으로는 부족한 [[고분로(연제구)|고분로]] 수요를 분담하기 위하여 과정교와 고분로를 경유하도록 조정되었다.[* [[부산 버스 189|189번]]의 [[연산동(부산)|연산동]] 구간을 갖고 왔다. 동시에 과정교를 건너는 유일한 노선이 되었지만 2012년 4월 27일부터 [[부산 버스 307|307번]]도 과정교를 건너고 있고 2017년 1월 7일부터는 [[부산 버스 100|100번]]도 과정교를 건너고 있다.] * 2012년 8월 1일 [[부산 버스 181|181번]]으로 2대가 넘어가면서 18대로 운행하게 되었다. * 2021년 6월 5일 전기버스 충전소 추가설치 문제로 [[동부산공영차고지|청강리공영차고지]]까지 연장되었다. == 특징 == * '''[[해동여객]]의 준 간판 노선이다.''' * 장전3동 지역 주민들 대부분이 구.202번에 의존했었지만 이 노선이 형간전환된 이후 구.202번에 타격을 주었다. 202번도 동래를 경유했지만 부산대, 부곡시장으로 돌아갔기 때문이다. 100-1번이 수요가 본격적으로 늘기 시작했을 때랑 구.202번의 수요감소가 진행되기 시작되었을 때랑 시기가 맞물렸었다. * 기존에는 [[충렬대로]]를 따라 운행하던 노선이었고 유일하게 북좌동에서 잇는 노선이어서 당시 꽤 많은 수요를 자랑했다. * [[금정초등학교(부산)|금정초등학교]], 온천시장, [[장전동|장전3동]] 등지에서 오랫동안 운행했던 노선인지라 높은 인지도로 수요를 유지하고 있다. 또한 '''[[고분로(연제구)|고분로]]에서 [[연산교차로]] 이북 지역으로 운행하며 동래와 부산대를 잇는 유일한 노선으로''' 출퇴근시간대 구간수요가 상당히 많다.[* 이 노선보다 [[부산 버스 54|54번]]의 배차간격이 더욱 좋지만 54번은 서면으로 가긴 하나 사직운동장과 초읍으로 둘러가는([[굴곡 노선/버스|굴곡 노선]]) 노선이기때문에 100-1번의 수요가 더욱 많다.] 게다가 고분로(과정교 - 부산경상대학 - [[연산터널]] - [[연산교차로]])를 모두 완주하는 유일한 노선이다.[* [[부산 버스 54|54번]]은 토곡사거리에서부터 합류하여 [[고분로(연제구)|고분로]]를 쭉 따라간다.] * 노선변경 직후에는 [[충렬대로]] 연선 수요를 잃어버려 노선 승객수가 반토막 나다시피 하였고 운송수입금도 형 노선인 [[부산 버스 100|100번]]에 밀리는 굴욕까지 맛봤다. 게다가 [[토곡]]과 [[연산터널]] 쪽에서의 승객유입도 잘 되지 않은데다가 운송수입금이 감소된 여파로 인가대수가 20대에서 18대로 감차[* 2대는 모두 승객이 늘어난 181번으로 이동되었다. 그러나 이로 인해 가끔씩 15~20분 이상 벌어질때도 있다.]가 되어버려 좋은 노선을 망친 결과가 되는 줄 알았으나 점점 [[고분로(연제구)|고분로]] 연선 주민들에게 이 노선의 입소문이 퍼지면서 [[부산 버스 54|54번]]과 함께 서로 서브해가며 고분로에서 자리잡게 되었다. 또한 해운대와 [[연산동(부산)|연산동]]을 빠르게 이어주면서 신규 수요가 창출되어 현재는 상당히 안정화되었다.[* 이전에는 수영교차로에서 환승해야만 했다.] 이는 통계자료에서도 확인되었는데 2016년에 이 노선을 찾는 승객 수는 1일 평균 약 9,900여명이었다. 2017년에는 1일 평균 총 승객 수가 약 10,100여명으로 약 200여명 가량 늘었다. 반면에 형 노선 [[부산 버스 100|100번]]은 노선변경 이후 1일 평균 약 9,000여명에서 6,700여명까지 급감했고 1일 대당 운송수입금도 37~38만원대까지 감소하였다. 그러나 이 노선도 2018년 6월 통계에서 대당 수입금이 44만원을 기록하였다. 이 부분은 형제 노선 [[부산 버스 100|100번]]의 [[고분로(연제구)|고분로]] 경유 가세로 수요가 분담된 것으로 보여진다. * 기종점이 같은 형제 노선인 [[부산 버스 100|100번]]이 있지만 100번의 경우에는 '청강리공영차고지 ◀▶ 동래 ◀▶ '''장전역''''으로 기재되어 있는 반면 이 노선의 경우에는 행선판에 '청강리공영차고지 ◀▶ 해운대 ◀▶ '''부산대''''로 기재되어 있다. 또한 LED에도 100번은 [[장전역]]으로 나오고있지만 100-1번은 [[부산대학교]]로 나오고 있다. 기종점이 같고 동일한 회차방식을 이용하니 행선판이랑 LED 체계를 [[부산대학교]] 혹은 [[장전역]]으로 통일하여 동래시장 연선, 금정구 이용객들로 하여금 혼란을 일으키지 않도록 조속히 조치해야 할 것이다. * 한편 동일한 회차 방식을 이용하는 [[부산 버스 77|77번]]은 '학장동 ◀▶ 서면 ◀▶ '''부산대''''로, [[부산 버스 110|110번]]은 학장동 ◀▶ 구포 ◀▶ '''부산대''''로, [[부산 버스 121|121번]]은 '금곡동 ◀▶ 동래역 ◀▶ '''부산대''''로, [[부산 버스 144|144번]]은 '반여3동 ◀▶ 동래역 ◀▶ '''부산대''''로 기재되고 있다.[* 다만 LED는 77번, 144번은 부산대학교라고 나오고, 나머지 노선들은 장전역으로 나오고 있다.] * [[동부산공영차고지|청강리공영차고지]] 방향 노선은 [[교대역(부산)|교대역]] - [[거제천로]] - [[연산역(부산)|연산역]] - [[고분로(연제구)|고분로]] 순으로 우회하는데 이는 시청방면 [[연산교차로]]에서의 고분로 방면 좌회전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탑승 시 꼭 참고하자. 우회하는 덕분에 [[부산 버스 36|36번]]과 [[부산 버스 54|54번]], [[부산 버스 105|105번]]이 경유하는 [[월드컵대로(부산)|월드컵대로]]의 [[연산역(부산)|연산역]] 정류장을 경유하니 이쪽에서도 해운대 방면 수요는 괜찮게 나오는 편. * [[고분로(연제구)|고분로]] 노선으로 대폭 변경 후 고분로 구간이 저상버스 운행에 무리가 가자 한때 저상버스를 전량 철수시켰다. 하지만 그런 저상버스도 현재는 문제점들이 상당수 개선되어 출시되었고 그 결과, 철수한지 9년만에 드디어 다시 저상버스가 다니게 되었다. * [[부산 버스 100|100번]]이 [[과정로]]로 노선이 조정되고 [[부산 버스 181|181번]] 증차분으로 인가대수가 감차되어 이제는 100번보다 이 노선의 배차간격이 더욱 좋아졌다. 때문에 기존에 100번을 이용해서 해운대에서 동래 이북지역으로 가던 사람들도 와일드카드 노선으로 이 노선을 이용하는 수요가 늘어났다. * [[부산 버스 100|100번]], [[부산 버스 181|181번]]이 동해선 송정역을 가지 않고 [[부산 버스 141|141번]]은 송정 영업소에서 끊겨 연장한 이후에는 회사 소속 입석 노선중 유일하게 동해선 송정역을 경유하게 되었다.[* [[부산 버스 1011|1011번]]은 급행이라 논외로 한다.] === 연간 일평균 승차량 === * 원 출처는 [[https://www.kotsa.or.kr/ptc/inside_use.do|한국교통안전공단 국가대중교통DB]]이며 노선별 이용인원의 자료를 재구성했다. * 소수점 셋째 자리에서 반올림했다. * 카드 승차량만 집계된다. (현금 승차량 제외) || '''{{{#fff32b 연도}}}''' || '''{{{#fff32b 일평균 승차량}}}''' || '''{{{#fff32b 전년대비 변동폭}}}''' || ||2014년|| 10529.29|| || ||2015년|| 10597.57|| {{{#red △ 68.28}}}|| ||2016년|| 9911.14|| {{{#blue ▽ 686.43}}}|| ||2017년|| 10093.00|| {{{#red △ 181.86}}}|| ||2018년|| 8724.00|| {{{#blue ▽ 1369.00}}}|| ||2019년|| 8406.14|| {{{#blue ▽ 317.86}}}|| === 노선 === ||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width=20]] {{{#ffffff 부산광역시 일반시내버스 100-1번}}} || ||<^|1>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경유 도로 목록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2> [[금강로(부산)|{{{#353535,#eee '''금강로'''}}}]] || ||<|7> [[금강로(부산)|{{{#353535,#eee '''금강로'''}}}]]||{{{-2 ▲ 장전동어린이놀이터}}} || ||[[수림로(부산)|{{{#353535,#eee '''수림로'''}}}]] || ||{{{-2 ▲}}} || ||[[금정로(부산)|{{{#353535,#eee '''금정로'''}}}]] || ||{{{-2 ▲ 부산대학교정문}}} || ||[[장전로(부산)|{{{#353535,#eee '''장전로'''}}}]] || ||{{{-2 ▲ 부산대학교후문}}} || ||<-2> [[금강로(부산)|{{{#353535,#eee '''금강로'''}}}]] || || {{{-2 식물원입구 ▼}}}||{{{-2 ▲ 금정초등학교}}} || ||<-2> [[온천장로|{{{#353535,#eee '''온천장로125번길'''}}}]] || || {{{-2 온천장역.SK허브스카이 ▼}}}||{{{-2 ▲ 식물원입구}}} || ||<-2> [[온천장로|{{{#353535,#eee '''온천장로'''}}}]] || || {{{-2 온천장 ▼}}}||{{{-2 ▲ 롯데백화점동래점(명륜역)}}} || || [[금강공원로|{{{#353535,#eee '''금강공원로'''}}}]]||<|2>[[중앙대로(부산)|{{{#353535,#eee '''중앙대로'''}}}]] || || {{{-2 롯데백화점동래점 ▼}}}|| ||<-2> [[중앙대로(부산)|{{{#353535,#eee '''중앙대로'''}}}]] || || {{{-2 연제자동차매매단지 ▼}}}||{{{-2 ▲ 연산역.연산교차로}}} || || [[거제천로|{{{#353535,#eee '''거제천로'''}}}]]||<|4>[[고분로(연제구)|{{{#353535,#eee '''고분로'''}}}]] || || {{{-2 연산역 ▼}}}|| || [[월드컵대로(부산)|{{{#353535,#eee '''월드컵대로'''}}}]]|| || {{{-2 연산교차로 ▼}}}|| ||<-2> [[고분로(연제구)|{{{#353535,#eee '''고분로'''}}}]] || || {{{-2 동부지청어귀교차로 ▼}}}||{{{-2 ▲ 수영강푸르지오아파트}}} || ||<-2> [[해운대로|{{{#353535,#eee '''해운대로'''}}}]] || || {{{-2 올림픽교차로 환승센터 ▼}}}||<|3>[[해운대로|{{{#353535,#eee '''해운대로'''}}}]] || || [[APEC로|{{{#353535,#eee '''APEC로'''}}}]]|| || {{{-2 올림픽교차로 ▼}}}|| ||<-2> [[해운대로|{{{#353535,#eee '''해운대로'''}}}]] || || {{{-2 건널목삼거리 ▼}}}||{{{-2 ▲ 해운대구청어귀삼거리}}} || ||<-2> [[우동3로|{{{#353535,#eee '''우동3로'''}}}]] || || {{{-2 중동역.순복음교회 ▼}}}||{{{-2 ▲ 건널목삼거리}}} || ||<-2> [[대천로(부산)|{{{#353535,#eee '''대천로'''}}}]] || || {{{-2 LH뜨란채아파트 ▼}}}||{{{-2 ▲ 한일아파트}}} || ||<-2> [[대천로(부산)|{{{#353535,#eee '''대천로67번길'''}}}]] || || {{{-2 대림3차아파트 ▼}}}||{{{-2 ▲ 신성아파트}}} || ||<-2> [[좌동순환로|{{{#353535,#eee '''좌동순환로'''}}}]] || || {{{-2 신도시시장.아세안문화원 ▼}}}||{{{-2 ▲ 동신아파트}}} || ||<-2> [[좌동로|{{{#353535,#eee '''좌동로'''}}}]] || || {{{-2 송정1단지주공 ▼}}}||{{{-2 ▲ 신도시시장.아세안문화원}}} || ||<-2> [[해운대로|{{{#353535,#eee '''해운대로'''}}}]] || || {{{-2 내리 ▼}}}||{{{-2 ▲ 브라보주유소}}} || ||<-2> [[기장대로|{{{#353535,#eee '''기장대로'''}}}]] || }}}}}}}}} || || || == 연계 철도역 == * [[파일:Busan1.svg|width=17]] [[부산 도시철도 1호선]]: [[연산역(부산)|연산역]], [[교대역(부산)|교대역]], [[동래역(도시철도)|동래역]], [[명륜역]], [[온천장역]], [[부산대역]], [[장전역]] * [[파일:Busan2.svg|width=17]] [[부산 도시철도 2호선]]: [[중동역(부산)|중동역]], [[해운대역]], [[동백역(부산)|동백역]], [[벡스코역]] * [[파일:Busan3.svg|width=17]] [[부산 도시철도 3호선]]: 연산역 * [[파일:Busan4.svg|width=17]] [[부산 도시철도 4호선]]: 동래역 * [[파일:동해선 광역전철 로고.svg|width=17]] [[동해선 광역전철]]: 교대역, [[센텀역]], 벡스코역, [[송정역(부산)|송정역]] * 일반철도: 센텀역([[무궁화호]]) ==# 둘러보기 #== [include(틀:올림픽교차로 환승센터 버스)] [include(틀:부산대학교 경유버스)] [include(틀:해운대해수욕장 경유버스)] [[분류:부산광역시의 시내버스]][[분류:1991년 개업한 버스 노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