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폐선)] [목차] == 노선 정보 == ||<-6><:> [[파일:부산광역시 휘장(1995-2023)_White.svg|width=20]] {{{#ffffff 부산광역시 일반시내버스 107번}}}|| ||<-2> 기점 || 부산광역시 수영구 민락동(오성여객차고지) ||<-2> 종점 || 부산광역시 사상구 모라동(모라주공아파트) || ||<|2> 종점행 || 첫차 || 05:00 ||<|2> 기점행 || 첫차 || 06:10 || || 막차 || 22:00 || 막차 || 23:10 || ||<-2> 평일배차 || 120분 ||<-2> 주말배차 || 150분 || ||<-2> 운수사명 || [[오성여객]] ||<-2> 인가대수 || 1대[* 2002년 기준. 전성기때는 좌석버스로 36대를 운행했었다.] || ||<-3> 운행거리 ||<-3> - || ||<-2> 노선 ||<-4>[[민락동(부산)|민락동]] - [[광안리해수욕장]] - 대남교차로 - [[경성대학교]] - [[대연동]] - [[문현동|문현교차로]] - 조방앞 - [[범천동|범내골교차로]] - [[서면교차로|서면교차로]] - [[가야동]] - [[개금동]] - [[주례동]] - [[부산서부시외버스터미널]] - 모라주공아파트 || == 개요 == [[부산광역시 시내버스]]의 [[폐선]]된 일반시내버스 노선이다. == 상세 == [[https://youtu.be/udlS1Iun_G0?si=RJvsooY_9muiy8RD&t=894|영상자료 1]], [[https://youtu.be/JR9uTz9dZhs?si=HjKST3rDVdkLaQl3&t=876|영상자료 2]] * [[오성여객]]에서 운행하였으며 개통 당시 [[민락동(부산)|민락동]] - [[광안리해수욕장]] - 대남교차로 - [[경성대학교|부산산업대학교]][* 현 경성대학교] - [[대연동]] - [[문현동|문현교차로]] - 시민회관 - 자유시장 - [[범천동|범내골교차로]] - [[서면교차로|서면교차로]] - [[가야동]] - [[개금동]] - [[주례동]] - [[부산서부시외버스터미널|경부선 사상역]]을 운행하였다. * 1985년에 [[덕포동(부산)|덕포동]]과 [[삼락동(부산)|삼락동]]을 거쳐 모라사거리[* 현재 [[모라역]] 위치]까지 운행하는 걸로 변경되었다. * [[1990년]]부터 좌석버스를 투입하여 다니기 시작하였으며[* 이때 전 차량 [[현대 RB버스|RB520]]으로 운행하였다. 이후에도 [[1990년]]대 중반까지 좌석버스는 에어로시티만 들여온다.][[ 1994년]]엔 신모라를 경유하는 노선으로 변경되었다. * 좌석버스 개통 이후로 좌석버스 차량이 늘어나면서 좌석노선의 성격이 점차 강해지자 입석차량들은 자사노선인 [[부산 버스 62|62번]], [[부산 버스 108|108번]]에 넘기고[* 일부 차량들은 [[일신여객]]에 매각되었다.] 반대로 [[부산 버스 62|62번]], [[부산 버스 108|108번]]의 좌석차량을 받아와 완전한 좌석버스 노선이되었다. * 1990년대 중반부터 후반까지 RB520 좌석버스 대체분 및 순수 증차분으로 좌석신차가 대거 들어왔으며[* 이때 오성여객에서 처음이자 마지막으로 대우 BS106 좌석버스 차량을 들여온다. 다만 1대뿐이었고 동시기에 들어온 나머지 좌석차량은 전부 현대차였다.] 이 때까지만 해도 '''좌석버스임에도''' 부산시내 운송수익 2~3위 노선으로 [[오성여객]]을 먹여살리는 든든한 버팀목이었다. 한창 전성기 시절 107번은 무려 '''36대'''나 운행하는 어마어마한 노선이었다.[* 이 기록은 부산광역시 시내버스에서 좌석버스 노선으로는 단일 노선 최다 차량 인가대수 기록을 가지고 있다. 2023년 현재 급행버스 노선들만 봐도 [[부산 버스 1001|1001번]]이 30대로 당시 107번의 좌석버스 최다 차량 인가대수 기록은 계속 지켜지고 있다.] 그것도 전 차량 좌석버스였다. * 1998년에 모라주공으로 노선이 변경되었다. * 그러나 [[부산 도시철도 2호선|2호선]] 1단계 구간의 개통으로 인해 2000년부터 입석버스로 형간전환하게 되었는데 당시 운행대수 10대에 배차간격이 16분이었다. 또한 차량 전체가 좌석개조차들로 즐비하게 된다.[* 이 무렵 좌석버스로 운행했던 RB520은 감차 및 말소된 것으로 추측된다.] '''[[화무십일홍|하지만 그것도 잠시 뿐이었다.]]''' * [[설상가상]]으로 [[부산 도시철도 2호선]] 금련산 구간 개통으로 대량감차되어 '''1대'''[* 무려 36대 굴리던 시절에서 불과 몇 년 사이에 일어나고 만 일이었다.]로만 [[농어촌버스|파행운행하는 긴 배차간격]]으로 다니다가 결정적으로 [[부산 도시철도 2호선|2호선]] 완전 개통이라는 직격타를 맞아 2002년경 폐선되었다. 그리고 이 일을 계기로 [[수영구]] 일대에서 맹위를 떨치던 [[오성여객]]은 적자로 기울어져 한 순간에 이빨 빠진 호랑이 신세가 되고 말았다. == 대체노선 == * [[부산 도시철도 2호선]] ([[광안역]] ~ [[덕포역]]) * [[부산 버스 31]] (서면롯데백화점 ~ 모라주공아파트) * [[부산 버스 68]] (시민회관 ~ 주례역) * [[부산 버스 83-1]] (MBC방송국 ~ 서면) * [[부산 버스 108]] (민락동 ~ 주례역)[* 이 노선은 자유시장, 시민회관으로 가지 않는다.] == 관련 문서 == * [[부산광역시 시내버스]] * [[부산광역시 시내버스/폐선]] [[분류:버스 템플릿 미반영]][[분류:부산광역시의 시내버스/폐선]][[분류:2002년 폐지된 버스 노선]]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부산 버스 107, version=7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