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폐선)] [[파일:부산 버스 129-2.jpg]] [목차] == 노선 정보 == ||<-6><:> [[파일:부산광역시 휘장(1995-2023)_White.svg|width=20]] {{{#ffffff 부산광역시 일반시내버스 129-2번}}}|| ||<-2><:>기점||<:>부산광역시 수영구 망미동(고려제강)||<-2><:>종점||<:>부산광역시 북구 구포동(구포대교밑)|| ||<|2><:>종점행||<:>첫차||<:>?||<|2><:>기점행||<:>첫차||<:>?|| ||<:>막차||<:>?||<:>막차||<:>?|| ||<-2><:>평일배차||<:>9~12분||<-2><:>주말배차||<:>12~15분|| ||<-2><:>운수사명||<:>[[대진여객(부산)|대진여객]]||<-2><:>인가대수||<:>18대 || ||<-2><:>노선||<-4><:>고려제강 - 수영안동네 - [[수영역]] - 부산지방병무청 - 신리삼거리 - [[연제구청]] - [[양정역(부산)|양정]] - 하마정 - [[부전시장]] - [[서면|롯데호텔,백화점]] - 당감입구 - 개금주공 - 신주례LG아파트 - 보훈병원 - [[신라대학교|신라대입구]] - [[부산에너지과학고등학교|부산에너지과학고교]] - 신모라교차로 - [[구남역]] - 구포대교밑|| == 개요 == 부산시 시내버스 노선 중 하나였다. == 역사 == *[[삼성여객(부산)|동성여객(현 삼성여객)]]에서 신설해 '연산9동 - 시청 - 서면롯데 - [[백양대로]] - 구.부산여대(현 [[신라대학교|신라대]])입구' 구간을 운행했다. 현 87번과 129-1번을 섞은 노선. *그러나 적자가 매우 심하여 동성여객에서는 이 노선을 아예 대놓고 파행운행을 했다. *그러다, 1995년 8월에 구 103-1번을 삼성여객에서 인수하고 망미2동에서 연산9동까지 기점을 변경하고 이 노선을 대진여객에 이관함과 동시에 '망미2동 - 고려제강 - 태창아파트 - 미광운수 - 수영교차로 - 신리삼거리 - 양정 - 서면롯데 - [[백양대로]] - 구포2동([[구포대교]]밑)'으로 노선을 변경했다. * 그렇게 별탈없이 운행되어왔으나 준공영제를 앞두면서 뜬금없이 폐선 소식이 들려왔고 결국 2007년 5월 15일 준공영제가 시행되면서 그대로 폐선되었다. 수영안동네 구간은 대체노선으로 [[부산 버스 54|54번]]이 신설되었고 [[백양대로]] 구간은 133번이 [[가야대로]] 대신 백양대로 경유로 바뀌었다. 133번은 성공적으로 정착했으나, 54번의 경우에는 망미2동 / 수영동 주민들에게 엄청난 원성을 들었다. 해당지역 주민들이 원했던 선형은 부전동이나 서면으로 바로 연결되는 노선이였지만 54번은 이 구.129-2번과는 달리 굴곡이 굉장히 심한 형태였다. 해당지역의 경우에는 고분로를 통해서가면 [[연산역(부산)|연산역]]과 근접하지만 이 노선은 수요문제로 인해 곧바로 연결시키지 못하고 빙빙 돌아가고 있다. 당연히 54번은 구.129-2번의 공백을 완전히 메우지 못했고, 시내로 나가려면 강제로 환승해야해서 대체 노선으로써는 자격미달이었다. 운행대수는 이 노선보다 54번이 약 9대가 더 많긴 했지만, 상습정체지역들만 골라서 가는 바람에 배차간격이 이 노선과 크게 차이가 없는 수준이었다. 이로 인해 54번은 한동안 수영본동 주민들에게 욕을 한 바가지 먹고 미움만 받다가 현재는 울며 겨자먹기식으로 이 노선을 이용한다. * 부산시에 따르면 129-2번을 폐선한 이유 중 하나가 (수영교차로 ~ 서면) 구간 중복 노선이 많은 비효율 노선[* 당시 수영교차로 ~ 서면 구간이 중복되었던 노선으로 [[부산 버스 5]], [[부산 버스 5-1]], [[부산 버스 62]], [[부산 버스 141]], [[부산 버스 142]]까지 존재했었다. 2019년 기준으로 [[부산 버스 5]], [[부산 버스 142]]도 이미 폐선되었다. 거기다 서면롯데백화점에서 [[구명역]]까지 [[부산 버스 169-1]]과도 완전 중복되는 형태이기도 했다.]이었다고 한다. 그 외에 대진여객에서도 수영영업소 정리 명목으로 이 노선을 폐선했다고 한다. 이 노선이 폐선된 2007년 5월 15일에 이 노선 출신차량들 대부분이 [[부산 버스 189|189번]]으로 이동되었고[* 2007년 5월 14일까지는 삼성여객이 189번 노선을 단독배차하였다. 그 이후에는 삼성여객이 189번에서 철수함에 따라 대진여객이 189번을 완전 인수한다.] 삼성여객 189번 소속 차량들은 43번, 54번 등으로 이동되었다. == 특징 == *수영(망미2동)에서 시종착하는[* 수영자동차운전학원 바로 옆에 있었다. [[번영로(부산)|번영로]] 고가도로 바로 밑에 있기도 했는데 준공영제 때 폐선되고 54번이 신설되었어도 삼성여객이 이 차고지를 계속 사용하였다. 그러다가 2008년도에 망미2동~연산9동 사이의 접속도로가 뚫리면서 수영영업소는 폐쇄되었다. 망미2동 차고지에는 경동여객 시절의 [[부산 버스 5|구.5번]]과 상술한 동성여객(현.삼성여객)의 구.103-1번/구.103-2번이 시종착을 했던 전례가 있다.]노선이었는데 우선 교통오지인 수영안동네를 경유하는 노선이다보니 이 일대에서는 절대 없어선 안 될 노선이었다. 더군다나 [[연수로(부산)|연수로]]에서 양정, 서면롯데 쪽으로 직진하는 형태였기 때문에 지하철도 부럽지 않을 정도로 수영안동네 주민들에게는 단비 같은 노선이었다. 그 밖에 반대 지역에서도 169-1번과 상부상조하여 좋은 수요를 보여왔으나 장거리 노선이었던데다 정체지역을 지나는 노선특성상 가끔식 차가 잘 안 올 때도 있었다.[* 운행대수가 18대로 노선길이에 비해 운행대수가 넉넉하지 못한 편이었다.] 2004년경에 가스차량이 투입되어 화제가 되기도 했는데 그 때는 연산9동으로 이어지는 접속도로가 없었던 상황. 이때문에 충전문제가 발생하여 기존 가스차량 4대는 모두 디젤 신차로 교체되었다.[* 이 차량들도 반송으로 온지 얼마 지나지 않아 뉴 슈퍼에어로시티 CNG로 대차되고 차량은 [[태영버스]]에 매각되어 운행하다 2011년부터 2014년에 걸쳐 차례차례 대차되었다.] 기존에 굴렸던 CNG 차량 4대는 삼성여객의 구형차량 대차분으로 이동되어 86번, 87번에서 운행하게 된다. * [[대진여객(부산)|대진여객]] 노선들 중 [[반송]] 차고지에 주박하지 않은 유일한 노선이었다.[* 사실 이 노선 외에도 [[부산 버스 43|43번]]과 구.503번도 반송기점은 아니었다. 단 43번은 준공영제 전에도 대진여객이 참여했다. 대진여객 차량은 반여1동에서 운행을 마치고 바로 반송차고지로 공차회송했다.] * 폐선 당시 기준으로 [[대진여객(부산)|대진여객]] 노선들 중 [[해운대구]]와 아무런 관련이 없는 유일한 노선이었다. * 대체 노선은 아래와 같다. * [[부산 버스 54]] (수영강e-편한세상 <> 수영아파트) * [[부산 버스 133]] (신개금LG아파트 <> 신모라 동원아파트) * [[부산 버스 169-1]] ([[구포초등학교]] <> [[롯데백화점 부산본점]]) == 연계 철도역 == 폐선 당시 기준이다. * [[부산 도시철도 1호선]]: [[양정역(부산)|양정역]], [[부전역(도시철도)|부전역]], [[서면역]] * [[부산 도시철도 2호선]]: [[수영역]], 서면역, [[부암역]], [[구남역]], [[구명역]] * [[부산 도시철도 3호선]]: 수영역, [[망미역]], [[배산역]], [[물만골역]] * 일반 철도역: 부전역, [[가야역]] == 관련 문서 == * [[부산 버스 129]] [[분류:부산광역시의 시내버스]][[분류:부산광역시의 시내버스/폐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