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폐선)] [[파일:external/cafefiles.naver.net/IMAG0035.jpg]] [목차] ||<-6>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width=20]] {{{#ffffff 부산광역시 일반시내버스 131-1번}}} || ||<-2><:>기점||<:>부산광역시 남구 용호동(성모병원입구)||<-2><:>종점||<:>부산광역시 금정구 장전동([[부산대학교]])|| ||<|2><:>종점행||<:>첫차||<:>?||<|2><:>기점행||<:>첫차||<:>?|| ||<:>막차||<:>?||<:>막차||<:>?|| ||<-2><:>평일배차||<:>15분||<-2><:>주말배차||<:>20분|| ||<-2><:>운수사명||<:>[[부일여객]]||<-2><:>인가대수||<:> 10대|| ||<-2><:>노선||<-4><:> 성모병원입구↔이기대입구↔[[경성대]]↔수영교차로↔[[연제구청]]↔양정↔하마정↔거제리↔[[사직운동장]]↔미남교차로↔[[동래역(도시철도)|동래지하철역]]→금정세무서→[[부산대학교]]|| == 개요 == 부산광역시의 폐선된 버스노선. == 역사 == * 1994년에 똑같은 노선에[* 부산대 ~ 동래롯데백화점(구.동부시외버스터미널) ~ 미남교차로 ~ 사직운동장 ~ 거제리 ~ 하마정 ~ 망미동 ~ 광안동 ~ 광안동 ~ KBS ~ 경성대 ~ 용호동] 시민여객 131번과 부일여객 131-1번으로 분리 운행하게 된다. * 2005년 11월 28일, 부산 도시철도 3호선 개통으로 두 노선 모두 수요에 타격을 입었다. 결국 2007년 5월 15일 준공영제를 시행하면서 131-1번이 폐선되고, 대신 시민여객이 운행하던 131번 노선을 부일여객이 인계받아 운행하게 되었다. 그리고 이 노선의 빈자리는 같은 날에 [[부산 버스 39|39번]]이 신설되면서, 용호동에 들어오게 되었다. == 특징 == * 여담으로 2007년 부산 시내버스 개편때 131번, 131-1번 모두 폐선할 예정이었다. 하지만 2006년 10월에 열렸던 구청 순환 공청회 이후 반대의견이 많아 131번은 극적으로 살아남고, 131-1번이 폐선되었다. 다만 131번의 운수회사가 시민여객에서 부일여객으로 바뀌었다. * 하지만 2008년 2월, 131번 노선이 화신여객으로 인수되었고, 같은해 7월 2일, 19번이 이 노선에 통폐합되어 구서2동까지 연장되면서, 용호동 - 부산대 노선이 부활했다.[* 다만 화신여객의 131번은 131-1번이 다녔던 [[동래역(도시철도)|동래역]] ~ [[온천장역]] ~ 소정천 ~ 부산대 구간이 아닌 동래럭키상가 ~ 온천장(SK허브스카이) ~ 부산대 구간을 운행하고 있으므로 구.131-1번과는 노선이 다르다.] == 대체노선 == * [[부산 버스 20]] (백운포고개 ~ 신리삼거리) * [[부산 버스 39]] (백운포고개 ~ 수영역) * '''[[부산 버스 131]]''' (백운포고개 ~ 부산대학교)[* 단 131-1번이 경유했던 동래역~중앙대로~온천장역~소정천 구간은 미경유한다.] * [[부산 버스 141]] (수영사적공원 ~ 양정) * [[부산 버스 189]] (사직야구장 ~ 온천장역) [[분류:부산광역시의 시내버스]][[분류:부산광역시의 시내버스/폐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