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부산광역시의 좌석버스)] ||[[파일:2961.jpg|width=100%]]|| [목차] == 노선 정보 == ||<-6>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width=20]] {{{#ffffff 부산광역시 좌석버스 203번}}} || ||<-6> {{{#!folding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부산 203 노선도.png|width=100%]]}}} || ||<-2> 기점 || 부산광역시 금정구 금성동(죽전마을) ||<-2> 종점 || 부산광역시 동래구 온천동(온천장역) || ||<|2> 종점[br]행 || 첫차 || 06:00 ||<|2> 기점[br]행 || 첫차 || 06:30 || || 막차 || 22:30 || 막차 || 23:00 || ||<-2> 평일배차 || 15분 ||<-2> 주말배차 || 10분 || ||<-2> 운수사명 || [[산성교통]] ||<-2> 인가대수 || 7대(예비 1대)[* 평일 5대 / 토요일·공휴일 6대 운행] || ||<-2> 노선 ||<-4> --([[부산광역시교육청|부산광역시학생교육원]][* 각급 [[학교]]에서 이 곳으로 단체로 [[학교 수련회]]를 갈 때 학생들을 수송하기 위해 이 곳까지 운행한다. 반면에 [[부산 버스 금정1|금정1번]]은 [[한정면허 버스]]가 아닌 관계로 공해부락에서 시종착한다.])-- - 죽전마을 - 금성동주민센터 - 공해부락 - [[금정산성]]남문.금정산성도매큰시장 - [[금정산성]]동문 - [[부산대학교|부산대]]후문[* GS아파트, 금정초등학교 부근에 위치한 정류소가 아닌 금정산 길목에 위치한 정류소이며 203번 단독으로 선다. 이 정류소는 부산대 장전캠퍼스내 가장 고지대에 위치한 사범대, 음대, 미대 건물을 비롯한 700번대 건물과 가깝다. 다만 이 노선으로 부산대학교 가려고 한다면 이 정류소가 아닌 이전 정류소인 양로원/광명사 정류소를 이용해야한다.] - 광명사 - 식물원 - 금정산SK뷰 - (→ 경보아파트 →/← 만수마트 ←) - 온천시장 → [[온천장역]] → [[온천장]] → [[온천장 SK HUBSKY]] → 온천시장 → 이후 역순 || == 개요 == 부산광역시의 시내버스 노선. 왕복 운행거리는 15.6km다. [[http://map.naver.com/?busId=71172|전체 정류장 목록]] == 역사 == * 본래 일반시내버스 노선이었으며 1980년 '동래산성교통'이라는 회사에서 [[한정면허 버스|한정면허]]를 받아 마을버스처럼 운행하였으며,[* 회사명은 차량 앞뒤로 '''동래 산성'''이라고 붙이고 다녔다.] 차종은 모두 [[기아 코스모스]]의 전속 모델인 [[기아 AM버스#s-2.4.1|AM808]]로 운행하였다.[* 당시 부산 시내버스 중 유일한 아시아자동차 차량이었다. 부산 시내버스는 [[아시아 AB버스|AB185]]나 [[아시아 AM버스|AM907(L), AM917]]을 단 한 대도 운행하지 않았다.] 당시 노선은 식물원입구[* [[부산 버스 80|80번]]이 단독으로 정차하는 식물원입구 정류장(06-002)에서 정차하였고 잠시 정차했다가 금정영업소에서 차를 돌린 후 다시 산성으로 향하는 방식이었다.]~식물원~금정산성~공해부락이었다. * 1981년 11월 22일 금정산 자락을 내려오던 도중 탑승정원 초과 및 정비 불량으로 인한 브레이크 파열로 추락사고를 일으켜 무려 33명이 사망하는 대참사가 벌어지고 동래산성교통은 유족 보상금을 지급하지 못해 부도를 맞는다. 이후 노선은 경매에 부쳐져 대성여객과 [[일광여객]]이 경합을 벌인 결과 일광여객이 입찰경쟁에서 승리하여 203번 노선을 가져간다. 이와 동시에 좌석버스로 전환되었다.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81112300209201007&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81-11-23&officeId=00020&pageNo=1&printNo=18504&publishType=00020|사고 관련 기사]] * 1996년 식물원입구에서 [[온천장역]]으로 연장되었고 공해(부락)마을에서 죽전마을까지 연장된다. * 2009년 3월 3년마다 갱신을 받는 [[한정면허 버스|한정면허]]로 전환되어 일광여객에서 일광서비스라는 한정면허 업체를 설립해 운행하고 있다. 이 때문에 LED 의무장착 대상에서 제외되었다.[* 업체 재량으로 달 수도 있으나 LED 행선판도 꽤 비싼 물건이라 203번에는 달지 않고 있다. 내부에도 달지 않았다.] 또한 한정면허 노선은 차량총량제 대상도 아니라서 전환 직후 2대가 순수증차되기도 했다. * 2013년 7월 1일 [[장전동|장전2동]] 금강식물원, 광명사 인근 지역 주민들에게도 일반시내버스 요금(1,550원)을 받는다. 다만 이로 인해 적자가 심해졌다고 한다.[* 기존에는 [[금성동(부산)|금성동]] 주민들에게만 일반시내버스 요금을 받았다. 운행사원이 단말기를 조작하여 요금을 내려받는 방식인데 주민들 수가 적어 [[다 아는 사람들이구먼|다 아는 사람들이니]] 주민인 척 하지 말자. 이는 부산 ~ 거제 노선인 [[부산, 거제 버스 2000|2000번]]도 마찬가지로 시내구간을 이용하는 사람들이 지역 주민들이라는 특성상 다 아는 사람들이다.] 이 지역의 경우 경유하는 노선은 이 노선 단 하나뿐인데[* [[부산 버스 동래1-1|1-1번 마을버스]]는 식물원([[장전중학교]])까지만 운행하며 배차간격이 매우 길다. 그마저도 [[온천장역]] 방향으로 가지 않는다.] [[온천장역]]까지 거리가 불과 3km정도 밖에 되지않으나 비싼 좌석버스 요금 내고 승차하는 것에 오래 전부터 불만이 많았었다.[* 심지어 이 짧막한 거리를 요금이 비싸다며 온천장역까지 걸어서 가는 승객들도 여럿 보였다. 온천장역까지 가는 길은 내리막길이라 걸어가는데 그렇게 힘들지 않기 때문이다.--문제는 반대로 돌아오는 길이다--] 이때문에 시청에 민원을 내어 일반버스 요금을 받게 된 것이다. * 2014년 금정영업소가 폐쇄되고 [[금성동(부산)|금성동]](산성)[* 회차지였던 산성교 바로 옆에 차고지와 영업소가 있다. 완공되기 전까지 임시로 사용했던 차고지는 컨테이너 박스만 달랑 하나 있어 매우 초라했는데 완공된 이후에는 꽤 그럴싸하다. 그런데 1대 단위로 영업소에 있지 않고 [[산성로(부산)|산성로]] 중턱에 주차되어 있을 때도 있다.]으로 이전함에 따라 기종점이 서로 바뀌게 되었다. 다만 과거 금정영업소가 장전3동에 위치했을때 [[온천장역]]이 기점이었던 영향으로 전산 상으로는 여전히 온천장역이 기점이고 산성(죽전마을)이 종점으로 되어있다. 이 때문에 온천장역에 도착했을시 단말기에서 "운행이 끝났습니다. 운행종료 버튼을 눌러주세요."라는 멘트가 송출되기도 하며 버스정보 API에서도 상행 하행이 반대로 나온다. * 2017년 12월에 [[일광여객]]이 노선을 매각하여 운행업체가 [[일광서비스]]에서 대방여객으로 바뀌었으나 2019년 4월 회사명이 [[산성교통]]으로 다시 바뀌었다.[* 실질적으로는 2019년도 3월에 변경됐었다.] * 2018년 3월 말에 기존 BS090 NGV 차량들은 순차적으로 NEW BS090 '''디젤''' 차량으로 교체되었다. [[대우조선해양]] 출신 중고 차량으로 LED 위에 종이 행선판이 덮여있고[* 이 LED는 부산시내버스의 LED와는 관계 없는 대우조선해양 구내 셔틀버스의 내용을 표시할 수 있다.] '''부산시내버스 도색이 아닌 대우조선해양 도색을 그대로 사용하고 있다.''' * 가져온 차량 중 일부는 입석 차량인데 좌석 개조를 하며 기존 입석형 좌석을 일부 남겨두어 '''[[http://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transit&no=36660&page=1|입석 좌석 반반 상태]]'''[[금아리무진#s-3|로 운행 중이다.]] 배열 자체는 2010년대 이후에 종종 보이는 2X1형 배열이나, 두 종류의 좌석 시트가 사용된 것이 특징. 준공영제에 적용되지 않기에 가능한 일로 보이는데, 일각에서는 부산에서 [[부산, 거제 버스 2000|2000번]] 다음으로 비싼[* 그마저도 시내구간만으로 따지면 203번이 가장 비싸다. 2000번은 거제도로 갈 때만 4,200원을 내고, 시내 구간에서는 1700원만을 징수해 203번보다 싸다. 다만 앞에서 서술했듯 203번도 일부 조건에 한해서는 1200원만을 징수하는 상황.] 버스인데도 딱딱한 입석형 의자가 있다는 것을 지적하기도 한다.[* 다만 뒤쪽의 2인용 입석시트는 등받이도 높고 착석감이 오히려 더 푹신하다는 평이 많다.] * 2021년 12월 초에 1대가 [[부산 버스 금정1|금정1번]] 출신 NEW BS090 디젤로 대차되었다. 이후 2022년 1월 초에 좌석 개조를 하고, '''대우조선해양 도색으로 재도색한 후에''' 운행을 시작했다. == 특징 == * '''환승대기시간이 60분으로 적용된다.''' * [[부산, 거제 버스 2000|2000번]]과 함께 [[준공영제]]에서 제외된 둘 뿐인 노선이다. 당초에는 이 노선도 준공영제에 포함되었으나 2009년에 준공영제에서 제외되었다. 따라서 운송수입금과 이에 발생하는 적자는 모두 [[산성교통]]이 감당하고 있다.[* 그 밖에 한정면허 버스로는 태영공항리무진 소속 [[부산 김해공항리무진 1]], [[부산 김해공항리무진 2]] 노선과 부산항국제여객터미널과 부산역을 잇는 [[하버트란스]] 노선이 있다.] 다만 환승할인제로 인한 손실은 부산시에서 지원한다. * 온천장역에서 부산대후문까지의 구간만 이용하는 승객이나 [[금성동(부산)|금성동]] 거주민에 대해서는 일반버스 운임을 징수한다. '''즉 이 노선도 어찌보면 [[구간요금]]을 징수하니 산성마을행 온천장역 ↔ 부산대후문 구간만 이용할 승객들은 반드시 목적지를 말하고 승차해야 한다.''' 반대로 금성동 내 산성마을 구간만 이용할 승객이라면 차라리 금정1번을 타고 가자. 물론 부산대후문 이후 구간에서부터는 얄짤없이 기본 운임을 징수한다. * 물론 해당 구간을 이용할 승객은 한정되어 있기에 버스 기사가 이미 다 알 만한 사람들뿐이다.[* 대표적으로 부산대후문 정류장에 하차하는 제2사범관, 음대, 미대 건물 이용하는 부산대학교 학생들이 있다.] 구간 속이지 말고 양심껏 타자.[* 어차피 온천장역에서 금성동 거주민들이나 광명사 이남 지역 승객들이 승차하면 기사가 알아서 단말기를 조작한다.] * 정류장 표지판 역시 여타 노선들과 별도로 관리되는지 대부분의 정류소에서 203번만의 특이한 양식을 쓴다. 대부분의 정류장이 타 노선과 정류장을 공유하지 않는 단독구간이라 그런 것으로 추정되는데, 그나마 정류장이 겹치는 장전동 일부 정류장에는 다른 노선용 표지판과 별도의 자체 표지판을 설치한 반면 회차구간인 온천장역(이전 정류소명 '홈플러스')의 경우 타 노선과 동일한 표지판과 정류장 구조물을 사용한다. * 차량 행선판의 '온천지하철'은 [[온천장역]]이다. 또한 [[온천장역]] 정류장 표지판에는 정류장 ARS코드가 06-223으로 기록되어 있지만 부산광역시 버스 정보 시스템에는 06-223 정류장은 명륜역·동래중학교이다. * 차내 노선도는 과거 준공영제 노선일 때는 시내버스 양식을 썼으나 현재는 마을버스 양식을 쓴다.[* 마을버스는 준공영제 이전 시내버스에서 쓰던 양식을 그대로 사용 중인 상황이라, 203번은 과거로 회귀한 셈이다.] 이외에도 산성에서 다시 시내로 나왔을 때 [[좌석버스]]인데도 [[마을버스]] 안심귀가서비스 홍보 방송을 하는 등 마을버스와 일부 특징을 공유한다. * 노선 길이가 [[마을버스]] 수준이지만 [[좌석버스]]인데 이는 산복도로 통행에 따른 사고 위험성 때문이다. 1981년 사고가 결정적인 이유로 추정된다. * 버스도착정보 확인이 되긴 하나, 중간에 정류장 코드가 몇개 누락되고 없다. 이 사이 구간에 차량이 있는 경우 순간이동하기도 하는 듯. === 수요 특성 === * '공해부락 - 광명사' 구간은 단독 구간이다. * 평일에는 [[북부산]]권에 거주하는 [[부산대]] [[통학]]수요가 많으며, 특히 산성마을회관에서 08:30과 10:00에 출발하는 버스는 항상 만차다. 이 노선이 없으면 '덕천교차로 - 신만덕 - 만덕터널 - 미남교차로 - 동래역 - 온천장 - 부산대' 혹은 '[[남양산IC]] - [[경부고속도로]] - 부산대' 이런 식으로 돌아서 가야 하는데, 거리도 거리지만 교통체증이 심한 곳을 많이 거친다. 그 외에는 동래/금정구에서 구포로 넘어갈 때 만덕터널 정체를 피하기 위해 타는 수요도 있었으나 [[산성터널(부산)|산성터널]] 개통과 함께 [[부산 버스 300|300번]] 시내버스의 개통으로 인하여 수요가 줄어들었다. * 주말에는 [[금정산]] 등산객들이 많아 온천장역부터 만차가 된다. [[온천장역]]에서는 늘 1대씩 기다리고 있다가 시간에 맞춰 출발하기에 타는것은 별 문제가 없지만 온천장역을 출발하여 중간 정류장에서 탑승하기는 어려울 수 있다. * 금정산 안쪽에 있는 부산광역시학생교육원에 [[학교 수련회]]를 갈 때는 산성동에서 더 들어가 부산광역시학생교육원 주차장 앞까지 운행한다. 귀가할 때도 마찬가지. 수련회 건물과 수련회 행사 모두 부산광역시학생교육원에서 관리하기 때문에 수련원 관계자들이 버스 회사에 요청하면 차량이 더 온다. * [[산성터널(부산)|산성터널]] 개통과 함께 [[2018년]] [[9월 30일]]에 [[부산 버스 300|300번]] 시내버스가 개통되어 부산대 통학 수요가 많이 줄어들었는데 300번의 경우 산성터널을 직통하여 [[북구(부산)|북구]] [[화명동]]과 [[금정구]] [[장전동]]을 잇는 노선이기에 금성동으로 거쳐가는데다 환승까지 해야 하는 이 노선보다 훨씬 빠르게 이어주기 때문이다.[* 그래도 이 노선은 금정산성으로 올라가는 초입 부분에 위치한 부산대후문 정류장을 단독으로 경유하고 있으며 300번의 경우 노선 경로상 부산대는 경유하지 않기때문에 [[부산대]][[후문]]으로 빠르게 갈 수 있는 이 노선만의 메리트가 있다. 음대와 미대, 그리고 약대 소속 학생이 그 대상이다.] 게다가 [[2019년]] [[1월 26일]]에 개통된 [[부산 버스 111-1|111-1번]]이 [[산성터널(부산)|산성터널]]과 [[부산대학교]]를 모두 경유하고 있어서 타격이 더 가고 있다. --때문에 안 그래도 심한 적자가 훨씬 심해졌다고 한다.-- 현재 수요층은 금성동 주민 고정수요, 주말 금정산 등산객들의 수요와 남문과 가까운 북부산권 음대, 미대와 사범대 소속 학생들의 통학수요로 연명 중이다.[* 남문쪽의 경우 [[부산 버스 111-1|111-1번]]을 타고 부산대정문에 내려서 [[부산 버스 금정7|금정7번 마을버스]]로 환승하여 후문쪽으로 가는 거보다 이 노선을 이용하여 바로 가는 편이 더욱 빠르기도 하다.] === 유명한 내리막 노선 중 하나 === [youtube(P49hkP1nKeQ)] [youtube(iYiTYPRuzbc)] 3배속으로 돌린 영상이다. 참고로 [[BGM]]은 [[이니셜D]]의 OST [[https://youtu.be/XCiDuy4mrWU|running in the 90`s]]. * 산지가 많은 지형 특성상 부산에는 [[산복도로|난코스]]를 운행하는 노선이 많은데, 그 중에서도 가장 유명한 노선이다. 금정산성을 경유하는 산성로는 부산 시민들 사이에서도 손꼽히는 저속 커브 도로 중 하나로, 초보운전자들에게 웬만하면 타지 마라고 할 정도. 지도로 보면 사실상 [[이니셜D]]에 [[아카기#s-1.2|수록]][[하포가하라|되는]] [[아키나#s-2|트랙]][[이로하자카#s-2.1|들과]] 별반 차이가 없다. --[[전차로 D]]에 이은 버스로 D-- 이런 도로 상황때문에 중형버스로만 운행하며, 커브길이나 경사가 있는 곳에 진입하면 운행승무원이 미리 손잡이를 꽉 잡으라고 알려준다. * 함께 금정산으로 올라오는 [[부산 버스 금정1|금정1번]]도 이 노선 못지 않게 산길에서 속력을 내는데 거리는 더 길지만 203번보다는 굴곡과 경사가 덜하여 70~80km/h 정도로 하산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 이렇게 산악도로를 이용하는 관계로, 심각한 악천후로 인해 해당 도로의 이용이 어려울 경우 우회 대신 노선 운휴를 하기도 한다. 2021년 태풍 [[오마이스#s-5|오마이스]]의 사례가 그 예. [[http://www.gukje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2293422|기사]] === 시간표 === [[https://blog.naver.com/alba2006/221987774060?view=img_1|2022년 06월 01일 기준]] === 연간 일평균 승차량 === * 원 출처는 [[https://www.kotsa.or.kr/ptc/inside_use.do|한국교통안전공단 국가대중교통DB]]이며 노선별 이용인원의 자료를 재구성했다. * 소수점 셋째 자리에서 반올림했다. * 카드 승차량만 집계된다. (현금 승차량 제외) || '''{{{#fff32b 연도}}}''' || '''{{{#fff32b 일평균 승차량}}}''' || '''{{{#fff32b 전년대비 변동폭}}}''' || ||2014년|| 2217.14|| || ||2015년|| 2234.71|| {{{#red △ 17.57}}}|| ||2016년|| 2291.86|| {{{#red △ 57.15}}}|| ||2017년|| 2324.86|| {{{#red △ 33.00}}}|| ||2018년|| 2163.28|| {{{#blue ▽ 161.58}}}|| ||2019년|| 1988.14|| {{{#blue ▽ 175.14}}}|| === 노선 === ||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width=20]] {{{#ffffff 부산광역시 좌석버스 203번}}} || ||<^|1>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경유 도로 목록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2> [[중앙대로(부산)|{{{#353535,#eee '''중앙대로'''}}}]] || || {{{-2 온천장 ▼}}}||{{{-2 ▲ 온천장역}}} || ||<-2> [[온천장로|{{{#353535,#eee '''온천장로'''}}}]] || || {{{-2 온천시장(목욕타운) ▼}}}||{{{-2 ▲}}} || ||<-2> [[온천장로|{{{#353535,#eee '''온천장로125번길'''}}}]] || || {{{-2 만수마트 ▼}}}||{{{-2 ▲ 경보아파트교차로}}} || || [[식물원로(부산)|{{{#353535,#eee '''식물원로75번길'''}}}]]||[[금강로(부산)|{{{#353535,#eee '''금강로'''}}}]] || || {{{-2 금정산SK뷰 ▼}}}||{{{-2 ▲}}} || ||<-2> [[식물원로(부산)|{{{#353535,#eee '''식물원로'''}}}]] || || {{{-2 식물원 ▼}}}||{{{-2 ▲ 금정산SK뷰}}} || ||<-2> [[금샘로|{{{#353535,#eee '''금샘로'''}}}]] || || {{{-2 부산대후문 ▼}}}||{{{-2 ▲ 광명사}}} || ||<-2> [[산성로(부산)|{{{#353535,#eee '''산성로'''}}}]] || }}}}}}}}} || || || == 연계 철도역 == * [[파일:Busan1.svg|width=17]] [[부산 도시철도 1호선]]: [[온천장역]] == 둘러보기 == [include(틀:부산대학교 경유버스)] [[분류:부산광역시의 시내버스]][[분류:1980년 개업한 버스 노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