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폐선)] ||[[파일:attachment/FrontPage/BS333-1.jpg|width=100%]]||<-2>[[파일:20160809_103136.png|width=100%]]|| ||<:>평일 중앙/민주공원 미경유 시절.||<-2><:>2016년 8월.|| [목차] == 노선 정보 == ||<-6><:> [[파일:부산광역시 휘장(1995-2023)_White.svg|width=20]] {{{#ffffff 부산광역시 일반시내버스 333번}}}|| ||<-2><:>기점||<:>부산광역시 동구 초량동([[부산역]])||<-2><:>종점||<:>부산광역시 중구 영주동(중앙공원·민주공원)|| ||<|2><:>종점행||<:>첫차||<:>06:00||<|2><:>기점행||<:>첫차||<:>06:14|| ||<:>막차||<:>22:00||<:>막차||<:>22:14|| ||<-2><:>평일배차||<:>15~17분||<-2><:>주말배차||<:>25분|| ||<-2><:>운수사명||<:>[[남부여객]], [[신한여객]], [[유한여객]]||<-2><:>인가대수||<:>3대[* 남부여객 1대, 신한여객 1대, 유한여객 1대]|| ||<-2><:>노선||<-4><:>[[부산역]] - [[부산고등학교|부산고교]] - 초량어린이집/아르미나아파트 - (←[[부산컴과고]]) - 영주삼거리 - 중앙공원·민주공원|| == 개요 == 부산광역시의 시내버스 노선. 왕복 운행거리는 15.2km다. == 역사 == * 산복도로 르네상스 사업의 일환으로 2012년 1월 5일에 정책노선으로 개통되었다. [[http://bus.busan.go.kr/busanBIMS/bus_info/adjust_view.asp?seq=4|부산시 노선조정안내]] 본래 [[부산광역시 마을버스|마을버스]]로 개통할 계획이었으나, 적자를 예상하고 운행을 거부해[* 333번 경로 인근에 차고지를 둔 마을버스 업체도 없다. 동구 쪽 업체인 [[삼안교통]]과 [[수정여객]]은 영세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영도구 소속 [[대일버스]], [[영도여객]]과 (다만 영도여객은 대일버스보다는 공차거리 면에서는 상황이 조금 나으나 빼올 차량이 없다.) 중앙공원에 차고지가 있는 중구 소속 [[중구버스]]는 [[공차회송]]하는 거리가 노선보다 더욱 길다.] 결국 준공영제의 적용을 받는 시내버스 노선으로 개통되었다.[* [[서울 버스 관악11|서울 버스 5538]]과 비슷한 경우이다. 다만 5538번은 조건부터 문제가 많았는데, 자세한 것은 해당 문서 참조.] 앞서 이야기했듯이 산복도로 르네상스 운동으로 인해 생겨난 노선이라, 당시 [[허남식]] 부산시장과 당시 부산광역시버스운송조합 이사장(현.[[영신여객(부산)|영신여객]] 대표이사) 주관으로 개통식 및 시승행사까지 했다. * 2014년 7월 26일 개편으로 주말에는 중앙공원.민주공원까지 연장운행하게 되었다. [[http://bus.busan.go.kr/busanBIMS/bus_info/adjust_view.asp?seq=30|부산시 노선조정안내]] * 2015년 개편으로 주말에만 다니던 중앙공원.민주공원을 평시에도 운행하게 되었다. * '''2017년 5월 13일에 [[폐선]]되었다. ''' 2012년 신설 이후 약 5년만에 폐선되는 셈이며, 일부 단독구간은 [[부산 버스 190|190번]]의 통폐합으로 대체되었다. === 폐선 이후 === * 이 노선이 폐선되면서, 단독구간의 대안으로 [[부산 버스 190|190번]]이 영도 방향에 한해 다니게 되었다. 이로 인해 [[부산 버스 190|190번]]은 동구 수정산복도로에서 부산역까지의 소요시간이 조금 늘어났지만, 이에 대한 불편도 크게 없는 것으로 파악되며, 심각한 적자노선의 단독구간 대안을 찾아 통폐합했다는 데에 큰 의미가 있다. * 333번이 폐선되고 난 이후, 인가 대수분 2대는 그대로 190번으로[* 신한여객 3620호, 유한여객 4328호.] 이동되었으나, 얼마 못 가서 모두 각 사의 예비차로 전환되었다. * 신한여객 차량(3620호)는 [[부산 버스 190|190번]]으로 잠깐 운행되다가 본사 예비차량이었던 3699호와 맞트레이드 되면서 그대로 예비차량으로 격하되었다. 2019년도에 우진산전 아폴로 1100 전기버스로 대차되면서 [[부산 버스 113|113번]]에서 운행중이다. 맞트레이드 상대였던 3699호도 아폴로로 대차되어 113번에 함께 다니고 있다. * 유한여객 차량(4328호)은 [[부산 버스 190|190번]]으로 잠깐 운행되다가 [[부산 버스 88-1|88-1번]]으로 이동되었다. 이후 예비였던 4344호가 대차되면서 이 차량이 예비로 격하되었다. 이후 2021년에 그린시티로 대차되었다. * 남부여객 차량(1233호)은 [[부산 버스 9|9번]]으로 이동되었다. 이후 2020년에 그린시티로 대차되었고, 2023년에 예비차량으로 격하되었다. * 333번의 경로였던 '부산역 - 중앙.민주공원' 구간은 2017년 11월 4일에 [[ 부산 버스 508|508]]번이 연장하여 담당하고 있다. == 특징 == * '''[[남부여객]], [[신한여객]], [[유한여객]] 노선들 중에서 유일하게 [[영도구]]로 진출입하지 않았던 노선이다.'''[* 다만 '부산역 - 차고지' 간 [[공차회송]] 시엔 영도구를 진출입하기는 했지만 정규 운행구간이 아니었으므로 제외한다.] * 부산광역시에서 [[부산 버스 90|90번]]과 함께 둘 뿐인 순환노선이었다. 과거에는 189번 시리즈도 순환노선이었으나, [[부산 도시철도 4호선]]이 개통되면서 공중분해되었다. ~~그리고 2023년 현재에는 다시 [[부산 버스 133|번호가 비슷한 노선]]이 순환형으로 변경되고 강서 개편으로 55-2번이 순환노선으로 운행중이다.~~ * 영도구를 거점으로 하는 시내버스 회사인 남부/신한/유한여객 3사에서 1대씩 차출해 운영했다. 과거에 정관신도시 쪽 노선으로 차량이 차출된 사례가 있기 때문에, 333번에 불만을 가진 주민들과 버스 동호인들도 있던 편. * 2015년 7월에 새로운 경쟁노선이자 산복도로 투어버스인 [[만디버스]][* 부산역 광장을 출발하여 영도산복도로, 송도, 감천, 아미동 까치고개, 중구산복도로, 동구산복도로를 경유하여 부산역까지 순환운행한다.]가 주말에 운행하게 되었고, 인기가 있는지 9월에는 운행횟수가 증회되었다. * 2015년 3차 시내버스 조정 이후 주말노선을 평일에도 운영한다.[* 부산역에서 중앙공원까지는 이 노선과 [[부산 버스 190|190번]]이 아니더라도 이미 [[부산 버스 43|43번]]이 잘 다녀주고 있다.(지나가는 구간은 다르지만) 소요시간도 43번쪽이 더 적게 든다.][* 12월 26일 초량에서 확인한 결과 부산역◀▶중앙.민주공원◀▶부산역으로 스티커를 바꿔놓았다.]동시에 부산시 최단거리 시내버스라는 타이틀도 다시 [[부산 버스 90|90번]]에게 반납하게 되고 3번째로 짧은 노선이 된다. 차라리 [[부산 버스 1004|1004번]] 대신 이 노선을 부산항국제여객터미널로 보내는 게 낫지 않냐는 의견도 있었다. [[부산 버스 1004|1004번]]은 애초부터 노선이 길고 요금이 비싼 급행좌석 노선이라서 '부산역 - 부산항' 수요가 그리 많지 않기 때문. 거기다 [[부산 버스 5-1|5-1번]]은 [[부산역]]을 못간다. * 세 회사에서 크롬미디를 하나씩 빼와서 운행했다. === 문제점 === * 부산시에서는 이 노선을 쉽사리 폐선하지 않으려 했는데, [[만디버스]]의 경우에는 관광용 특수노선이기 때문에 일반시민들이 출퇴근 시 이용하기엔 무리가 있고, 이 노선은 정책노선인데다가 단독구간이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폐선을 주장하니 단독구간이 교통 사각지대가 안되게 대안을 제시해달라 했다. 그러나 결국은 폐선되었다. * [[산복도로]] 르네상스 운동 정책으로 교통이 다소 불편한 지역인 [[수정동(부산)|수정동]] 산복도로를 경유하는 취지는 좋았으나 이 노선의 가장 큰 결점은 수정동 교통취약지점을 직접 훑지 않았다는 점이었다. 유일한 단독구간은 [[홍곡남로]] 부근이었으며 이외 구간은 다른 노선으로 대체가 가능했다. 수정동, 초량동에는 차이나타운 등 대중교통 정류장에서 한참 걸어서 가야되는 곳도 있으며 [[구봉로(부산)|구봉로]] 등 대중교통까지 가려면 한참 걸어가야 되고 경사가 있어 걸어가기 불편한 곳도 천지다. 아니면 [[증산로(부산)|증산로]][* 22번은 편도 운행 시 경유하며 부산역을 애매하게 비껴간다. 38번의 경우에는 왕복경유는 하나 중앙공원에서 끊겨버리고 부산역과 정 반대편에 있는 범내골 방면으로 향한다. 게다가 배차간격도 좋지 못하다.]를 경유하고 안창마을[* 안창마을에서 부산역까지 가려면 안창마을입구까지 내려가서 [[부산 버스 87]]을 이용해야하기에 확실히 번거로움이 있다.]에서 회차를 했더라면 공기수송을 하더라도 평판은 조금 더 좋았을 것이다. 그런데 산복도로 르네상스를 한다는 이유로 신설된 노선이 정작 교통취약지점을 제대로 훓지 않았고 중앙공원.민주공원에서 끊기고 [[부산역]]을 핵심 수요지로 잡는 바람에 결국 [[부산 버스 190|190번]]과 차별화에 실패하고 말았다. 만약 교통취약지점을 훓도록 마을버스 업체에 제안하고 적자보전금을 부산시에서 지원해주는 방향으로 갔더라면 이를 받아들였을 수도 있었다. * 그러나 부산시에서는 여전히 이 노선의 근본적인 문제점을 자각하지 못한 채, 주말 노선을 중앙공원.민주공원으로 연장시켰으며 후에 평일에도 똑같이 연장운행하게 된다. 관광객 대응을 위해 [[산복도로]] 경치를 제대로 볼 수 있도록 저속으로 운행했다.[* 때문에 다른 노선들과 운전자들에게 교통 흐름에 방해가 된다고 많이 까였으며 저속운행 관련해서 폐선 [[민원]]도 들어왔었다.] 부산역에서 중앙공원.민주공원까지라면 훨씬 좋은 배차간격으로 운행중인 [[부산 버스 43|43번]], [[부산 버스 190|190번]], [[부산 버스 508|508번]]을 이용하면 되고 배차간격이 30분 가량 되는 이 노선을 굳이 이용할 이유가 없다. * 예상했던대로 2016년 1월의 운송수입금 통계자료에서 확인된 바로는 대당 약 12만원 정도 수입을 낸 걸로 확인되었다. [[부산 버스 82|82번]]이 대당 약 50만원을 벌고 있는 반면에 이 노선은 대당 약 50만 원의 적자를 냈다.(...) 따라서 수요 순위도 역시 [[부산 버스 1005|1005번]] 다음가는 최하위권이었다. === 연간 일평균 승차량 === * 원 출처는 [[https://ptc.ts2020.kr/app/#/inside/use|한국교통안전공단 국가대중교통DB]]이며, 노선별 이용인원의 자료를 재구성하였다. * 소숫점 셋째 자리에서 반올림하였다. * 분리되어 집계된 평일노선과 주말노선은 합산하여 계산하였다. ||<:>연도||<:>일평균 승차량||<:>전년대비 변동폭|| ||2014년||<)>517.14||<)>|| ||2015년||<)>448.00||<)>{{{#blue ▽ 69.14}}}|| ||2016년||<)>546.57||<)>{{{#red △ 98.57}}}|| == 연계 철도역 == * [[부산 도시철도 1호선]]: [[부산역(도시철도)|부산역]] * 일반 철도역: [[부산역]](SRT, KTX, ITX-새마을, 무궁화호, 남도해양관광열차) == 관련 문서 == * [[부산광역시 시내버스/문제점/노선]] * [[부산 버스 190]] [[분류:부산광역시의 시내버스/폐선]][[분류:2012년 개업한 버스 노선]][[분류:2017년 폐지된 버스 노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