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부산광역시의 일반버스)] || [[파일:DSC03233.jpg|width=100%]] || [목차] == 노선 정보 == ||<-6>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width=20]] {{{#ffffff 부산광역시 일반시내버스 96번}}} || ||<-6><^|1> {{{#!wiki style="margin: 0 -11px -5px" {{{#!folding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부산96번_노선도.png|width=100%]]}}}}}} || ||<-2> 기점 || 부산광역시 사하구 다대동(다대포) ||<-2> 종점 || 부산광역시 서구 암남동(송도혜성아파트종점) || ||<|2> 종점[br]행 || 첫차 || 05:00 ||<|2> 기점[br]행 || 첫차 || 05:50 || || 막차 || 22:30 || 막차 || 23:20 || ||<-2> 평일배차 || 출퇴근 5분 / 평시 7분 ||<-2> 주말배차 || 토요일 7분 / 공휴일 9분 || ||<-2> 운수사명 || [[동진여객(부산)|동진여객]] ||<-2> 인가대수 || 25대[*공휴일 19대 운행] || ||<-2> 노선 ||<-4> [[다대포]] - [[다대포해수욕장]] - (→ [[다대포항역]].다대수협 →/← [[다대포항역]] ← 다대1동주민센터 ←) - [[낫개역]] - [[신장림역]] - [[장림역]] - 구평고개 - 감천삼거리 - [[괴정역]] - [[대티역]] - 대티고개 - [[삼육부산병원]] - (→ 부경고교 →/← 서부경찰서 ←) - [[동대신역]] - 보수초등학교 - [[서구청(부산)|서구청]] - 충무동교차로 - [[부산공동어시장|공동어시장]] - 암남동주민센터 - [[송도해수욕장(부산)|송도해수욕장]] - 송도혜성아파트종점 || == 개요 == 부산광역시의 시내버스 노선. 왕복 운행거리는 32.3km다. [[http://map.naver.com/?busId=71006|전체 정류장 목록]] == 역사 == * 노선 자체는 1973년 이전부터 운행했고 충무동에서 회차하였던 것으로 추측된다. 지금의 노선 형태는 [[1973년]] [[2월 22일]]부터 확립되었다. * 동진여객의 초창기였던 광진여객 시절부터 운행하였던 노선이다. * 1994년 1호선 서대신역 - 신평역 구간이 개통되면서 인가대수도 29대에서 33대로 증차되었다.[[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1&aid=0003868106|#]] 그리고 준공영제 실시 때 까지 인가대수가 37대까지 증차되기도 하였다. * 2014년 7월 26일 [[부산 버스 338|338번]]의 증차운행으로 인가대수 1대 감차되었다. * 2015년 8월 22일 338번의 태영버스 4대 철수로 인한 증차로 인가대수가 2대 감차되었다. * 2016년 3월 15일 [[부산 버스 96-1|96-1번]] 신설로 인가대수가 2대 감차되었다. * 2017년 4월 22일 [[부산 버스 3|3번]] 신설로 인가대수가 2대 감차되었다. * 2017년 11월 4일 3번, 338번의 증차운행으로 인가대수가 3대 감차되었다. * 2020년 1월 1일 3번의 증차운행으로 인가대수가 2대 감차되었다. * 2021년 1월 30일 송도 방면 노선에 서대신역.서대신교차로 정류장을 추가 정차하도록 변경되었다. == 특징 == * '''[[동진여객(부산)|동진여객]]의 간판/주력 노선이다.''' * '''평일 운행횟수에서 [[부산 버스 68|68번]]과 맞먹었을 정도로 상당히 빗자루 배차임에도 불구하고 항시 승객이 많았다.''' 출퇴근시에는 정말 초고밀도 [[가축수송(교통)|가축수송]]인데 통근하는 사람들과 학생들이 떡을 이루기 때문. [[부산 버스 2|2번]]과 [[부산 버스 11|11번]]이 지원사격을 해 주지만 이 두 노선은 [[신평역]]쪽으로 가고 애초에 이 노선만 유일하게 [[다대포]]에서 다대주공이랑 장림시장을 미경유하고 바로 구평을 통과하여 [[괴정역]]으로 가면서 도시철도역을 가장 빠르게 이어주기 때문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 [[부산 버스 2|2번]], [[부산 버스 11|11번]], [[부산 버스 338|338번]]을 타고 [[신평역]]으로 가서 도시철도를 타고 시내로 나가는것 보다 이 노선을 타고 괴정역으로 가서 도시철도를 타는게 훨씬 빠르기 때문이다. 오히려 다대포~괴정까지 노선이 100% 같은 [[부산 버스 사하15|사하15번 마을버스]]가 이 노선을 가장 서포트해주는 노선이다. --같은 회사네?-- 4대가 연달아 와도 모두 만차인 경우까지 종종 목격되는데 이는 다대포, 장림 교통이 워낙 개판이기 때문이다. * '''다대포 지역 뿐만 아니라 [[암남동]], [[송도]]아랫길 지역에서 유이하게 [[부민동]], [[동대신동]], [[서대신동]]을 연계해주기 때문에 서구지역 통학생들의 수요도 상당하다.'''[* 애초에 서구의 지형이 콩나물처럼 위아래로 길쭉한 모양이다. 서구를 거쳐가는 버스 노선은 많지만 서구를 전부 커버하는 노선이 이 노선과 [[부산 버스 16|16번]], [[부산 버스 161|161번]] 등 3개 뿐이다. 나머지 노선들은 [[남부민동]], [[암남동]], [[송도]] 지역을 쌩까거나 그 반대로 부민동, 대신동 지역을 미경유한다. 이는 [[서구(부산)|서구]] 문서를 봐도 자세히 알 수 있다.] 더불어 송도아랫길에서 [[서구(부산)|서구청]]을 경유하여 부평시장, 보수동 방면으로 우회하여 가는 유일한 노선[* 다른 노선들은 자갈치 안길을 따라 [[영도구]]나 [[남포동(부산)|남포동]] 이북 방면으로 간다.]이기 때문에 송도 구간만 하더라도 고정수요가 엄청나다. 한 가지 아쉬운 점은 서구 구간인 부산대학병원, 동아대부민캠퍼스를 미경유하고 중구 구간인 부평시장, 보수동 방면으로 운행된다는 점이다. --만약 동아대부민캠퍼스를 경유하게 되면 남부민동 암남동 거주 동아대 통학생들로 항시 가축수송 상태로 돌변하겠지..-- 다대선 개통 이후 노선의 전체 수요가 감소되자 부평시장 대신 부산대병원이랑 동아대부민캠퍼스를 경유해달라는 민원이 간간히 올라오는 중이다.[* 이 노선과 [[부산 버스 103|103번]], [[부산 버스 113|113번]]이 정차하는 동아대부민캠퍼스 정류장이 있지만 부민캠이랑 멀리 떨어져있어서 많이 걸어가야 한다.] * 더군다나 괴정사거리에서 유일하게 우회전하여 대티고개 방면으로 가는 노선이라([[부산 버스 6|6번]]과 [[부산 버스 사하15|사하15번]] 마을버스는 괴정시장에서 노선이 끊긴다.[* 사하14번이 그나마 더 이어주지만 [[까치고개로]]로 올라가버리는 데다 구평안동네에서 오기때문에 아무런 소용이 없다.]) 그에 따른 환승수요 또한 엄청나다. * 2016년 3월 15일에 96번의 [[지선]]격인 [[부산 버스 96-1|96-1번]]이 개통되었다. 이때 96-1번의 차량 조달분으로 96번 차량 2대가 감차되었다. [[다대포]]부터 서대신동까진 기존 96번과 같으나 96-1번은 몰운대 롯데캐슬, [[동아대학교|동아대부민캠퍼스]], [[토성역|부산대학병원]]을 경유하여 서구청에서 회차하였다가 2017년 4월 22일의 노선 개편으로 [[두송대선터널]], 안구평, 감천삼거리, [[고신의료원]], 송도아랫길로 노선이 변경되었다. * 2017년 4월 20일에 [[부산 도시철도 1호선]]이 [[다대포해수욕장역]]까지 연장된 이후로 수요가 감소하여 꾸준히 60만원을 넘겼던 1일 대당 운송수입금도 60만원 미만으로 떨어졌고 대당 운송수입금 순위도 40위권으로 내려갔다. 2016년 11월 기준으로 대당 1일 약 68만원을 벌었으나 2017년 5월 통계자료에 의하면 1일 대당 운송수입금이 약 57만원대까지 떨어진걸로 추정되며 대당 운송수입금 순위도 44위에 머물렀다. * [[동진여객(부산)|동진여객]] 노선들 중, [[하단동]]으로 운행하지 않는 유일한 노선이다. === 수요 === * 예전에는 ~~뻥 좀 보태서~~ '''96초마다 한 대씩 올 정도로 상당한 [[빗자루질(교통)|빗자루질]]을 일삼았으며 [[부산 버스 23|23번]]과 맞먹을 정도로 물량공세를 자랑했으나''' [[부산 버스 338|338번]]의 증차 문제 및 태영버스 철수로 인한 공백 문제 + [[부산 버스 96-1|96-1번]] 신설 + [[부산 도시철도 1호선|1호선]] 다대포 연장으로 대거 감차되는 바람에 예전만은 못하다. '''2014년 7월 25일'''까지 인가대수가 37대였던 이 노선은 '''2020년 1월 1일'''에 인가대수가 25대로 설정되면서 '''6년 동안 무려 12대의 차량이 이탈'''했다. 인가대수가 대폭 감차된 영향으로 배차간격이 2분 가량 늘어나게 되었다. 그래도 1호선의 연장 개통으로 인하여 수요도 덩달아 줄었으니 큰 불편은 없을 것으로 보인다.--저상차량까지 투입되었으니 웬만하면 만차로 인한 승차거부 현상은 더이상 없으며 오히려 출.퇴근 시간대에도 자리가 나는 모습이 보인다.-- === [[부산 도시철도 1호선|1호선 다대 연장선]] 개통 이후 === * [[부산 도시철도 1호선]]이 [[다대포해수욕장역]]까지 연장 개통되어도 이용객은 거의 줄어들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었으나, 막상 개통되었더니''' 예상과는 다르게 다대동, 장림2동 수요가 급감하였다.''' 이유는 크게 두 가지로 들 수 있는데... * 첫째로 기존에는 괴정역에서 96번으로 환승 후 [[장림동|장림2동]], [[다대동|다대포]]로 가는 경우가 대다수였는데 [[괴정동(부산)|괴정사거리]] 및 [[구평동(부산)|구평고개]] 일대의 [[교통 체증]]과 좋지 못한 도로사정, [[장림동|장림2동]] 신호대기 등의 이유로 [[환승저항]]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노선도상의 선형으로는 96번이 더 빨라보이지만 실제로는 교통체증, 신호대기를 받지 않는 도시철도 1호선이 비교불가 수준으로 훨씬 빠르다. '''실제로도 [[다대포항역]]에서 [[괴정역]]까지 [[부산 도시철도 1호선]]을 이용하면 19분에 불과한 반면 96번을 이용하면 35~40분이 소요된다.[* 아직 장평지하차도가 한창 공사중이라 이렇게 오래걸리는 것이지 장평지하차도가 개통된다면 30분 이내로 이동 가능할것이다. 그리고 현재는 장평지하차도가 완공된 상태다.]''' 참고로 35~40분이면 도시철도 1호선으로 남포역이나 부산역까지 가는데 걸리는 시간이다. 그래서 다대동 주민들이 96번을 이용할 이유가 없어진 것이다. * 두 번째 이유는 '''괴정동 상권 자체의 쇠락'''이다. 1호선 연장개통 이후 다대동, 장림동 주민들이 뉴코아와 괴정시장을 필두로 한 괴정 상권을 찾지 않는 경우가 크게 늘어났기 때문이다. [[http://kookje.co.kr/news2011/asp/newsbody.asp?code=0300&key=20180331.22001013301|다대선 뚫리자…괴정역 상권 ‘패싱’]] '''[[서면]], [[남포동(부산)|남포동]]'''을 환승없이 한 큐에 꽂아주는 [[부산 도시철도 1호선]] 개통 이후 도심 접근성이 획기적으로 개선되면서 다대동 인구가 밀집되어있고 대부분의 버스가 정차하는 [[다대포항역]] 기준으로 [[자갈치역]] 30분, [[서면역]] 47분이라는 경이적인 소요시간을 보여주게 되었다. 이렇게 초거대상권인 [[남포동(부산)|남포동]]/[[광복동]]이나 [[서면]]으로 교통체증 없이 더 빠르게 접근할 수 있게 되면서 어중간한 괴정 상권을 그냥 지나쳐가는 경우가 많이 발생하게 되었다. 뿐만 아니라 [[하단역]]이 현재 상권이 크게 발달했는데, 종합쇼핑몰인 아트몰링이 들어서고 CGV 하단점까지 입점하게 되면서 도시철도로 14분 걸리는 하단을 놔두고 굳이 버스로 30~40분씩이나 걸리는 괴정 상권을 이용할 이유가 없어진 점도 크게 작용했다. * [[부산 도시철도 1호선|1호선 다대선 연장]]전까지만 해도 꾸준히 흑자를 봤던 노선이다. 2017년 한해 평균 통계에 의하면 60만원대에 운송수입금 순위도 26위로 확인되었다. 하지만 정작 다대선 연장후인 2017년 5월 통계에 의하면 1일 대당 운송수입금이 약 57만원대까지 떨어진걸로 추정된다. 2016년 11월 운송수입금 기준으로 대당 약 11만원 가량 떨어진 셈이다. 그리고 한 언론사 뉴스에 따르면 다대선 연장후 승객 수가 13% 감소하였다고 한다. [[http://kookje.co.kr/news2011/asp/newsbody.asp?code=0300&key=20180331.22001013301|#]] 그 이후부터 흑자를 못 보고 있다. 여담으로 유사한 선례로 도시철도 3, 4호선의 개통 이후로 기존에 흑자노선에서 35~40위권에 안착한 [[부산 버스 148|148번]]과 유사한 모습이다. * 2016년 기준 일 평균 이용객수가 21,987명이었으나 2017년 기준 17,479명으로 이용객 수가 4,500명 이상 감소하였다. 2019년 8월 기준 15,092명으로 7,000명 가까이 감소하였다. 11월 기준으로는 13,841명으로 더욱더 이용객수가 큰 폭으로 하락하였다. * 다만 96번 노선 자체의 인지도는 높기 때문에 사하구 구평동과 대티고개, 서구 암남동과 같은 1호선 비수혜 및 비역세권 지역에서는 예전과 같은 수요를 보여주고 있으며, 2022년 기준으로 부산 시내버스 전체 승객수로 23위를 기록할 정도로 건재함을 증명해주고 있다. 더군다나 96번은 [[사하구]]뿐만 아니라 '''서구 주민들에게도 매우 중요한 노선이다.''' 이는 2번, 11번도 마찬가지다.[* 참고로 서구에서 다대포까지 갈 경우 도시철도를 타도 되나 선형이 좋지 않아 빙빙 돌아가기 때문에 바로 이어주는 이 노선이 여전히 수요가 많으며 도시철도를 이용하면 교통카드 기준 2구간 요금으로 300원이 더 비싸나 이 노선은 1200원으로 갈 수 있다.] * 일각에서는 다대동, 장림2동 수요가 빠져나간 부분을 [[다대 롯데캐슬 몰운대]]로 연장하여 채우자는 의미로 [[다대 롯데캐슬 몰운대]] 까지 노선연장을 요구하는 목소리도 제법 나오고 있다. 다대선이 개통되어 더이상 예전만큼 승객이 꽉꽉 들어차는 일은 더이상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도시철도 1호선으로 이탈되어 빠져나간 다대포 수요를 몰운대 롯데캐슬 수요로 대신 채우기 위해서 이 노선의 연장을 요구하고 있다고 한다. 하지만 최근 감차가 이루어진 상황이고 배차간격이 늘어나는 문제가 생길 수 있어서 반대하는 의견도 있다. === 연간 일평균 승차량 === * 원 출처는 [[https://www.kotsa.or.kr/ptc/inside_use.do|한국교통안전공단 국가대중교통DB]]이며 노선별 이용인원의 자료를 재구성했다. * 소수점 셋째 자리에서 반올림했다. * 카드 승차량만 집계된다. (현금 승차량 제외) || '''{{{#fff32b 연도}}}''' || '''{{{#fff32b 일평균 승차량}}}''' || '''{{{#fff32b 전년대비 변동폭}}}''' || ||2014년|| 24060.14|| || ||2015년|| 23098.29|| {{{#blue ▽ 961.85}}}|| ||2016년|| 21987.29|| {{{#blue ▽ 1111.00}}}|| ||2017년|| 17479.14|| {{{#blue '''▽ 4508.15'''}}}|| ||2018년|| 15326.00|| {{{#blue ▽ 2153.14}}}|| ||2019년|| 15207.71|| {{{#blue ▽ 118.29}}}|| === 노선 === ||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width=20]] {{{#ffffff 부산광역시 일반시내버스 96번}}} || ||<^|1>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정류장 목록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6> '''송도혜성아파트(종점)[br]02161''' || || 송도공영주차장[br]02141 || || || || || 송도공영주차장[br]02140 || || 송도해수욕장[br]02138 || {{{#ffffff ↓}}} || || || {{{#ffffff ↑}}} || 송도해수욕장[br]02139 || || 송도초등학교[br]02137 || || || || || 송도초등학교[br]02136 || || 송도교차로[br]02128 || {{{#ffffff ↓}}} || || || {{{#ffffff ↑}}} || - || || 암남동주민센터[br]02127 || || || || || 암남동주민센터[br]02126 || || 대림아파트[br]02118 || {{{#ffffff ↓}}} || || || {{{#ffffff ↑}}} || 대림아파트[br]02119 || || 등대시장[br]02117 || || || || || 등대시장[br]02116 || || 대진아파트[br]02060 || {{{#ffffff ↓}}} || || || {{{#ffffff ↑}}} || 대진아파트[br]02055 || || 공동어시장[br]02106 || || || || || 공동어시장[br]02107 || || 충무쇼핑 충무동새벽시장[br]02105 || {{{#ffffff ↓}}} || || || {{{#ffffff ↑}}} || 충무쇼핑 충무동새벽시장[br]02104 || || 자갈치역,충무동해안시장[br]02089 || || || || || 충무동교차로[br]02090 || || 서구청(충무동)[br]01080 || {{{#ffffff ↓}}} || || || {{{#ffffff ↑}}} || 서구청[br]02085 || || 부평시장[br]01083 || || || || || 부평시장[br]01084 || || 보수초등학교[br]01089 || {{{#ffffff ↓}}} || || || {{{#ffffff ↑}}} || 보수초등학교[br]01088 || || 동아대부민캠퍼스[br]02181 || || || || || 동아대부민캠퍼스[br]02180 || || 서부교회[br]02053 || {{{#ffffff ↓}}} || || || {{{#ffffff ↑}}} || 서부교회[br]02052 || || 서대시장(동대신역)[br]02048 || || || || || 동대신역[br]02046 || || 서대신역.서부경찰서[br]02190 || {{{#ffffff ↓}}} || || || {{{#ffffff ↑}}} || 부경고등학교[br]02042 || || - || || || || || 서대신역.서대신교차로[br]02041 || || 삼육부산병원[br]02034 || || || || || 삼육부산병원(서대신역)[br]02035 || || - || {{{#ffffff ↓}}} || || || {{{#ffffff ↑}}} || 삼육부산병원후문 || || 광민약국(서대신동)[br]02039 || || || || || 광민약국(서대신동)[br]02038 || || 민들레맨션[br]02154 || {{{#ffffff ↓}}} || || || {{{#ffffff ↑}}} || 민들레맨션[br]02155 || || 대티고개[br]10040 || || || || || 대티고개[br]10039 || || 괴정2치안센터[br]10042 || || || || || 괴정2치안센터[br]10041 || || 대티역[br]10044 || {{{#ffffff ↓}}} || || || {{{#ffffff ↑}}} || 대티역[br]10043 || || 괴정초등학교[br]10046 || || || || || 괴정초등학교[br]10033 || || 괴정시장[br]10047 || {{{#ffffff ↓}}} || || || {{{#ffffff ↑}}} || 괴정역 괴정시장[br]10032 || || 괴정사거리 국민은행[br]10029 || || || || || 뉴코아아울렛[br]10028 || || 삼풍아파트[br]10027 || {{{#ffffff ↓}}} || || || {{{#ffffff ↑}}} || 감천삼거리[br]10025 || || 감천삼거리[br]10023 || || || || || 유림아파트[br]10212 || || 구평고개[br]10014 || {{{#ffffff ↓}}} || || || {{{#ffffff ↑}}} || 구평고개[br]10021 || || 구평화신아파트[br]10015 || || || || || 구평화신아파트[br]10020 || || 구평초등학교[br]10016 || {{{#ffffff ↓}}} || || || {{{#ffffff ↑}}} || 구평초등학교[br]10019 || || YK스틸[br]10017 || || || || || YK스틸[br]10018 || || 대동중고등학교[br]10021 || {{{#ffffff ↓}}} || || || {{{#ffffff ↑}}} || 대동중고등학교[br]10230 || || 제일제당[br]10139 || || || || || 제일제당[br]10140 || || 장림역[br]10162 || {{{#ffffff ↓}}} || || || {{{#ffffff ↑}}} || 장림역[br]10163 || || 영남중학교[br]10165 || || || || || 영남중학교[br]10164 || || 신장림역[br]10166 || {{{#ffffff ↓}}} || || || {{{#ffffff ↑}}} || 신장림역[br]10167 || || 고려냉장[br]10168 || || || || || 고려냉장[br]10169 || || 다대롯데캐슬블루[br]10172 || {{{#ffffff ↓}}} || || || {{{#ffffff ↑}}} || 다대롯데캐슬블루[br]10171 || || 낫개역[br]10173 || || || || || 낫개역[br]10174 || || 다대현대아파트[br]10175 || {{{#ffffff ↓}}} || || || {{{#ffffff ↑}}} || 다대현대아파트[br]10176 || || 다대푸르지오아파트[br]10177 || || || || || 다대푸르지오아파트[br]10178 || || 다대1동주민센터[br]10180 || {{{#ffffff ↓}}} || || || {{{#ffffff ↑}}} || 다대큰샘[br]10179 || || 다대포항역[br]10183 || || || || || 다대새마을금고[br]10182 || || 다대농협 || {{{#ffffff ↓}}} || || || {{{#ffffff ↑}}} || 다대수협[br]10185 || || 다대우신아파트[br]10188 || || || || || 다대회센터[br]10186 || || 다대자유아파트[br]10189 || {{{#ffffff ↓}}} || || || {{{#ffffff ↑}}} || 다대자유아파트[br]10190 || || 다대포해수욕장[br]10193 || || || || || 다대포해수욕장[br]10192 || || 다대포해수욕장역[br]10199 || {{{#ffffff ↓}}} || || || {{{#ffffff ↑}}} || 다대포해수욕장역[br]10200 || ||<-6> '''다대포''' || ||<-6> || }}}}}}}}} || ||<^|1>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경유 도로 목록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2> [[암남공원로|{{{#353535,#eee '''암남공원로'''}}}]] || || {{{-2 송도해수욕장 ▼}}}||{{{-2 ▲ 송도공영주차장}}} || ||<-2> [[충무대로|{{{#353535,#eee '''충무대로'''}}}]] || || {{{-2 ▼}}}||{{{-2 ▲ 충무동교차로}}} || ||<-2> [[구덕로|{{{#353535,#eee '''구덕로'''}}}]] || || {{{-2 서구청(충무동) ▼}}}||{{{-2 ▲}}} || ||<-2> [[보수대로|{{{#353535,#eee '''보수대로'''}}}]] || || {{{-2 부평시장 ▼}}}||{{{-2 ▲ 서구청}}} || ||<-2> [[흑교로|{{{#353535,#eee '''흑교로'''}}}]] || || {{{-2 서부교회 ▼}}}||{{{-2 ▲ 동아대부민캠퍼스}}} || ||<-2> [[구덕로|{{{#353535,#eee '''구덕로'''}}}]] || || {{{-2 서대시장(동대신역) ▼}}}||{{{-2 ▲ 동대신역}}} || || [[대영로|{{{#353535,#eee '''대영로'''}}}]]||[[망양로(부산)|{{{#353535,#eee '''망양로'''}}}]] || || {{{-2 삼육부산병원 ▼}}}||{{{-2 ▲ 서대신역.서대신교차로}}} || ||<-2> [[대티로|{{{#353535,#eee '''대티로'''}}}]] || || {{{-2 괴정초등학교 ▼}}}||{{{-2 ▲ 대티역}}} || ||<-2> [[낙동대로(부산)|{{{#353535,#eee '''낙동대로'''}}}]] || || {{{-2 괴정사거리 ▼}}}||{{{-2 ▲ 괴정시장}}} || ||<-2> [[사하로|{{{#353535,#eee '''사하로'''}}}]] || || {{{-2 YK스틸 ▼}}}||{{{-2 ▲ 구평초등학교}}} || ||<-2> [[을숙도대로|{{{#353535,#eee '''을숙도대로'''}}}]] || || {{{-2 제일제당 ▼}}}||{{{-2 ▲ 대동중고등학교}}} || ||<-2> [[다대로|{{{#353535,#eee '''다대로'''}}}]] || ||<|3> [[다대로|{{{#353535,#eee '''다대로'''}}}]]||{{{-2 ▲ 다대푸르지오아파트}}} || ||[[다대동로|{{{#353535,#eee '''다대동로'''}}}]] || ||{{{-2 ▲ 다대회센터}}} || ||<-2> [[다대로|{{{#353535,#eee '''다대로'''}}}]] || }}}}}}}}} || || || == 연계 철도역 == * [[파일:Busan1.svg|width=17]] [[부산 도시철도 1호선]]: [[다대포해수욕장역]], [[다대포항역]], [[낫개역]], [[신장림역]]. [[장림역]], [[괴정역]], [[대티역]], [[서대신역]], [[동대신역]], [[자갈치역]] == 둘러보기 == [include(틀:다대포 버스)] [include(틀:동아대학교 경유버스)] [[분류:부산광역시의 시내버스]][[분류:부산광역시의 시내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