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top1=부산 아이파크)] [include(틀:부산 아이파크 관련 문서)] [include(틀:대우그룹)] [목차] [clearfix] == 개요 == [[부산 아이파크]]는 1979년 11월 22일 창단한 실업축구단인 새한자동차 축구단을 모태로 하여 대우 로얄즈로 1983년 [[K리그|슈퍼리그]] 원년에 참가하였다. 원년 시즌이 끝난 후 1983년 12월 실업축구단에서 프로축구단으로 전환했고, 소속법인도 (주)대우로 넘어갔다. 1996년부터 부산 대우 로얄즈를 거쳐 2000년 현대산업개발에 인수되면서 대우 시절이 막을 내린다. 해당 문서에서는 부산 아이파크 이전인 새한자동차와 대우 시절에 대해 중점적으로 다룬다. == 시기별 == === [[새한자동차]] 축구단 === [[파일:새한자동차 엠블럼.png|width=200]] || 새한자동차 축구단 || || 1980 시즌 || 부산 아이파크의 뿌리는 [[새한자동차]] 축구단에서 찾을 수 있다. 새한자동차는 [[대우자동차]][* 1983년도에 사명을 대우자동차로 변경했다.]로 1979년 11월 22일 해체된 [[한국산업은행|산업은행]] 축구단 선수단을 주축으로 인천의 부평공장에서 창단식을 거행했다.[* 새한자동차는 1978년경 산업은행이 지분을 지녔다가 이를 대우그룹에게 넘겼다. 축구단도 그래서인지 대우로 넘어갔다.] 특이하게 당시 단장은 새한자동차의 신임 부사장이었던 리처드 존슨이 맡았고 아래 사진에 나온 외국인이다. 1980 시즌 새한자동차 축구단으로 실업 축구 대회에 참가했으며 그 해 다시 구단 명칭을 대우 축구단으로 개칭한다. [[파일:W0vXD9q.jpg]] [[파일:MWiyff3.jpg]] ==== 당시 주요 선수 ==== * [[이장수]] * [[최경식(1957)|최경식]] === 대우 축구단 === [[파일:external/goldenears.net/0e59bd3eaf2d8f59ea4d3357b91a3214.png]] ||<-10> 대우 축구단 || || 1980 시즌 || 1981 시즌 || 1982 시즌 || 1980년 10월 실업 축구 시즌 도중 대우 축구단으로 구단 명칭을 변경했으며 1982년까지 대우 축구단으로 활동한다. ==== 당시 주요 선수 ==== * [[김민혜]] * [[조광래]] * [[정성교]] * [[유태목]] * [[이태호(축구)|이태호]] * [[정해원]] * [[최경식(1957)|최경식]][* 1981시즌 전기리그 최우수선수] === 대우 로얄즈 === [include(틀:K리그 원년 구단)] [[파일:대우 로얄즈 로고.svg|width=300]] --[[KLM 네덜란드 항공]] 로고와 닮긴 했다.-- ||
<:><-13> 대우 로얄즈 축구단 || ||<:> 1983 시즌 ||<:> 1984 시즌 ||<:> 1985 시즌 ||<:> 1986 시즌 ||<:> 1987 시즌 ||<:> 1988 시즌 ||<:> 1989 시즌 ||<:> 1990 시즌 ||<:> 1991 시즌 ||<:> 1992 시즌 ||<:> 1993 시즌 ||<:> 1994 시즌 ||<:> 1995 시즌 || 1983년 한국 프로축구 리그인 [[K리그|슈퍼리그]]가 창설되었고 실업축구단 자격으로 리그에 참가하게 되었다. 마스코트는 왕관으로 정하였고 구단 명칭을 대우 로얄즈로 확정하였다. 1983년 당시 다른 구단들은 돌핀스, 코끼리, 독수리, 황소, 호랑이 등을 마스코트로 정하며 동물의 왕국을 재현할 때 혼자 생소한 엠블럼에 로얄즈라는 명칭을 사용하여 세련된 이미지를 구축하였다. 축구단을 Football Club이 아닌 Football Team으로 넣은 것이 특이한 경우. 참고로 부산 아이파크는 왜 브랜드명이냐며 대우 로얄즈와 비교하는 경우도 있는데, [[대우 로얄즈]]라는 명칭도 [[새한자동차]]-[[대우자동차]]에서 생산한 브랜드인 [[대우 로얄]]에서 따온 것이다. 말 그대로 팀명 = 자사 자동차 브랜드였던 셈. 엠블럼에 있는 왕관 모양은 로얄과 르망 차량에 들어간 로고에서도 볼 수 있다. [[대우자동차]]의 부산 공장이 있고 대한민국의 제2위의 대도시인 부산을 주연고지로 하는 부산/경남을 연고지로 정하였고 부산 [[구덕운동장]]을 홈경기장으로 사용하였다. 잘 알려지지 않았지만 1988 시즌에 4월 30일[[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88050200329211003&editNo=3&printCount=1&publishDate=1988-05-02&officeId=00032&pageNo=11&printNo=13105&publishType=00020|관련기사]] , 6월 5일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88060600099216009&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88-06-06&officeId=00009&pageNo=16&printNo=6847&publishType=00020|관련기사]] 이렇게 2 경기를 [[사직 야구장]]에서 개최한적이 있었다. ==== 당시 주요 선수 ==== * [[김주성(축구)|김주성]] * [[조광래]] * [[박창선]] * [[정용환]] * [[변병주]] * [[김성남]] * [[장외룡]] * [[김풍주]] * [[강신우]] * [[이재희(축구)|이재희]] * [[박종원(1955)|박종원]] * [[조덕제(축구)|조덕제]] === 부산 대우 로얄즈 === [[파일:대우 로얄즈 로고.svg|width=300]] ||
<:><-4>부산 대우 로얄즈 || ||<:> 1996 시즌 ||<:> 1997 시즌 ||<:> 1998 시즌 ||<:> 1999 시즌 || [youtube(USHNzxeG1Tw)] 부산 대우 로얄즈 시절은 1997시즌 3관왕 ([[K리그]] 우승, [[K리그 리그컵|리그컵]] 2개 대회 우승), 1998시즌 [[K리그 리그컵|리그컵]] 준우승, 1999시즌 [[K리그]] 준우승 그리고 1997년 평균관중 2위 (11,717명), 1998년 평균관중 1위 (26,995명), 1999년 평균관중 2위 (19,798명) 이렇게 성적과 인기 모두 최고의 리즈 시절이었다.[* 이와 별개로 팀 내부는 어수선했는데, 시즌을 앞두고 선임된 이차만 감독이 6월에 경질됐고 이후 스카우터였던 신윤기가 감독 대행에 올랐지만 좋지 않은 성과로 인해 엄청난 스트레스를 받았고 결국, 9월 중순에 백혈병과 그로 인한 뇌출혈로 숨을 거뒀다. 남은 시즌은 [[장외룡]]이 감독 대행으로 마무리했다.] 이 시기의 부산 대우 로얄즈는 축구 게임 [[FIFA 2000]]에 클래식팀으로 K리그는 물론 아시아 클럽 최초로 수록되기도 했다. 세기말인 99년에 챔피언결정전 사태로 인하여 K리그 최초로 비우승팀에서 MVP를 배출해 냈다. [[파일:FIcP9XQ.jpg]] 1999 시즌 스쿼드 [[파일:6R1ARqW.jpg]] 부산 대우 로얄즈 서포터스 로얄 패밀리. ==== 당시 주요 선수 ==== * [[안정환]] - 이런 계기로 인해 한때 [[대우 라노스]] 광고 모델로 발탁된 적이 있다. * [[마니치]] * [[정재권]] * [[박노봉]] * [[박현용(축구)|박현용]] * [[신범철(축구)|신범철]] * [[이민성]] * [[노경환]] * [[심봉섭(축구)|심봉섭]] * [[우성용]] * [[뚜레]] * [[우르모브]] LB * [[이장관]] RB * [[박민서]] LB * [[김현수(1973년 3월)|김현수]] CB * [[류웅렬]] CB * [[김재영]] CM * [[이용하]] CM * [[전우근]] AM * [[이기부]] FW * [[우성문]] RB * [[권해창]] CM * [[류병훈]] CB * [[김주성(축구)|김주성]] CB == 여담 == [[대우그룹]]이 축구단을 운영하던 시절 구단 운영 측면에서 다른 팀과 차별화된 부분이 많았다. 외국인 선수 선발에서도 남미 선수보다 동유럽권 선수를 뽑았고 당시로서는 매우 파격적으로 외국인 감독을 선임하는 등 투자에 적극적으로 나서면서 그 시절에는 상당히 앞선 수준의 구단 운영 사례를 보여줬다. 이는 당시 대우그룹의 회장이던 [[김우중]]이 열렬한 [[축빠]]였기에 가능했다. 김우중은 [[포항 스틸러스/역사#s-4.2|포항제철 아톰즈]] 시절 유명 선수를 직접 스카웃하고 [[포항 스틸야드]] 건축 당시 자신이 직접 그라운드의 잡초를 뽑았던 [[박태준(1927)|박태준]] 회장과 더불어 축구사랑이 유별났던 인물 중 하나다. 동유럽권 선수를 뽑은 이유는 당시 대우그룹의 해외 사업영역 확장정책과도 맥을 같이하는데, 서쪽으로 계속 가면서 동유럽까지 이르는 사업전략을 취했기 때문이다. 비슷한 맥락에서 [[레기아 바르샤바]]도 잠깐 소유했었다. 훈련장 및 숙소는 창단 초만 해도 경기 용인시 처인구 백암면의 대우그룹 연수원[* 현재는 골프장으로 바뀌었다.]에 있었지만, 어느 때부터인가 [[구서 선경아파트]]로 숙소를 옮긴 뒤 인근 [[부산외국어대학교]]에서 훈련했다고 한다.[* 부산 구서동 출신인 [[사이먼 도미닉]]의 증언에 따르면 월요일 저녁마다 안정환을 구서 선경아파트 근처 오락실에서 볼 수 있었다고 한다(...)] == 유산 == 2011년 10월 2일 부산 아이파크는 [[구덕운동장]]에서 경남FC와의 경기를 개최하며 과거 대우 로얄즈 시절 추억을 되살리기 위한 마케팅을 시도했지만 기대에 못 미쳤으며 2015년 7월 12일 수원 삼성과의 경기에서도 비슷한 컨셉의 마케팅을 했지만 별다른 소득은 없었다. 소득이 없는 게 당연하다. 안정환 같은 스타 선수들이 떠난 건 둘째 치더라도 현대산업개발로 팀이 넘어간 후에 기업 홍보를 위해 팀 유니폼 색깔이나 엠블럼 등을 한번에 싹 다 바꿔버렸으니. 거기다 접근성이 놓은 구덕 대신에 아시아드 경기장을 홈으로 쓰면서 팬들이 대거 이탈했다. 2011년에 와서 뒷북을 쳤지만 방치되다 시피 버려졌던 로얄즈 시절 올드 팬들은 호응해 줄 만큼 애정이 남아 있지 않았다. [[파일:gqLzAM1.jpg]] == 관련 문서 == * [[대우그룹]] == 둘러보기 == [include(틀:K리그 원년 구단)] [[분류:부산 아이파크]][[분류:대우그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