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부산광역시의 공원|{{{#000,#fff 부산광역시의 공원}}}]]'''[br]{{{#!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 {{{#!wiki style="margin: -5px 0" [[파일:ci_img_1111111.png|height=65]]}}}||{{{#!wiki style="margin: -5px 0" '''{{{+2 부산어린이창의교육관}}}'''[br]釜山어린이創意敎育館[br]Busan Children's Creativity[br]Learning Museum}}} ||}}}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다국어 표기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중국어 || 釜山儿童创意教育馆 || || 일본어 || 釜山子供創意教育館 ||}}}}}}}}} || ||<-2>{{{#!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부산어린이창의교육관, 너비=100%, 높이=200)]}}}|| || '''주소'''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성지곡로]] 33번길 29-28 || || '''개원일''' ||[[1974년]] 9월 || || '''면적''' ||34,554㎡ || || '''개방 기간''' ||매주 화요일~일요일 || || '''개방 시간''' ||평일/주말 09:30 ~ 16:30 || || '''이용료''' ||무료 || || '''소유자''' ||[[부산광역시교육청]] || || '''관리''' ||[[부산광역시교육청]] || || '''전화번호''' ||(051)810-8800 || || '''웹 사이트''' ||[[https://home.pen.go.kr/childpia/main.do|[[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0]]]] || [[파일:external/www.doopedia.co.kr/130628018433649_thumb_400.jpg]] [목차] [clearfix] == 개요 == [[부산어린이대공원]] 안에 위치한 어린이들을 위한 회관. 1974년 9월에 개장했다. 부산광역시에 위치한 [[유치원]], [[초등학교]]에서 견학을 목적으로 많이 사용되며, 특이하게 [[부산광역시교육청]]에서 관리한다.[* 어린이대공원은 부산시설공단에서 관리한다.] 모든 시설을 무료로 이용가능하며, 의외로 찾는 사람이 많다. 대공원에서 잘 굴러가는 몇 안되는 시설 중 하나. 개장이래 46년동안 '''어린이회관'''으로 불렸는데, 2020년 10월 30일 [[리모델링]]후 재개장하면서 지금의 이름으로 바뀌었다. [[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A2020102813470003870|#]] == 상세 == 건물은 지하1층 지상10층 규모로 꽤 큰 편이다.내부에는 창의과학실, 환경과학실, 해양 과학실, 우주과학실, 과학체험실, 글로벌문화체험실의 6개 전시실과, 시청각실이 있다. 각 시설마다 부채꼴 모양으로 넓게 배치되어 있는데 건물 자체가 원형으로 설계되었기 때문. 건물은 [[네잎클로버]]를 상징으로 만들었으며, 로고 역시 이를 형성화한다. 전망대를 올라갈땐 엘리베이터를 이용하도록 하자. 건물구조상 엘리베이터를 내려서 한 층 정도를 걸어올라가야하니 참고바람. 전망대에는 무료로 이용가능한 망원경이 설치되어 있으며, 바닥에 [[부산광역시]] 위성사진을 깔아놓았다. 구내식당은 없기때문에, 도시락을 싸가거나 1층에 있는 매점에서 라면과 같은 간단한 음식을 사먹어야한다. 걸어서 올라가기 힘들다. 어린이회관이 산기슭 중턱에 자리잡은 터라 경사도가 꽤 있다. 그런 길이 구불구불나있어서 올라가다보면 어린이는 둘째치고 어른들도 지친다. ~~살려줘~~ 홈페이지를 따로 운영하고 있다. ([[https://home.pen.go.kr/childpia/main.do]]) 다양한 프로그램이 진행되고 있다. 원래는 운영시간 내 자유관람제였으나 2023년 4월 이후로는 웹사이트에서 방문예약을 해야만 입장할 수 있다. == 기타 == 주말이나, 어린이날 등 가족단위 관람객이 많이 찾는 날은 한마디로 '''[[헬게이트]]'''.[* 수많은 [[초딩]]들이 뛰어다니는 모습을 상상해보자.] 평일에는 부산광역시의 '''[[초등학교]]'''에서 단체관람을 하기도 한다. 초읍동에 사는 주민이라면 좋던 싫던 자주 보게되는 건물이기도 하다. 사실상 초읍동의 [[랜드마크]]인 셈. 어린이회관으로 올라가는 입구 앞에는 [[육영수]]의 친필이 적혀있는 비석이 세워져 있다. 내부에 육영수 기념관도 있다. '''[[신세계(영화)]]'''의 초반 장례식 장면에서 맞은편 산자락에 건물이 살짝 보인다.[* 해당 장면을 공원 맞은편의 [[삼광사]]에서 촬영했었다.] 이곳에 부산광역시초등영재교육원이 있다. 학생들은 초등학교 4학년부터 초등학교 6학년까지로 구성되어 있으며 2주에 한 번 토요일마다 수업을 듣기 위해 이 산을 오르는데, 힘들어하는 학생들이 대부분이다. 설상가상으로 영재원 학생은 차량을 이용해서 올라오지 못하게 하기 때문에 영재원 교실은 매주 토요일 아침마다 학생들의 거친 숨소리로 가득찬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title=부산어린이대공원,version=33)] [[분류:부산광역시의 공원]][[분류:부산진구]][[분류:부산광역시교육청]][[분류:1974년 설립]][[분류:나무위키 공원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