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대한민국의 철도차량]][[분류:부산 도시철도 1호선]] [include(틀:프로젝트 문서, 프로젝트=나무위키 철도차량 프로젝트)] [include(틀:부산 도시철도 전동차)] ||'''~~설마~~ [[부산 도시철도 1호선]] 3세대 전동차에 CEM공법이 추가되지 않는다면, 이 문서를 삭제하신 후, 2세대 전동차에 같이 작성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목차] == 사양 == || '''열차 형식''' ||도시철도 입선용 통근형 [[전동차]]|| || '''구동 방식''' ||전기 [[동력분산식]] 열차 || || '''급전 방식''' ||직류 1500V|| || '''영업 속도''' ||75km/h|| || '''최고 속도''' ||80km/h|| || '''기동 가속도''' ||'''3.6'''km/h/s|| || '''전장''' ||17,500mm|| || '''전폭''' ||2,750mm|| || '''전고''' ||4,000mm|| || '''상용제동감속도''' ||'''3.5'''km/h/s|| || '''비상제동감속도''' ||'''4.5'''km/h/s|| || '''신호 방식''' ||Kyosan Signal ATC/ATO|| || '''제작 회사''' ||[[현대로템]]제작 || || '''도입 연도''' ||2019년 ~|| || '''제어 방식''' ||||PMSM 대응형 도시바제 VVVF-IGBT|| || '''동력 장치''' ||도시바제 완전밀폐형 영구자석 동기전동기|| || '''제동 방식''' ||유진기공 회생제동 병용 전기지령식 공기제동|| || '''편성 대수''' ||8량 1편성|| || '''전동차 비''' ||4M 4T[* 가/감속도는 배차시간 때문에 1,2세대와 같다.~~ 부산의 게이큐 ~~] || || '''대차''' ||DT-50|| == 설명 == [[부산 도시철도 1호선]] 연장개통과 노후차량 대체를 위해 도입될 전동차다. [[http://news20.busan.com/controller/newsController.jsp?newsId=20151217000115|마지막으로 남은 노후 전동차(146량)도 2019년부터 3단계에 걸쳐 교체할 계획이라고 했다.]] 하지만, [[국토교통부]]가 5년간 국비와 시비를 합쳐 3110억원이 부산 1호선 시설 개량에 투입되기 때문에, 146량은 [[2019년]]부터 [[2022년]]사이에 교체될 수 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02&aid=0002048344|참고]] [[2018년]] [[9월 11일]] 3세대에 해당한 노후차량 대체분 48량을 현대로템이 수주하였다.[[https://www.hyundai-rotem.co.kr/PRCenter/News_View.asp?idx=3927|현대로템 보도자료]] 여담으로 3세대부터는 철도안전법 개정으로 CEM 장착이 의무화되기 때문에 디자인이 바뀔 가능성이 높다. 대구의 [[대구도시철도공사 1000호대 전동차|1호선 전동차]]도 차령이 20년을 넘긴 관계로 2020~[[2022년]] 경에 안전진단을 거쳐 신차도입 여부를 판단할 것이란 공사측 답변이 있었는데, 그 신차를 현대로템에서 납품할 경우에도 101~105편성 처럼 PMSM을 달고 나올 가능성이 있다. 다만 이 때 즈음에는 현대로템에서 자체적으로 개발한 230 kW급의 치차감속식 PMSM과 1C1M제어 인버터가 [[서울교통공사 6000호대 전동차]]의 633편성 중 6633호 차량에 장착되어 실차 주행검증 등이 끝난 시점이 되기 때문에, [[현대로템]]의 자체개발품을 달고 나올 가능성이 매우 높다. 그렇게 된다면 [[AUTS]] 기술이 제대로 세상 빛을 본 셈. 만약 [[현대로템]] PMSM의 개발이 완료될 경우 2차 대체분부터는 [[현대로템]]제를 들고 나올 가능성이 높다. 다만 본선 시범영업운행이 [[2019년]] [[8월 30일]] 까지이므로 2단계가 [[2020년]]부터 시작되면 [[현대로템]]제를, [[2019년]]부터 시작되면 [[도시바]]제를 적용할 가능성이 높다. ||<-5><:> 도시철도 1호선 신차도입 계획 || ||<:>구분||<:>교체 수량(편성)||<:>소요 예산(억 원)||<:>제작 기간||<:>사용 연차|| || 합계 || 186 || 2,790 || 2015년 ~ 2027년 (13년간) || - || || 1단계 || 40(5편성) || 600 || 2015년 ~ 2018년 || 33년 || || 2단계 || 48(6편성) || 720 || 2019년 ~ 2021년 || 36년 || || 3단계 || 48(6편성) || 720 || 2022년 ~ 2024년 || 38년 || || 4단계 || 50(7편성[* 1호선은 8량/편성이므로 50량이면 6편성과 2량이 남는데 한 편성에 구차랑 신차가 동시에 있지 않다고 가정할 경우 한 편성을 새로 교체하는 것이 되기 때문에 7편성이 된다. 편성구성과 관련된 정보가 있을 경우 [[추가바람]] ~~프로답지 않게 왜그려 짠돌이답게 신차에도 짬뽕편성 만들겠지 4편성은 그냥 도입하고 3편성에는 초퍼 부수차 2량씩 끼우기~~]) || 750 || 2025년 ~ 2027년 || 39년 || 이 계획 중에 1단계는 이미 완료되었고 2단계부터가 3세대 전동차인 것이다. 3세대 전동차로 따로 분류하여 작성되어 있는 이유는, 철도안전법 개정으로 CEM 장착이 의무화되기 때문에 디자인이 바뀔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 상세 == ||<-2> '''부산교통공사 1000호대 3세대 전동차 조성'''[* CEM 공법 추가 외에 변경이 안된다고 가정할 시] || ||<-2> ↑ 노포행 || || '''10##''' ||Tc(ATC/ATO신호장치, 주간제어기, 보조전원장치(SIV), 열차종합제어장치(TCMS), 축전지, 주공기압축기(CM), 열차무선장치, 방송장치) || || '''11##''' ||M1(팬터그래프, 추진제어장치, 견인전동기(TM), 보조공기압축기(ACM)) || || '''12##''' ||M2(추진제어장치, 견인전동기(TM)) || || '''13##''' ||T1(무동력 객차) || || '''14##''' ||T2(무동력 객차) || || '''17##''' ||M1(팬터그래프, 추진제어장치, 견인전동기(TM), 보조공기압축기(ACM)) || || '''18##''' ||M2(추진제어장치, 견인전동기(TM)) || || '''19##''' ||Tc(ATC/ATO신호장치, 주간제어기, 보조전원장치(SIV), 열차종합제어장치(TCMS), 축전지, 주공기압축기(CM), 열차무선장치, 방송장치) || ||<-2> ↓ 다대포해수욕장행 || [각주] [[분류:대한민국의 철도차량]][[분류:부산 도시철도 1호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