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교육기관)] [include(틀:부산광역시 금정구의 고등학교)] [include(틀:부산대학교)] ||[[파일:external/pnu.hs.kr/MAINTHEME_1093.jpg]]|| ||<-2> '''{{{#white {{{+2 부산대학교사범대학부설고등학교}}}[br]釜山大學校 師範大學 附設高等學校[br]Pusan National University High School}}}''' || ||<-2> [[파일:부산대학교사범대학부설고등학교_로고.png]] || |||| [include(틀:지도, 장소=부산대학교사범대학부설고등학교, 너비=100%, 높이=100%)] || || '''개교''' ||[[1972년]] [[3월 10일]] '''부산대학교사범대학부속고등학교''' || || '''유형''' ||[[일반계 고등학교]] || || '''성별''' ||[[남녀공학]] || || '''형태''' ||[[국립학교]] || || '''교장''' ||제12대 조인호 || || '''교훈''' ||'''나를 소중히 하고, 남을 돕는 사람''' || || '''교화''' ||[[목련]] || || '''교목''' ||[[은행나무]] || || '''교기''' ||[[육상]] || || '''학생 수''' ||667명 (2022.05) || || '''교직원 수''' ||74명 (2022.05) || || '''관할 교육청''' ||[[대한민국 교육부]][br][[부산광역시교육청]] || || '''주소''' ||[[부산광역시]] [[금정구]] [[기찰로(금정구)|기찰로]]22번길 30 ([[부곡동(부산)|부곡동]]) || || '''전화번호''' ||051-515-1345 (행정실)[br]051-580-7555 (교무실) || || '''홈페이지''' ||[[https://school.busanedu.net/pnu-h/|[[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 [목차] [clearfix] == 개요 == '''부산대학교사범대학부설고등학교'''(약칭 '''부산사대부고''')는 [[부산광역시]] [[금정구]] [[부곡동(부산)|부곡동]]에 위치한 [[일반계 고등학교]]이다. 부산광역시에서 수식어가 가장 많이 붙는 고등학교 중 하나로, '''부산에서 유일한 [[국립]] 일반계 고등학교'''이자 '''유일한 부설형 일반계 고등학교'''[* [[특목고]] 중에는 [[KAIST 부설 한국과학영재학교]]가 있으나, 엄밀한 의미에서는 고등학교가 아니므로 애매한 면이 있다.], '''부산시에서 최초로 개교 당초부터 [[남녀공학]]을 시행하였던 일반계 고등학교'''이며, '''부산시에서 개교 이래로 죽 남녀공학을 유지해오고 있는 최초의 일반계 고등학교'''이기도 하다. 무슨 말인가 하면, [[1974년]] 고교 평준화 시행이 시작되면서 대부분의 [[남녀공학]] 일반계 고등학교가 [[단성교육]] 학교로 강제 전환될 때에도 부산사대부고는 이들과 달리 단성학교로 전환되지 않고 [[남녀공학]]을 계속 유지한 최초의 학교라는 것이다. 이는 [[국립대학교]] 사범대학 부설고등학교들은 고교평준화 시행 이후에도 남녀공학으로 계속 운영할 수 있게 하는 일종의 특례 덕분이었다. == 역사 == === 학교 연혁 === 1972년 1월 6일 : 부산대학교 사범대학 부속고등학교 설립 인가 (12학급) 1972년 2월 23일 : 나진석 초대 교장 취임 1972년 3월 10일 : 개교 및 입학식 거행 1972년 9월 25일 : 부산대학교 구내 신축 교사로 이전 (장전동 445-2)[* 지금의 NC백화점 부산대점 오른쪽으로, 부산대학교 제8공학관으로 사용중.] 1975년 1월 8일 : 제1회 졸업식 (남 113, 여 118) 1975년 9월 26일 : 학칙 변경 인가 (18학급) 1980년 5월 8일 : 학칙 변경 인가 (남 18 학급, 여 12 학급, 계 30 학급) 1986년 5월 15일 : 교훈 개정 <나를 소중히 하고 남을 돕는 사람> 1986년 9월 13일 :현 교사로 이전 (부곡2동 산42-7) 1990년 11월 26일 : 교사 증축(3개실) 및 체육관 건립 정지 작업 완료 1993년 10월 18일 :일본 야마구치현 가료고등학교와 자매결연 2001년 3월 2일 : 『부산대학교사범대학부설고등학교』로 교명 변경 2002년 5월 15일 : 개교 30주년 기념식, 사료실 개관 및 30년 약사 편찬 2002년 12월 13일 : 중국 화동사범대학 제2부속중학교와 재매 결연 2003년 2월 15일 : 다목적 강당 개관 및 학예제 2005년 6월 10일 : 미국 Connection Kent High School과 자매결연 2006년 8월 28일 : 숲 속의 쉼터 개장 2006년 12월 22일 : 과학실험동(교실 6개) 증축 2007년 3월 1일 : 특수학급(1학급) 개설 2007년 12월 20일 : 화장실 개·보수, 도서실 리모델링, 보건실 본관 이전 2008년 9월 1일 : 제9대 박희자 교장 취임 2008년 10월 23일 : (미)The Masters School 자매 결연 및 교류 협약 체결 2009년 11월 26일 : 학교평가 최우수학교 선정 2010년 3월 2일 : 교과교실제 운영 2011년 11월 19일 : 도서관 리모델링 완성 2012년 2월 1일 : 학력증진 우수학교, 학교경영 우수학교 선정 2012년 3월 2일 : 학교 교내 식당 완공 2012년 9월 1일 : 제10대 이수현교장 취임 2013년 5월 1일 : 회의실 및 Wee class 개설 2014년 9월 1일 : 본관 리모델링 완성 2014년 11월 30일 : 장애인 편의시설(엘리베이트) 완공 2016년 2월 12일 : 제42회 졸업식[345명, (총)18,392명 (남)10,137명 (여)8,255명] 2016년 3월 2일 : 제45회 입학식[10학급 310명, (남)133명 (여)177명] == 교훈 및 상징 == === 교육목표 및 교훈 === === 학교 상징 === ==== 교표 ==== [[파일:부산사대부고.png]] [[파일:부산대학교 사범대학 부설 고등학교 교표.png]] 현행 교표는 사범대학을 뜻하는 ㅅ이 마름모 윗 부분을 담당하고 있고, 부설고등학교를 뜻하는 ㅂ이 마름모 밑 부분을 담당하고 있다. 마름모 안에는 [[부산대학교]] 교표와 공통의 국립부산대학교를 뜻하는 문양이 있다. ==== [[교가]] ==== [[파일:부산사대부고 교가.png]] [[https://school.busanedu.net/upload/pnu-h/ss/etc_e421fa95-1e7d-4602-ad64-ce62904747c51586999915005.mp3|음원]] ==== [[교목#s-2|교목]] ==== [[파일:부산대학교 사범대학 부설 고등학교 교목.png]] * [[은행나무]] : 영원불변의 우정을 지니고, 온 누리에서 가장 쓰임새 있는 인물이 되라는 의미이다 ==== 교화 ==== [[파일:부산대학교 사범대학 부설 고등학교 교화.png]] * [[목련]] : 순결과 청정, 고상, 젊음, 바람 속에 핀 꽃을 상징한다 == 학교 특징 == 학교 일과운영은 8:00 ─ [[등교]][*주의 만약 제시간안에 등교하지 못하면 입구의 셔터를 닫아버린다!] 8:00 ~ 8:40 ─ 주번활동,아침자습,조례 8:40 ~ 9:30 ─ 1교시 9:40 ~ 10:30 ─ 2교시 10:40 ~ 11:30 ─ 3교시 11:40 ~ 12:30 ─ 4교시 12:30 ~ 13:30 ─ [[점심시간]] 13:30 ~ 14:20 ─ 5교시 14:20 ~ 14:40 ─ 청소시간 14:40 ~ 15:30 ─ 6교시 15:40 ~ 16:30 ─ 7교시 16:40 ~ 17:50 ─ 8교시 ([[보충수업]][* 보충과 야자를 하지 않는 학생들은 정규수업이 끝난 7교시인 16:30 이후 [[하교]].]) 17:50 ~ 18:40 ─ 저녁시간 18:40 ~ 19:50 ─ [[야간자율학습]] 1차시 20:00 ~ 21:00 ─ 야간자율학습 2차시[* 1 · 2학년만 해당] 21:00 ~ 22:00 ─ 야간자율학습자 3차시[* 3학년만 해당] == 학교 시설 == === 본관 === 본 항목의 제일 상단 사진의 왼쪽의 길다란 건물이 본관이다. 지하1층에는 미술실과 무용실(탁구실)이, 1층에는 진로실, 행정실, 교장실, 보건실, 인쇄실, 문서고 등이, 2층에는 위클래스, 여교사 휴게실, 특수 학급(study class), 도서실, 교무실[* 담임을 맡지 않은 교과선생님과 교감선생님이 계신다.], 방송실, 남교사 휴게실, 교육정보실등이 있다. 3층부터 각 학년별로 교실과 각 학년 교무실[* 각반의 담임을 맡은 선생님이 계신다.], 홈베이스[* 각 층 양 끝에 2022년에 완공된 홈베이스가 도입됐다. 2021년도까지만 했어도 폰을 걷었으나, 이제 자율적으로 홈베이스에서 폰을 이용할 수 있다.]가 있다. 3층에는 1학년이 쓰는 층이며 남학생전용 식당, 교사식당, 매점, 수학교과1실, 재봉실 ,조리실 ,강당 연결통로등이 있다. 4층에는 2학년이 쓰는 층이며 여학생전용 식당[* 석식은 이곳에서 남녀 함께 먹는다], 사회교과실, 전산실[* 이름이 다양하다. 컴퓨터실, 전산실, 정보교육실][* 2022년에 리모델링을 해서 깔끔하다.], 수학교과2실등이 있다. 5층에는 3학년이 쓰는 층이며 수학교과3실, 시청각실(영어교과실)등이 있다. === 과학동 === 과학동을 가는 방법은 운동장에서 계단으로 걸어가거나, 3층에서 강당가는 길로 가면 건물이 이어져있어서 갈 수 있다. 3층 바깥쪽 계단 문은 잠겨있으니 본관으로 들어와서 과학동으로 가야한다. 3층은 강당과의 연결통로이고 4층은 물리실, 지구과학실, 과학교사실이 있고, 5층은 생물실,화학실이 있고, 6층은 사료실,음악실이 있다. === 강당 === 강당은 주변 중학교 출생 학생들이 보면 "생각보다 작다."라는 반응은 보인다.[* 장전중 학생 출신 제외] 그렇지만, 농구 골대도 여러개 설치 되어있고, 배드민턴 코드하고, 무대, 2층 좌석까지 구비해놔서 있을 건 다 있다. === 그 외 === 본관 근처에는 정자가 있고 앞에는 운동장과 야외 농구장이 있다. 학교 외곽에는 나무가 여럿 심어져있고, 햇살도 좋아 산책하기 좋다. [* 심심찮게 선생님들이 단체로 나와 산책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 학교 생활 == 교내 교과관련 대회나 행사가 많은편이며 이들을 열심히참가하거나 수상할 시 생기부에 검은색이 많아진다. 특히 부산사대부고 선생님들이 생기부를 잘 적어준다는 소문이 있다. 사대부고끼리 모여 무슨 연수를 할 때 생기부 작성 관련으로 부산사대부고 생기부를 샘플로 이렇게 적어야한다고 샘플로 쓴다 [[카더라]] 학년이 올라갈 때 학년실의 선생님도 대부분 같이 올라가는 식이며 변동 사항이 다소 있다. 점심시간이 끝나면 매점 줄이 매우 길다. 대부분 매점이 다 그렇겠지만 평균 시세보다 가격이 좀 더 높다. 매점에 자판기가 있어서 자판기로 음료를 사먹을 수 있다.[* 제티를 샀는데 초코에몽이 나온 적 있다. 아마 매점아저씨가 채워넣는 과정에서 초코음료는 다 같아~ 생각하고 넣지 않았을까 추측] === 운동부 === == 출신인물 == * [[김민준(배우)]] - 배우 * 김수현 - [[도전 골든벨]]에 참가,최후의 1인 아쉽게 탈락 * [[김채령]] * [[노창동]] * [[류순현]] * [[신현석(1962)|신현석]] * [[이진수(1970)|이진수]] * [[이천기]] * [[정동만]] * [[박민식]] * [[박수림]] * [[정미영]] * 장재영 - 전 [[롯데 자이언츠]] 트레이닝 코치. * [[정영(헤어디자이너)]] ==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 == === [[버스]] 노선 === || 금정세무소 || [[부산 버스 29|29]], [[부산 버스 49|49]], [[부산 버스 50|50]], [[부산 버스 148|148]], [[부산 버스 1002|1002]], [[양산 버스 58|양산 58]], [[양산 버스 59|양산 59]], [[양산 버스 61|양산 61]]|| || 부곡대우아파트 || [[부산 버스 29|29]], [[부산 버스 49|49]], [[부산 버스 301|301]] || || [[부산대역]] || [[양산 버스 12|양산 12]], [[양산 버스 1200|양산 1200]], [[양산 버스 1300|양산 1300]], [[양산 버스 1500|양산 1500]] || === [[지하철]] === || [[부산 도시철도 1호선]] || [[부산대역]]|| == 사건·사고 == ||언론에서 보도한 경우에만 서술하시기 바랍니다.|| == 기타 == * 같은 진입로를 쓰는 학교로 이웃한 [[부곡초등학교]], [[금양중학교]](구.금정여중)가 있다보니 부곡초등학교 → 금양중학교 → 부산사대부고 테크트리를 타는 이들은 12년 동안 같은 진입로로 통학을 하게 된다. 그 외에도 부산사대부고 오른편에 부곡중학교가 있기도 하다. * 국립학교다 보니 부산대학교 사범대학교 부설 고등학교의 건물은 동시기(1986년)에 건축된 [[부산광역시교육청]] 산하의 [[도장찍기]]식 양산형 공립학교 건물들과는 확연히 다른 건축 양식을 보여주고 있는데, 오히려 비슷한 시기에 건축된 일부 사립학교들에 가까운 건축양식을 보여주고 있다. * 부산 최초의 일반계 남녀공학 고등학교지만 같은 4학군(동래학군)내에 평준화 이후 부산 도심지역 최초이자 유일의 남녀공학 중학교였던 [[브니엘중학교]]가 있었기에 운빨로 [[브니엘중학교]] → 사대부고 테크트리를 타면 70~90년대 당시로써는 매우 드문 남녀공학 테크트리를 중, 고등학교 내내 계속 타는 매우 특이한 경우도 제법 있었다. 1998년 [[브니엘중학교]]가 재단 문제로 폐교되면서 4학군내에 남녀공학 중학교가 없어지는 바람에 4학군의 중고등학교 남녀공학 테크트리가 잠시 명맥이 끊기나 싶었지만 2000년대 이후로 다시 4학군에 남녀공학 중학교들이 등장하면서 현재도 4학군에서 운빨로 중고등학교 내내 남녀공학 테크트리를 탈 수 있다. * 부산 [[학군|4학군]](동래교육지원청) 소재 고등학교 중에서는 [[동인고등학교]]와 함께 의외로 교복 재도입이 늦은 학교였는데 1983년 중고생 복장 자율화 이후 1990년대 초반까지 10년 가량 교복을 착용하지 않았다. 지금의 교복은 1991학년도 입학생부터 착용하기 시작하였다. 그 이후로 현재까지 쭈욱 사용되고 있다. * 한때 [[스포원파크]] 전체를 빌려 체육대회를 한 적이 있다고 한다. 스포원 시스템 자체를 빌릴 수 없는 시스템인데, 이 시기의 교감선생님이 인맥을 이용하여 빌렸다고 한다.[* 운동장 벽에 그려져있는 맨 끝 쪽 인물이 교감선생님이라고 한다.] * 2022학년도(2021년도) 기준, 최근 몇 년간 입시 실적이 크게 하락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학교가 밀어오던 수시 입시가 큰 폭으로 하락하였으며 또한 정시에서도 좋은 모습을 보이지 못하는데, 그 원인으로는 수시에서 교사들의 지나치게 지엽적이고 실험적인 출제로 인해 꾸준한 상위 등급을 유지하는 경우가 줄어들었으며, 수시 감소 추세에 맞추지 못한 양산형 학교 행사 및 포트폴리오 전략 미비로 상위 등급을 획득 하더라도 그 효과와 결과가 매우 절감되는 처지이다. 최근에서야 정시에 중점을 옮겨 입시를 추진하려고 하지만 학교에 만연한 정시 경시 풍조와 교사들의 평가원 파악 능력 부재는 여전한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 학교로 올라오는 도중 외부 계단에서 벽을 보면 아름답게 그림[* [[어린왕자]]나 날개그림등]이 그려져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본교의 그림동아리가 그렸다고 카더라. * 2021년부터 시작된 공사가 2022년에 끝나 몇몇부분에서 학교 시설이 좋다.[[http://www.joeundeco.com/bbs/board.php?bo_table=product_05&wr_id=60|#]] 예를 들면 삼중창 유리창문이나, 칠판 투시용 빔프로젝터, 홈베이스, 컴퓨터실이 있다. * 2023년부터 Galaxy S6 Lite 가 학교에 보급된다고 한다. == 관련 문서 == * [[학교 관련 정보]] * [[부산광역시의 고등학교 목록]] * [[부산대학교]] [[분류:금정구의 고등학교]][[분류:부산광역시의 국립고등학교]][[분류:1972년 개교]][[분류:부산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