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부산 도시철도 1호선 동명의 역, rd1=부산진역)] [include(틀:프로젝트 문서2, 프로젝트1=나무위키 철도 프로젝트, 프로젝트2=나무위키 동남권 프로젝트)] ||<-6><:>{{{+2 '''부산진역'''}}} || ||<-6>[include(틀:지도,장소=35.1287411 129.0497600,너비=100%,높이=225px)]|| ||<-6><:><#c0c0c0>'''다국어 표기''' || ||<-2><:>[[영어]] ||<:><-4>Busanjin || ||<:><-2>[[한자]] ||<:><-4>釜山鎭 || ||<:><-2>[[중국어]] ||<:><-4>釜山镇 || ||<:><-2>[[일본어]] ||<:><-4>プサンジン || ||<-6><:><#c0c0c0>'''주소''' || ||<-6><:>[[부산광역시]] [[동구(부산)|동구]] 충장대로 255-1|| ||<:><-6><#c0c0c0>'''관리역 등급'''|| ||<:><-6>[[한국철도공사]] [[관리역#s-3|영남권 물류사업단]]|| ||<-6><:><#c0c0c0>'''일반 철도'''|| ||<-2><:>[[경부선]]||<-4><:>1905년 12월 1일|| ||<-6><#c0c0c0><:>'''열차거리표'''|| ||<:><-2>[[서울역|{{{#!html
서울 방면}}}]][[사상역(경부선)|사 상]][br]← 9.6 km||<:><-2>'''[[경부선]]'''[br]부산진||<:><-2> [[부산역|{{{#!html
부산 방면}}}]][[부산역|부 산]][br]1.8 km →|| ||<:><-2>{{{#!html
기점}}}||<:><-2>'''[[동해선]]'''[br]부산진||<:><-2> [[효자역(동해선)|{{{#!html
효자 방면}}}]][[범일역(동해선)|범 일]][br]2.1 ㎞ →|| ||<:><-2>{{{#!html
기점}}}||<:><-2>'''[[우암선]]'''[br]부산진||<:><-2> [[신선대역|{{{#!html
신선대 방면}}}]][[우암역|우 암]][br]2.4 ㎞ →|| {{{+1 釜山鎭驛 / Busanjin Station }}} ||이 역과 [[거제해맞이역]][* 당시에는 거제역]사이에 [[서면역(동해남부선)|서면역]]이 있었으나, 폐역되었다.|| [[파일:external/news20.busan.com/20120216000076_0.jpg]] 구 역사 [[파일:attachment/stamp_1_2.gif]] 부산진역의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 지금은 [[부산역]]에 비치되어 있다. 아래 참조.] [목차] == 개요 == [[경부선]], [[동해선]]과 [[우암선]]의 [[철도역]]. [[부산광역시]] [[동구(부산)|동구]][* 부산진역임에도 [[부산진구]]가 아닌 동구에 있는 이유는 [[부산진]] 이름의 유래인 부산진성이 동구에 있기 때문이다. 부산진역은 [[1957년]] 부산에 [[구(행정구역)|구제가 실시되면서]] 부산진구가 생기기 훨씬 전부터 이 자리에 있었다.] [[중앙대로(부산)|중앙대로]] 380([[수정동(부산)|수정동]]) 소재. [* 문서명이 조금 이상해 보일 수는 있으나, 이는 [[http://angelhalo.org/bbs2/index.php?mid=wikibbs&document_srl=5611742|위키방 24시간 룰에 따른 합의사항]]이며 동해선도 ~~취급하는 걸 보면 별로 그런 것 같지 않아 보이지만~~ 엄연히 '''간선 철도'''이다. 그렇기 때문에 문서명이 저렇게 된 것.] 역코드는 144. == 역 정보 == 한때 [[경부선]]과 [[경전선]] 열차의 필수정차역으로 [[부산역]]에 버금가는 중요한 역할을 맡은 역이었으며 특히 모든 비둘기호는 부산진역에서 시종착했다. 부산판 [[용산역]]이라고 보면 된다. 지금도 부산의 30대 이상 세대에게는 이 역에서 내려 나무계단 과선교를 건너 범내골로 향하던 기억들이 아련할 것이다. ~~사실 동래나 서면에서는 부전역이 더 가깝고~~ 부산진역은 완행 타고 밀양이나 마산, 진주 가던 역이라면 부산역은 특급 타고 서울가는 역이었던 셈. 이를테면 KTX 개통 이전의 [[서울역]]과 [[용산역]] 기믹이라 할 수 있다. [[KTX]]가 개통한 후에는 [[경전선]] 시종착역이 [[부전역(동해선)|부전역]]으로 변경되면서 기존의 역할을 그쪽으로 위임하고 여객 취급 업무가 축소되고 결국 [[2005년]] [[4월 1일]]에 이르러 --[[오비이락|굥교롭게도]] [[KTX]]가 개통된 지 정확히 1년이 되던 날(...)-- 모든 여객열차를 완전히 통과시켜 어떠한 여객열차도 정차하지 않는 역이 되어버렸다. 그러다가 [[2017년]] [[12월 18일]] [[http://gwanbo.mois.go.kr/ezpdf/customLayout.jsp?contentId=00000000000000001513827665488000&tocId=00000000000000001513827666864000&isTocOrder=N|국토교통부고시 제2017-839호]]에 의거 여객취급 중지로 못박아 현재는 완전히 화물취급 전용역이 되었다. ~~12년이 지나서야? 뭐지? [[국토교통부|국토부]] 고시를 작성하는 관계자가 [[직무유기|일을 할 생각이 없다가]] 정작 띄워야 할 고시를 띄운건가??? 이에대한 해명이 필요하다~!!!(...)~~ 여객열차 통과와 동시에 [[중앙대로(부산)|중앙대로]]에 있는 구 역사는 패널로 막아 놓았다. 과거 [[금정터널]] 공사 현장사무소로 썼었으며 이후 KTX 잔여 구간 공사를 담당하는 건설업체의 현장사무소로 쓰는 듯. 여객역으로서의 역할은 완전히 사라졌지만 [[부산항]]과 매우 가깝다는 점을 이용하여 화물역으로서는 지금도 아주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괜히 [[관리역|그룹 대표역]]이 된 게 아니다. --그런데, [[https://ko.wikipedia.org/wiki/%EB%B6%80%EC%82%B0%EC%A7%84%EC%97%AD_(%ED%95%9C%EA%B5%AD%EC%B2%A0%EB%8F%84%EA%B3%B5%EC%82%AC)|이 백과 사이트]]에서는 역 등급이 [[보통역]] 3급이라고 언급한다 [[카더라 통신|카더라]](...)-- [[부산광역시]]의 거의 모든 철도화물은 이 역을 거쳐간다고 보면 된다. [[흠좀무]]. [[우암선]]을 통해 감만부두와 신선대부두에서 들어오는 많은 량의 컨테이너 화물을 처리하고 있으며 여전히 경부축 컨테이너 열차의 주요 시종착역이기도 하지만 점차적으로 [[부산신항]]으로 물동량이 옮겨가는 중이라고 한다. 어떤 [[철싸대]]가 [[부산역]]에 비치된 부산진역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를 들고 날랐던 적이 있었다. 지금은 새로 제작해서 다시 [[부산역]]에 비치하였다. 하지만 원래 나무 도장의 도안을 플라스틱 도장으로 옮기면서 확대해서 해상도는 그렇게 좋지 않아 아쉬울 따름이다. (2012년 3월 확인) 2014년 12월 27일 기준 [[부산역]]에 비치된 부산진역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를 다시 어떤 [[철싸대]]가 들고 튀었다. [[안습]]. [youtube(t6Hz0ukRLPo)] [youtube(3y-Dq5bYBI0)] [youtube(AXDtmzEn67o)] [[부산 도시철도 1호선]] [[부산진역]]이 달라붙어 있지만 화물 영업만 하고있으니 일반인이 환승할 일은 없다. 대신 도시철도 부산진역에는 [[연결선로|철도로 이어지는 선로]]가 하나 있다. 그래서 다른역과달리 1상대1섬식이며 노포방면 승강장이 섬식이나 2018년 현재 패널로 안쓰는 쪽이 막힌 상태이다. 1호선 열차 반입 선로로 [[다대포해수욕장역|다대포해수욕장]] 연장분 전동차가 들어와 이 선로로 반입되고 있는데 근 몇십년간 쓰지 않던 선로이다 보니 선로 상태가 그다지 좋진 않은 듯 하다 (......) [[금정터널]]의 한쪽 입구가 이 역의 여객용 승강장을 철거하고 만들었다. 엄연한 분기역은 아니지만 [[부산역]]에서 출발하는 [[경부선]]과 [[경부고속선]]은 이 역에서부터 실질적으로 분기한다. 따라서 [[금정터널]]을 빠져나올 무렵 곧바로 [[부산역]] 종착 안내방송이 나온다. [[금정터널]]의 다른 쪽 입구는 [[금정구]] [[노포동]] [[부산종합버스터미널]] 인근에 위치한다.--노포역을 만들자-- == 기타 == 2012년 2월엔 부산진역 역사에서 2012 만남의 시작이란 주제로 부산 함부르크 국제 미술 교류전 이 구. 부산진역 역사에서 열였다. 2012년 9월에는 부산 비엔날레 전시장 중 하나로 사용되었다.''' 부산진역과 초량 주변의 역사적 질곡과 그에 따른 부산진역의 흥망, 그리고 초량과 동광동 하면 빼놓을 수 없는 [[러시아]]에 대한 주제를 가진 작품들이 대거 전시되었다.[* [[부산항]]과 [[부산국제여객터미널]]을 중심으로 초량~중앙동~동광동 일대에서는 러시아인 선원을 흔히 볼 수 있고 [[부산역]] 맞은편에서는 밤만 되면 러시아인 포주가 영업을 하고 있다. [[부산항]]을 오고가는 러시아인 선원 및 보따리상 때문에 [[러시아]]에서 확 뜬 라면이 [[팔도(기업)|팔도]]에서 만드는 네모난 용기의 [[팔도 도시락]] 라면이다.] 이러한 사정을 아는 관람객들에게는 은근히 심금을 울리는 면이 있었다. --여담으로 [[네이버]] 지도에서는 부산진역이 폐역(...)이라고 [[http://map.naver.com/?dlevel=12&pinType=site&pinId=11636604&x=129.0496370&y=35.1288900&enc=b64|나온다]]. 부산진역 [[안습]] 지금은 간이역으로 나온다. 그냥 화물전용역이라고 해도 될텐데 말이지(...)-- == 사진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70px-NewBusanjinSta.jpg]] CY 하적장. 부산진역 역무는 현재 이곳에서 취급하고 있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70px-Korail_Busanjin_Station.jpg]] 구 역사. 2006년부터 2012년까지 폐쇄되었을 때의 모습이다. 출처는 모두 위키백과. [[http://www.stationdb.x-y.net/stationphoto/old_busanjin.jpg]] 2002년 6월 2일의 구 역사 및 여객열차 정차시절. [[분류:대한민국의 철도역]][[분류:경부선]][[분류:동해선]][[분류:우암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