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한국전쟁기 피란수도 부산의 유산]][[분류:근대건축물]][[분류:부산광역시의 교통]][[분류:대한민국의 항구]] [include(틀:한국전쟁기 피란수도 부산의 유산)] [[파일:제1부두.png]] == 개요 == [[부산항]] 전체에서 '''제일 처음 지어진 부두'''. 부산항(북항)에 남항, 감천항, 신항이 차례로 증설됨에 따라 현재는 부산항 북항 제1부두가 되었다. 위치는 부산광역시 중구 중앙동 4가. == 역사 == 부산항 제1부두는 [[일본 제국]]이 대륙침략의 거점으로 삼기 위한 목적으로 건설되었다. 1898년 부지 확장 공사를 시작으로 하여, 1912년 항만이 [[경부선]]과 연결되며 완공되었다. 이후 제1부두는 군수물자 수송이나 무역 및 여객, 연락선 부두로서 사용되었다. 해방 이후 [[한국전쟁]]기에는 귀국민 수송, 군수물자 및 피란민 수송의 역할을 했으며, 산업발전기에는 수많은 무역로의 거점이자 수출입 기지로서 활용되었다. 이에 늘어난 물류량을 감당하기 위해 1975년부터 1977년까지 개축공사를 진행하였고 현재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2006년 [[부산신항]]이 개항함에 따라 옛 부산항의 물류기능이 분산되었고, 2008년 [[북항 재개발]]을 통해 도심복합지구로 개편될 예정이었으나 보존이냐 개발이냐를 두고 의견차이가 발생하여 갈등이 이어졌고, 재개발 대상에서는 결국 제외되었다. 2022년 12월 15일, 《[[한국전쟁기 피란수도 부산의 유산]]》이 [[유네스코 세계유산]] 잠정목록에 등록되고, 부산항 제1부두도 여기에 포함되며 보존으로 가닥이 잡혔지만, 지자체에선 여전히 재개발을 원해서 이를 부정적으로 보기 때문에 보존에 비협조적으로 대응하고 있다. == 여담 == * 2022년 부산 [[비엔날레]] 전시장 4곳 중 하나가 제1부두에 위치했다. 전시 주제는 '물결 위 우리(WE, ON THE RISING WAVE)'로 근현대 부산의 역사와 세계적인 사건들을 연결지어 바라보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