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동남권 광역전철]][[분류:광역급행철도]][[분류:대심도]][[분류:가덕도신공항]] [include(틀:미개통)] [include(틀:동남권 광역전철 노선)] ||<-3> {{{#!wiki style="margin: -10px -10px" || {{{#797979 '''{{{+1 부산형 급행철도}}}'''[br]{{{-1 '''Bu'''san '''T'''rain}}} e'''X'''press: '''BuTX''' [br]{{{-1 釜山形 急行鐵道}}}}}} ||}}} || ||<-2> [[파일:BuTX 9월 25일 공개 노선도.png|width=100%]] || ||<-2> '''{{{#fff 노선 정보}}}''' || || '''분류''' || [[광역급행철도]] || || '''기점''' || [[가덕도신공항|가덕도신공항역]] || || '''종점''' || [[오시리아역]] || || '''역 수''' || 7개 || || '''구성노선''' || 부산형 급행철도 || || '''개업일''' || 2030년 (예정) || || '''소유자''' || 미정 || || '''운영자''' || 미정 || || '''사용차량''' || [[수소열차|수소전동차]] || || '''차량사업소''' || 미정 || || '''지상구간''' || 없음 || || '''착공예정''' || 미정 || ||<-2> {{{#fff '''노선 제원'''}}} || || '''노선연장''' || 54.043㎞ || || '''궤간''' || 미정 || || '''선로구성''' || 미정 || || '''사용전류''' || 미정 || || '''신호방식''' || 미정 || || '''최고속도''' || 150㎞ || || '''표정속도''' || 미정 || || '''지상구간''' || 없음 || || '''통행방향''' || 미정 || || '''개통예정''' || 2030. [[가덕도신공항]] ↔ [[오시리아역|오시리아]] || [목차] [clearfix] == 개요 == [Youtube(QMjBYl_Lqe0)] [[가덕도신공항]]과 [[오시리아역]]을 잇는 [[광역급행철도]]이며 약자로 BuTX[* '''뷰티엑스''' 혹은 '''부티엑스'''라고 읽는다.]를 사용한다. [[부산광역시]]에서 [[2026년]] 착공, [[2030년]] 완공과 개통을 목표로 추진 중인 노선이다. == 기본 계획 == BuTX 노선은 총길이 54.043㎞에 7개 정거장[* [[가덕도신공항]]∼[[서부법원·서부검찰청역|명지]]∼[[하단역|하단]]∼[[부산역|북항]]∼[[부전역(동해선)|부전역]]~[[벡스코역|센텀시티]]∼[[동부산관광단지역|오시리아]]]을 설치한다. 지하 40m 이상 아래 [[대심도]]로 건설되고 차량은 [[수소 열차|수소전동차]]가 사용될 예정이다. 일평균 이용객은 약 11만 4천 명으로 추정되며, 사업비는 약 4조 7,692억 원이 들 것으로 추산된다. 주 목적은 [[가덕도신공항]]과 [[북항 재개발]] 지역을 잇는 것. [[서면]] 미경유에 대한 우려 이후 부전역이 추가되었다.[* 9월 25일 기사 참고. 한편 부전역은 서면역과 600m 거리이고 지하상가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부전역은 서부경남권 권역의 철도 결절점이다. 부전마산선으로 환승하면 김해시와 창원시도 연결될 수 있다.] 개통되면 신공항에서 [[명지]]까지 7분, [[하단역]] 까지 11분, [[오시리아관광단지]]까지 25분만에 주파가 가능해져 가덕도신공항 접근성이 크게 향상된다. [[2030 엑스포]]의 부산광역시 유치가 실패로 돌아가면서 해당 노선의 진행여부에도 안개가 낄 가능성이 높게 되었다.[[https://www.youtube.com/watch?v=it96S4wj3xM|#]] 한편, [[울산광역시]]는 BuTX와 연계하여 [[공업탑]] 시내권 또는 [[태화강]] 방면으로 연장을 희망하고 있다. [[https://www.ytn.co.kr/_ln/0115_202310070632311546|#]] [[http://www.ujeil.com/news/articleView.html?idxno=334542|#]] === 역사 === 2023년 3월 23일, 부산시는 자체 사전타당성 용역 결과 [[B/C값]]이 0.88, AHP 값이 0.722로, 도시철도 치고는 높은 수치가 도출되었다며 사업을 본격화한다고 밝혔다. 차종은 [[수소 열차]]를 선정했다. 아울러 장기적으로 국토교통부의 제5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 [[동남권 GTX]]로 확대 반영한다는 계획이라고 밝혔다. [[https://www.h2news.kr/news/article.html?no=10837|#]] 2023년 8월 24일, 하나은행이 현대로템 등과 컨소시엄을 이루어 입찰계획을 밝혔다. [[https://contents.premium.naver.com/dealbooknews/dealbook/contents/230824073932856ny|#]] 2023년 9월 25일, 부산광역시는 하나금융그룹이 주관사로 참여하는 BuTX급행열차(주)(가칭)이 15일 제출한 민간투자사업서를 검토한 결과 추진하기로 했다고 전하며 조감도를 공개했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23/0003789910|#]] 기존 시의 안과 달리 부전역이 추가되었으나 최고시속이 150㎞로 하향되었고, 1개 정거장을 공용한다 표기되어 있는데 가덕도공항역을 공용할 것으로 추정된다. 이에 따라 사업비는 늘었지만 B/C는 1.14로 산정되었다. 이 계획으로는 가덕도신공항에서 부산(북항)역까지 18분, 오시리아관광단지까지 33분 주파 예정이다. [[파일:BuTX 9월 25일 보도 조감도.jpg]] 2023년 11월 9일, 부산광역시는 접수된 안을 [[지방연구원|부산연구원]]이 사전 검토 중이며, 이후 [[한국개발연구원]](KDI)에 민자적격성 조사를 의뢰할 예정이다. 2024년까지 민자적격성 조사 및 제3자 제안공고를 마무리하고, 2025년 실시협약 및 사업시행자 지정 등의 행정절차를 빠르게 이행하기로 했다. 이후 2025년 착공을 시작으로 2030부산세계박람회 개최 시점에 맞춰 2030년 전까지 개통한다는 방침이다.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206698|#]] 2023년 12월 5일, 국토교통부가 [[2030 부산 엑스포 유치 시도]] 실패의 영향을 받지 않고 건설이 이뤄지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https://www.busan.com/view/busan/view.php?code=2023120518262602813|#]] === 선형 === 오시리아~부전 구간은 [[동해선]], 부전~부산역 구간은 [[경부선]], 가덕도신공항 진입 구간은 [[부산신항선]]과 겹치므로 공용하면 어느정도 예산 절감이 기대된다. [* 가덕도신공항 진입 구간은 23년 9월 기준 가덕도신공항 접근철도와 공용하기로 계획되어있다. ] 부산역~하단 구간은 [[부산 1호선]]을 따라가는 동시에 [[부마선]]과 수 ㎞ 떨어져 평행하게 지나가는 선형이고 하단~부산신항은 [[부산 5호선]]([[하단녹산선]])을 따라간다. 부전역-오시리아 구간은 [[동해선 광역전철|동해선]]과의 선형 및 역사가 겹치는 측면이 있어 이에 대한 수요충족 여부 검토가 필요해 보인다. 그러나 본 문단에 나오듯 기존 철도와 거의 비슷한 구간이 많아지면서 [[선로공유]] 가능성이 크고, 실현되면 B/C가 더 오를 수 있다. [[동해선 광역전철|동해선]]의 경우 교대, 동래를 경유하여 선형이 좋지 않고 많이 둘러간다는 점, BuTX는 현재 계획상으로 [[서면]]과 [[센텀시티]]라는 부산 내 대수요처를 황령산을 가로질러 바로 이어준다는 점에서 메리트가 있다. 한편, 센텀시티 - 오시리아 구간은 [[동해선 광역전철|동해선]]과 선로를 공용함으로서 사업비를 절약할 수 있다는 의견도 있으나, 해당 구간의 선로 최고속도가 120㎞/h라는 점이 걸림돌이다. 또한 해당 구간은 중앙선 선로개량 공사가 끝나면 추후 고속열차인 KTX-이음이 운행될 예정인데다 부전-마산 복선전철의 직결운행까지도 검토가 진행중이라 선로용량의 과중에 따르는 병목현상도 고려해야 한다. [[센텀시티]]에서 [[오시리아관광단지]]로 가고자 한다면 그 사이의 [[동해선 광역전철|동해선]] 역사가 2개역 밖에 안되어 BuTX가 큰 메리트가 없다고 볼 수 있지만, [[서부산]]이나 [[서면]]등지에서 오시리아관광단지까지의 접근성이 상당히 개선된다는 이점이 있다.[* 동해선 광역전철 기준 부전-오시리아는 30분, 센텀-오시리아는 12분이 소요된다.] 결국 대심도 신선으로 가게된다면 자기잠식에 따르는 수요 및 B/C 충족 여부가 검토되어야 하고 동해선 공용으로 진행되면 B/C는 개선되겠지만 선로용량 부족 및 속도 저하의 딜레마에 빠지게 된다. 다만 부전-마산 복선전철의 직결운행 여부는 결정되지 않았고, 가덕도신공항 적정성 재검토 보고서의 연계철도 항목에서 부전역발 중앙선, 동해선 KTX-이음이 운행해도 동해남부선 선로용량은 87회 여유가 있다고 명시되어있으며, 선로 및 신호체계를 개선하여 150㎞/h로 증속이 가능하면 일 87회로 충분히 BuTX를 공용하여 운행하는 것을 고려해볼 수 있다. 일각에서는 오시리아역에서 끊지 말고 [[기장일광도시개발사업|일광신도시]]까지 가는 것으로 노선을 지정해달라는 요구가 간간히 나오고 있다. 일광신도시까지 연계되면 빠르게 도심으로 진입 가능한 더할 나위없이 좋은 교통수단이 되기 때문이다. 일광신도시를 넘어 [[정관신도시]]나 울산으로 노선을 더 연장하면 더욱이 노선의 실용성이 높아질 거란 전망도 있다. === 기대 효과 === [[가덕도신공항]]에서 부산 주요 지점을 빠르게 이어준다는 점뿐만 아니라 부산 시내의 주요 지점을 이어주는 [[급행]] 철도의 역할도 충실히 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먼저 [[명지신도시]]의 부산 도심 접근성이 획기적으로 개선된다.[* 명지신도시를 비롯한 강서구 지역은 [[서면]]을 비롯한 부산 도심과의 대중교통 접근성이 매우 좋지않다. 남포동을 비롯한 구도심 지역은 [[부산 버스 171|171번]], 서면은 [[부산 버스 1009-1|1009-1번]] 버스밖에 없으며, 지하철로 가려면 [[하단역]]에서 불량한 선형의 1호선 남부 구간을 뚫고 가야한다. ~~특히 1009-1이 만악의 근원~~] 명지신도시에서 부산역, 부전역까지 10분대에 접근 가능해짐으로써 명지신도시의 교통에 일대 혁신을 불어올 수 있다. 마찬가지로 부산 1호선의 [[남포역(부산)|남포역]] 이서 구간의 불량한 선형 문제에 따른 사하구 연선에서의 부산 도심 접근성 문제도 하단역에서 BuTX로 환승함으로써 해소될 수 있다.[* 특히 하단역은 현재 계획상 BuTX의 다른 역들보다 환승 동선이 멀어지지 않는 구조로 지어질 예정이다.] 또한 동부산, 해운대 지역에서의 서면 및 구도심 접근성도 비약적으로 향상된다. 부산 2호선이 대연동, 문현동, 전포동으로 돌아갈 수 밖에 없는 선형 때문에 해운대에서 부산역, 남포동을 비롯한 구도심으로의 접근은 [[부산 버스 1001|버]][[부산 버스 1003|스]]에 주로 의존하고 있다. [[센텀시티역]]에서 부전역, 부산역, 하단역으로 20분 안에 도착할 수 있다는 점[* 특히 광안리, 해운대를 비롯한 동부산은 관광객 수요가 어마어마한데, 부산역에서 10분 안에 센텀시티로 갈 수 있다는 점은 국내 관광객들에게도 큰 도움이 된다.]은 BuTX의 수요 전망을 밝게 하는 점이다. 마지막으로 [[오시리아관광단지]]의 만성적인 교통난을 해결할 수 있다. 현재 오시리아에는 동해선 [[오시리아역]] 외엔 철도 교통이 전무하고, 도로 교통은 만성적인 교통 체증으로 몸살을 앓고 있다. 심지어 오시리아는 아직 한창 개발 중이란 점을 감안하면 앞으로 교통 문제는 더욱 심각해질 가능성이 크다. BuTX의 개통은 오시리아와 도심 간 교통 환경을 극적으로 개선해줄 수 있다. ~~괜히 수도권도 아닌 곳에 대심도 지하 신선을 이렇게 길게 뚫는다는데 B/C값이 1을 넘긴 것이 아니다. 서면 이남 지역의 교통 문제 해결을 위한 히든카드~~ == 역 목록 == * [[환승역]]을 제외한 모든 역명은 모두 가칭이며, 부산광역시에서 공식적으로 발표한 [[https://www.busan.go.kr/resource/preview_result/202309/BBSTY3_ATTACH_1581285_1.files/4.png?|보도자료]]에 적힌 명칭을 사용한다.[* [[https://www.busan.go.kr/nbtnewsBU/1581285|「차세대 부산형 급행철도(BuTX)」 민간투자사업으로 본격 추진!]], 부산광역시, 2023-09-25] * 역 번호는 정해지지 않았다. ||<|2><:> 역번 ||<|2><:> ㎞ ||||<|2><:> 역명 ||||<:> 승강장 ||<|2><:> 환승노선 ||<|2><:> 소재지 || ||<:> 형태 ||<:> 횡단 || ||<:> - ||<:> 0.0 ||<:> [[가덕도신공항]] ||<:> 加德島新空港 || || || ||<|2><:> 강서구 || ||<:> - ||<:> - ||<:> [[사취등역|명 지]][* 부산시가 계획한 노선은 하단녹산선 106번 역, 가칭 서부법원서부검찰청 역이었으나 하나금융그룹이 주관하는 민간사업자는 명지역 위치를 하단녹산선 103번 역, 가칭 사취등역(청량사어귀 삼거리)으로 조정하여 제출하였다. 이후 제3자 제안요청공고 과정을 거치게 되는데, 이 때 다른 민간사업자가 다른 노선을 제안할 가능성, 실시설계 단계에서 노선과 역사위치가 조정될 가능성이 등이 여전히 존재한다. 부산시 관계자는 해당 노선은 민간사업자가 제안한 노선이고, 앞으로 언제, 어떤 이유로, 어떻게 바뀔지 알 수 없다는 입장이다. 더군다나 아직 명지지구는 개발지역이고, 이미 지어진 인프라가 있는 타 역과 다르게 연계 도시철도가 착공조차 하지 못한 상태이기 때문이다.] ||<:> 鳴 旨 || || || [[부산 도시철도 5호선|5호선]] || ||<:> - ||<:> - ||<:>[[ 하단역|하 단]] ||<:> 下 端 || || || [[부산 도시철도 1호선|1호선]] [br] [[부산 도시철도 5호선|5호선]] ||<:> 사하구 || ||<:> - ||<:> - ||<:> [[부산역|부산(북항)]] ||<:> 釜山(北港) || || || [[부산 도시철도 1호선|1호선]] ||<:> 동구 || ||<:> - ||<:> - ||<:> [[부전역(동해선)|부 전]] ||<:> 釡 田 || || || [[부산 도시철도 1호선|1호선]][* 서면역을 거치지는 않아 2호선과는 직접 환승되지 않을 예정이다. 부전지하상가를 통해 지하로 이동은 가능하다.] [br] [[동해선 광역전철|동해선]] ||<:> 부산진구 || ||<:> - ||<:> - ||<:> [[센텀시티역|센텀시티]] ||<:> Centum City || || || [[부산 도시철도 2호선|2호선]] ||<:> 해운대구 || ||<:> - ||<:> - ||<:> [[오시리아역|오시리아]] ||<:> OSIRIA || || || [[동해선 광역전철|동해선]][* [[동부산관광단지역]]에서 환승할 시 2호선 환승] ||<:> 기장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