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부안군의 로)] ---- ||<-4> {{{#FFF {{{+1 '''부안로'''}}}[br]扶安路 | Buan-ro}}} || || ← [[강진군|{{{#!html강진}}}]] {{{#!html방면}}}[br][[고인돌대로]] ||<-2> [[23번 국도|{{{#!html
23번
국도
}}}]] || [[천안시|{{{#!html천안}}}]] {{{#!html방면}}} →[br][[월죽로]] || ||<-4> '''{{{#fff 노선 번호}}}''' || ||<-4> '''[[23번 국도]]''' || ||<-4> '''{{{#fff 기점}}}''' || ||<-4> [[전라북도]] [[고창군]] [[고창군/행정#s-2.1|흥덕면]] 동사리 제하사거리 || ||<-4> '''{{{#fff 종점}}}''' || ||<-4> [[전라북도]] [[부안군]] [[부안군/행정#s-1.3|동진면]] 동진대교 || ||<-4> '''{{{#fff 연장}}}''' || ||<-4> 33.04km || ||<-4> '''{{{#fff 개통}}}''' || || 2003.12. ||<-4> 신기교차로 - 동진대교 || ||<-4> '''{{{#fff 관리}}}''' || ||<-4> [[익산지방국토관리청|[[파일:익산지방국토관리청1.png]]]] || ||<-4> '''{{{#fff 왕복 차로 수}}}''' || || 2차로 ||<-3> 제하사거리 - 신기교차로 || || 4차로 ||<-3> 신기교차로 - 동진대교 || ||<-4> '''{{{#fff 주요 경유지}}}''' || ||<-4> [[고창군/행정#s-2.1|흥덕]] ↔ [[부안군/행정#s-1.10|줄포]] ↔ [[부안군/행정#s-1.1|부안]] ↔ 동진대교 || [목차] == 개요 == [[전라북도]] [[고창군]] [[고창군/행정#s-2.1|흥덕면]]의 제하사거리에서 시작하여 [[전라북도]] [[부안군]] [[부안군/행정#s-1.3|동진면]]의 [[동진대교]]에 위치한 [[부안군]]과 [[김제시]]의 경계까지 이어지는 총 33.04km, 2~4차선의 [[도로]]. [[부안군]]을 남북으로 관통하는 도로이다. 참고로 시점인 [[고창군]] [[고창군/행정#s-2.1|흥덕면]]과 바로 붙어있는 [[고창군]] [[고창군/행정#s-2.2|부안면]]과는 관계가 없다. == 상세 == [[부안군]]과 [[고창군]], [[김제시]]를 잇는 부안군의 관문. [[23번 국도]]의 부안군 구간이기도 하다. === 특징 === 고창군에서 시작해 부안군을 남북으로 가로지르는 도로. 부안군 내에서 중추 간선도로 역할을 수행한다. 고창군 흥덕면 외곽의 제하사거리가 도로의 기점이다. 이후 줄포면까지 2차선으로 낮은 언덕 몇 개를 넘는다. 만나는 마을이 거의 없어 상당히 외진 분위기. 부안군에 들어오며 [[서해안고속도로]] 하부를 지나는데, 이 부근 몇백 미터 정도는 4차선 확장을 대비한 듯 도로 폭이 상당히 넓다. 여기서 도로변의 넓은 공간을 활용하여 가끔 [[구제역]] 방역소 같은 게 설치된다. 줄포면소재지 근처는 이설된 구간이다. 원래 국도는 줄포1길-줄포2길-([[줄포중앙로]])-줄포6길로 지정되어 있었는데 7~80년대 줄포항[* 현재는 토사의 유입으로 폐쇄되고 간척되어 농경지로 쓰인다. 부안 방향 기준 서빈마을을 통과하자마자 왼쪽을 보면 작은 하천이 보이는데, 여기가 과거 줄포항이었다고 생각하면 된다. ]을 정비하며 1차선이던 국도를 2차선으로 살짝 확장한 것이다. 이후 호남평야의 서남쪽 끝인 동진평야 서쪽을 지나며 보안면, 상서면을 통과한다. 부안읍으로 들어와서는 신기교차로부터 4차로로 확장된다. 이후 동진강을 건너며 끝. === 주요 구간 === ||<-6>|| ||<-6> [include(틀:노선번호/국도, n=22)] [include(틀:노선번호/국도, n=23)] || ||<-6> '''[[고인돌대로]]와 직결 ([[|고창읍]] 방면)''' || ||<|3> 제하마을[br]↖ ||<-4>||<|6> [[선운산IC]][br][[고창군/행정#s-2.1|흥덕]][br]→ || ||<-4> [include(틀:노선번호/국도, n=23)] || || '''제하길''' ||<-2><|4> (제하사거리) ||<|4> '''[[선운대로]]''' || ||||<|3> '''[[선운대로]]''' || || [include(틀:노선번호/국도, n=22)] || || [[정읍시|정읍]][br]← || || ||<-4> '''잿말길'''[br](치이삼거리) || [[선운사]][br]→ || || ||<-4> '''[[후포로]]'''[br](신기삼거리) || 후포리[br]→ || || 용반리[br]석우리[br]← ||<-4> '''[[동림로]]''' || || || ||<-4> '''[[후포로]]'''[br](신덕삼거리) || 신덕리[br]→ || || 신정마을[br]← ||<-4> '''[[신정로(부안)|신정로]]''' || || || 신리[br]← ||<-4> '''[[신리로]]'''[br](신리삼거리) || || ||<-6> '''대포교 (신리천)''' || ||||<-4><|3> '''[[줄포중앙로]]'''[br](줄포사거리) ||<|3> 우포리[br]→ || || [include(틀:노선번호/지방도, n=710)] || || [[줄포IC]][br]← || ||||<|3><-2> '''[[줄포길]]''' ||<-2><|3> '''서빈2길''' ||<|3> 줄포시장[br]→ || || [include(틀:노선번호/지방도, n=707)] || || [[부안군/행정#s-1.6|주산]][br]← || || [[부안군/행정#s-1.10|줄포]][br][[줄포IC]][br]← ||<-4> '''[[줄포용서길]]'''[br](줄포중삼거리) || || || 줄포농공단지[br]← ||<-2> '''농공단지길''' ||<-2> '''[[분탕골로]]''' || 후포마을[br]→ || ||<|4> [[부안군/행정#s-1.6|주산]][br]← ||<-2><|3> '''[[영전길]]''' ||<|3><-2> '''[[청자로(부안)|청자로]]''' |||| || [include(틀:노선번호/국도, n=30)] || ||<|2> [[부안군/행정#s-1.4|변산]][br]→ || ||<-4> (영전회전교차로) || ||<-6> '''남포 1,2교 (신창천)''' || || [[부안군/행정#s-1.6|주산]][br]← ||<-2> '''[[보안로]]''' ||<-2> '''[[남포로]]''' || [[부안군/행정#s-1.11|진서]][br]→ || || 유관마을[br]← ||<-4> '''유관길''' || || || [[부안군/행정#s-1.6|주산]][br]← ||<-4> '''[[종유로]]'''[br](유정삼거리) || || || 신흥마을[br]← ||<-4> '''사산서길''' || || || ||<-4> '''[[개암로]]'''[br](봉은삼거리) || [[개암사]][br]→ || ||<-6> '''회시교 (개암천)[br]우덕교 (내동천)''' || ||||<-2><|3> '''[[만석로]]''' ||<-2><|3> '''[[고인돌로]]''' |||| || [include(틀:노선번호/지방도, n=736)] || [include(틀:노선번호/지방도, n=736)] || ||<|2> [[부안군/행정#s-1.6|주산]][br]← ||<|2> [[부안군/행정#s-1.7|하서]][br]→ || ||<-4> (상서사거리) || ||<-6> '''고잔교 (주상천)[br]백석교 (소포천)''' || || 흥해마을[br]← ||<-4> '''[[주산북로]]''' || || ||<|2> [[정읍시|정읍]][br][[부안IC]][br]← ||<-2> '''[[순환남로]]''' ||<-2> '''[[순환북로]]''' ||<|2> [[부안군/행정#s-1.7|하서]][br][[부안군/행정#s-1.4|변산]][br]→ || ||<-4> (스포츠파크사거리W[* 동남쪽으로 약 3m 거리에 스포츠파크사거리E가 있다. ]) || || ||<-4> '''[[행안중앙로]]''' || 대초리[br]→ || ||<|2> [[정읍시|정읍]][br][[부안IC]][br]← ||<-2> '''[[매창로]]''' ||<-2> '''월륜길''' ||<|2> [[부안군/행정#s-1.8|행안]][br]→ || ||<-4> (행안초교사거리) || || [[부안군/행정#s-1.1|부안]][br][[부안군/행정#s-2.1|백산]][br]← ||<-4> '''[[오리정로]]'''[br](신기교차로) || || || [[부안예술회관]][br]↖ || [[번영로(부안)|번영로]] 지선 ||<-2><|2> (송정교차로·'''송정교''') ||<|2> '''[[변산로]]''' ||<|2> [[부안군/행정#s-1.7|하서]] || || [[부안군/행정#s-1.1|부안]][br]← || '''[[서문로(부안)|서문로]]''' || ||<-6> '''삼산교 ([[염소로]])''' || || [[부안군/행정#s-1.1|부안]][br]← ||<-4> '''[[한가메길]]'''[br](서림교차로·'''서림교''') || [[부안군/행정#s-1.2|계화]][br]부안농공단지[br]→ || ||<-6> '''신선교 ([[석정로(부안)|석정로]])''' || ||||<|3><-4> '''[[변산바다로]]'''[br](봉황교차로·'''봉황1,2교''') |||| || [include(틀:노선번호/국도, n=30)] || [include(틀:노선번호/국도, n=30)] || || [[부안IC]][br]← || [[부안군/행정#s-1.4|변산]][br]→ || || ||<-4> '''[[동진로(부안)|동진로]]'''[br](신농교차로·'''신농교''')[* 김제 방면 진입, 고창 방면 진출만 가능] || [[부안군/행정#s-1.2|계화]][br][[부안군/행정#s-1.3|동진]][br]→ || ||<|2> 장등리[br]← ||<-2> '''장등길[br]장등안길''' ||<-2> '''동전장신길[br]간척길''' ||<|2> 동전리[br]안성리[br]→ || ||<-4> (장등교차로) || ||<|2> [[부안군/행정#s-2.1|백산]][br][[부안IC]][br]← ||<-2> '''[[고마제로]]''' ||<-2> --[[새만금]] 내부도로-- ||<|2> --[[새만금]][br][[부안군/행정#s-1.2|계화]][br]→-- || ||<-4> (고마제교차로) || ||<-6> '''[[동진대교]] ([[동진강]])''' || ||<-6> '''[[월죽로]]와 직결 ([[김제시|김제]] 방면)''' || ||<-6> [include(틀:노선번호/국도, n=23)] || ||<-6>|| === 대체도로 === 부안군 구간에서만 이 도로와 평행하게 달리는 도로가 3개나 된다. *[[선돌로]] [[707번 지방도]]로, 부안로의 바로 동쪽에서 평행하게 줄포에서 부안읍까지 이어주는 도로. 특히 보안면에서 줄포면 사이의 구간에서는 400m 정도까지 붙는 등 매우 가깝다. 다만 이쪽 도로는 선형이 좋지 못해 많이 이용하지는 않는다. *[[서해안고속도로]] [[선운산IC]] - [[부안IC]] 구간 선돌로 바로 동쪽에 있는 고속도로. 부안로의 부안 - 고창 간 이동 수요는 이 도로가 다 뺏어먹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다만 부안 - 줄포 등 부안 내부를 이동하는 수요는 부안로와 나누어 차지하고 있다. *[[부월길]] - [[신죽로]] - [[덕신로]] [[747번 지방도]]로, 서해안고속도로와 조금 떨어져서 김제평야 서쪽을 관통한다. 다만 이 쪽은 도로는 완벽한 직선이나 일부 구간 왕복 1차선이라는 낮은 사양, 줄포와 부안읍에서 멀리 떨어져 있는 등의 위치 때문에 거의 이용객이 없다시피하다. *[[변산로]] - [[부창대교]] [[부창대교]]가 개통했을 때, 고창 - 부안을 이동할 때 사용할 수 있는 제 3의 경로. 그러나 착공 확정도 되지 않은 부창대교 덕분에 조만간은 볼 수도 없을 듯. === [[대중교통]] === ==== [[시내버스]] ==== *[[부안군 농어촌버스]] *[[고창군 농어촌버스]] 두 농어촌버스는 군 경계의 신덕 정류장에서 환승이 가능하다. 참고로 신덕 정류장은 총 3개가 따로 떨어져 있는데, [[후포로]] 상에 2개, 그리고 [[부안로]]의 신덕삼거리 직후에 1개가 있다. 그리고 모든 정류장에서 둘 사이의 환승이 가능하다(...) === 교통량 === ||<-8> [[23번 국도|{{{#FFFFFF '''23번 국도'''}}}]] || || 구간 || 지점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 [[전북]] [[고창군]] || [[고창군/행정#s-2.1|흥덕면]] 신덕리 || 2,401 || 2,543 || 2,717 || 2,913 || '''2,693''' || ||<|4> [[전북]] [[부안군]] || [[부안군/행정#s-1.10|줄포면]] 줄포리 || 5,553 || 5,228 || 5,528 || 5,528* || '''7,564''' || || [[부안군/행정#s-1.9|보안면]] 남포리 || 4,246 || 3,879 || 3,879* || 5,476 || '''5,476'''* || || [[부안군/행정#s-1.5|상서면]] 고잔리 || 6,624 || 6,475 || 6,898 || 7,397 || '''7,286''' || || [[부안군/행정#s-1.3|동진면]] 장등리 || 12,796 || 12,989 || 13,292 || 14,096 || '''13,966''' || * 단위는 대/24시간. 별표는 교통량을 계측하지 않은 해이다. * 고창군과 부안군을 잇는 흥덕 - 줄포 구간은 [[서해안고속도로]]와 선형이 거의 일치하는데, 이 때문에 이용객도 거의 없는 편. 그러나 선형은 상당히 좋은 편으로, 가끔씩 나오는 교차로도 개량되어 있다. 고개를 오르내리는 구간이 있는 것이 흠. 확장 공사 계획에서도 이 구간은 선형을 거의 그대로 유지하며 4차선으로 확장할 계획이라고 한다. * 부안군 내의 2차선 구간인 줄포 - 부안 구간은 부안읍과 상서, 보안, 줄포면을 연결하는 도로로 2차선 도로 치고는 상당한 수요를 가지고 있다. 어찌 보면 흥덕 - 줄포 구간과는 별 상관이 없는 도로로, 이 구간을 이용하는 차량들은 대부분 부안군 내에서 이동하기 위한 차량들이다. * 부안읍 이후의 4차선 구간은 [[부안IC]]와 함께 부안군의 실질적인 관문으로, 부안IC가 전라북도 밖에서 온 차량들이 부안에 진입하는 관문이라면 이 구간은 전라북도 내에서 부안군으로 진입하는 대표적인 길이다. 따라서 소도시와 군을 연결하는 도로 치고는 교통량이 상당하다. 비교하자면, 이 구간의 교통량보다 김제 - 익산을 연결하는 거의 유일한 길인 [[하공로]]의 교통량이 조금 더 많은 수준. 그렇기에 일찌감치 4차선으로 확장된 구간이기도 하다. === 주요 시설 === *고창군산림조합 조경수유통센터:부안로 448 *줄포시장:부안로 865 *[[줄포중학교]]:부안로 938 *부안보안우체국:부안로 1134 *[[부안경찰서]] 보안파출소:부안로 1154 *[[영전초등학교]]:부안로 1158 *남부안농협:부안로 1197 *[[정유재란]] 호벌치전적지, 사당:부안로 1521 *[[부안원숭이학교]]:부안로 1783 *[[우덕초등학교]]:부안로 1971 *부안중앙농협 본점:부안로 1989 *부안경찰서 상서파출소:부안로 1991 *상서면사무소/상서의용소방대/부안보건소 상서보건지소/개암작은도서관:부안로 2001 *부안상서우체국:부안로 2004 === 기타 === 이 도로의 2차선 구간의 확장은 매년 국회의원, 도의원, 군의원, 군수 등(...) 대부분의 선거를 치를 때 거의 모든 후보가 공약으로 내세웠던 사업이기도 하다. 그렇게 계획만 있는 상태로 지속되다 [[2016년]] 드디어 제4차 국도차 국도·국대도 건설 5개년 계획에 포함되었다!!! 그리고 [[2018년]] 설계에 착수해 동년 환경영향평가를 받았다. 그런데 문제점이 있었으니, 확장안이 줄포면 구간을 제외하고는 '''단지 기존 국도를 확장하는 것뿐'''이었던 것이다. 부안로는 면소재지 3개[* 상서면, 보안면, 줄포면]를 지나는 등 마을이 바로 도로 옆에 있거나 근처인 경우가 많은데, 확장안대로라면 수많은 집이 헐리게 되는 것이었다. 그리고 유정삼거리 근처 3km에 신호등이 설치될 평면교차로가 7개나(...) 생기는 등 선형개량도 거의 되지 않는 것 때문에 지역민들로부터 반발이 있었다. [[http://www.ibuan.com/news/articleView.html?idxno=24235|#]] 다만 이 구간의 평균 교통량이 5천 명/일 선인데, 별로 많은 수준은 아니라서 지역민들이 요구하는 전 구간 우회도로 개설은 어렵다는 시선도 있다. 우선은 목포마을, 상서면소재지, 보안면소재지 구간의 추가적인 우회도로 개설이 확정되었다. 이 구간을 달리다 보면 정말 회전교차로가 많다는 사실을 느낄 수 있을 것이다. 우선 시점인 제하사거리부터 회전교차로이고, 영전회전교차로, 상서사거리를 거쳐 스포츠파크사거리W[* 짝이 되는 스포츠파크사거리E도 회전교차로이다.], 행안초교사거리, 신기교차로, 송정교차로[* 램프 하부 구간이 회전교차로이다. ] 등. [[분류:부안군의 도로]][[분류:23번 국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