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PYH2020092902510000500_P4.jpg]] [목차] == 개요 ==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쌍북리에서 2011년에 발견된 [[6세기|6]]~[[7세기]]경 백제의 [[목간]]. == 상세 == || [youtube(KWVaVmYolaA)] || 특이하게도 이 목간의 정체는 바로 '''[[구구단]]표'''다. 목간 자체는 2011년에 발견되었지만 5년 뒤인 2016년 1월에서야 정체를 알아냈는데 그전까지는 그저 단순히 액수나 물품 수량이 적혀진 표로 추측했었다. 목간에 적혀진 한자를 보면 [[九]]:[[八]][[十]][[一]], [[八]]:[[六]][[十]][[四]], [[七]]:[[卌]][[九]], [[六]]:[[卅]][[六]], [[五]]:[[廿]][[五]], [[四]]:[[十]][[六]]이 적혀 있는데, 이 : 기호는 한자가 아니고 [[반복 부호]]이다. [[소나무]]로 제작되어있고 모양은 끝부분이 [[직각삼각형]]으로 되어 있는데 손으로 쉽게 잡기 위한 모양이다. == 의의 == 이 목간이 발굴되기 이전까지 일본 측에서 구구단이 [[8세기]]에 [[중국]]에서 [[일본]]으로 전래되었다가 [[일제강점기]]때 다시 거꾸로 한반도로 전래되었다는 [[식민사관]]스러운 가설이 2000년대 초반에 유행했었는데[* 특히 2000년대 초반 일본에서 발굴된 구구단 관련 유적에 적혀진 [[如]]라는 글자가 등호로 쓰였다는 특징이 (九九如八十一) 8세기 중국 문헌과 동일해서 이 가설의 구체적인 근거가 되었다.][* 사실 [[광개토대왕릉비]]나 [[삼국사기]]의 기록에서도 알 수 있듯이 곱하기 셈법 자체는 알고 있었겠지만 목간 같은 명확한 증거가 없어서 이런 가설이 유행했었다.] 이 유물의 정체를 알아내면서 일본에서 전래되었다는 가설을 단번에 종식시켰다.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3409189&cid=58413&categoryId=58413|#]] [[https://blog.naver.com/naverschool/221198690175|#]] == 내용 == >{{{+2 [ruby(九, ruby=구)][ruby(〻, ruby=구)][ruby(八, ruby=팔)][ruby(十, ruby=십)][ruby(一, ruby=일)]}}} >{{{+2 [ruby(八, ruby=팔)][ruby(九, ruby=구)][ruby(七, ruby=칠)]□□}}} >{{{+2 [ruby(七, ruby=칠)][ruby(九, ruby=구)][ruby(六, ruby=육)][ruby(十, ruby=십)][ruby(三, ruby=삼)]}}} >{{{+2 □□□□□}}} >구구 팔십일 >팔구 칠십이 >칠구 육십삼 >육구 오십사 >---- >{{{+2 [ruby(八, ruby=팔)][ruby(〻, ruby=팔)][ruby(六, ruby=육)][ruby(十, ruby=십)][ruby(四, ruby=사)]}}} >{{{+2 [ruby(七, ruby=칠)][ruby(八, ruby=팔)][ruby(五, ruby=오)][ruby(十, ruby=십)][ruby(六, ruby=육)]}}} >{{{+2 [ruby(六, ruby=육)][ruby(八, ruby=팔)][ruby(卌, ruby=십)][ruby(八, ruby=팔)]}}} >{{{+2 [ruby(五, ruby=오)][ruby(八, ruby=팔)][ruby(卌, ruby=십)]}}} >팔팔 육십사 >칠팔 오십육 >육팔 사십팔 >오팔 사십 >---- >{{{+2 [ruby(七, ruby=칠)][ruby(〻, ruby=칠)][ruby(卌, ruby=십)][ruby(九, ruby=구)]}}} >{{{+2 [ruby(六, ruby=육)][ruby(七, ruby=칠)][ruby(卌, ruby=십)][ruby(二, ruby=이)]}}} >{{{+2 [ruby(五, ruby=오)]□[ruby(丗, ruby=삽)][ruby(五, ruby=오)]}}} >{{{+2 [ruby(四, ruby=사)][ruby(七, ruby=칠)][ruby(廿, ruby=입)][ruby(八, ruby=팔)]}}} >칠칠 사십구 >육칠 사십이 >오칠 삼십오 >사칠 이십팔 >---- >{{{+2 [ruby(六, ruby=육)][ruby(〻, ruby=육)][ruby(丗, ruby=삽)][ruby(六, ruby=육)]}}} >{{{+2 [ruby(五, ruby=오)]□[ruby(丗, ruby=삽)]}}} >{{{+2 [ruby(四, ruby=사)][ruby(六, ruby=육)][ruby(廿, ruby=입)]□}}} >{{{+2 □□□□}}} >육육 삼십육 >오육 삼십 >사육 이십사 >삼육 십팔 >---- >{{{+2 [ruby(五, ruby=오)][ruby(〻, ruby=오)][ruby(廿, ruby=입)][ruby(五, ruby=오)]}}} >{{{+2 [ruby(四, ruby=사)][ruby(五, ruby=오)][ruby(廿, ruby=입)]}}} >{{{+2 [ruby(三, ruby=삼)][ruby(五, ruby=오)][ruby(十, ruby=십)][ruby(五, ruby=오)]}}} >{{{+2 □□□}}} >오오 이십오 >사오 이십 >삼오 십오 >이오 십 >---- >{{{+2 [ruby(四, ruby=사)][ruby(〻, ruby=사)][ruby(十, ruby=십)][ruby(六, ruby=육)]}}} >{{{+2 [ruby(三, ruby=삼)][ruby(四, ruby=사)][ruby(十, ruby=십)][ruby(二, ruby=이)]}}} >{{{+2 [ruby(二, ruby=이)][ruby(四, ruby=사)][ruby(八, ruby=팔)]}}} >사사 십육 >삼사 십이 >이사 팔 >---- >{{{+2 □□□}}} >{{{+2 [ruby(二, ruby=이)][ruby(三, ruby=삼)][ruby(六, ruby=육)]}}} >삼삼 구 >이삼 육 >---- >{{{+2 [ruby(二, ruby=이)][ruby(〻, ruby=이)][ruby(四, ruby=사)]}}} >이이 사 >---- >{{{+2 □□□}}} > …… [[분류:백제의 도서]][[분류:간독]][[분류:부여군의 문화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