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부여)] [include(틀:부여)] [목차] == 개요 == 한국사의 고대 국가인 [[부여]]의 인물들에 대해 서술하는 문서. 부여를 조상으로 둔 [[고구려]], [[백제]] 측 기록이나 중국 정사 측에 기록된 부여의 기록이 남아있는 편이다. 하지만 [[가야]]보다도 알려진 인명이 없다. == 왕과 왕족 == '''[[부여/왕사]]''' 참조. * [[낙씨]]: 대소왕의 사촌동생. 부여의 왕족이었으나 대소왕 사후 고구려로 투항했다. 항목 참조. * [[위구태]]: [[후한서]]에 등장하는 부여 왕자. 항목 참조. == 관료 == * [[아란불]]: [[삼국유사]]에 기록된 인물로 해부루에게 가섭원(迦葉原)[* 위치미상. '가섭'이라는 단어는 석가모니의 10대 제자 중 하나인 두타제일을 일컫는 말인 점과 동부여의 실존여부도 논란이 있어 확실치 않다.]으로 천도할 것을 권했다. * [[위거]](位居): [[간위거왕]]과 [[마여왕]] 시기의 부여의 관료. 벼슬은 대사(大使). 대사가 되어서는 재물을 아끼지 않고 남에게 베풀기를 좋아해 국인(=귀족)들이 따랐다고 한다. 박대재 교수는 위거라는 인물이 일시적으로 부여의 왕이 되었다는 주장을 하기도 했지만, 부여의 사료가 너무 적고 삼국지 부여전의 서술이 뒤죽박죽이라 자세한 정황을 알기는 어렵다. * 위거의 계부: 이름은 불명. 그가 딴마음을 먹자 위거는 계부 부자를 죽이고 재산을 몰수해서 관청에 보냈다고 한다. == 고구려, 백제 관련 인물 == * 고구려 측 관련인물 * [[동명성왕]] * [[오이(고구려)]] * [[마리(고구려)]] * [[협보]] * [[예씨]]: 고구려 [[유리명왕]]의 어머니. 부여 출신이다. * [[옥지]]: 유리명왕과 함께 고구려로 망명했다. * [[구추]]: 유리명왕과 함께 고구려로 망명했다. * [[도조]]: 유리명왕과 함께 고구려로 망명했다. * [[부여태후]]: [[태조대왕]]의 어머니로 부여 사람으로 기록되어 있다. 즉위 당시 태조대왕의 나이가 어려서(7세) 수렴청정했다고 한다. [[부여태후]] 항목 참조.[* 다만 생전 실제 호칭이 부여태후였던 것은 아니고, 부여태후는 후대의 역사학자들이 그녀가 부여 출신 왕태후라는 점 때문에 임의적으로 붙인 호칭이다.] * [[염모(고구려)|염모]]: 모두루의 조부. 염모의 선조는 동명성왕 때 함께 남하한 부여인이라고 하며, 북부여 지방을 침공한 [[모용선비]]를 격퇴했다고 한다. * [[모두루]]: 북부여수사로 파견된 고구려인 관리. * 백제 측 관련인물 * [[해루]]: 백제의 개국공신. 기록상 확인되는 첫 해씨 인물이다. * [[우태]]: [[비류]] 시조설에 등장하는 부여의 왕족. 비류 시조설에 의하면 우태는 [[해부루]]의 서손으로, [[소서노]]와 결혼해 비류, 온조 두 아들을 두었지만 일찍 죽었다고 한다. * [[구태]]: 중국 측 기록에만 등장하는 백제의 시조. [[동명왕]]의 후손이라고 한다. == [[갈사국]] 관련인물 == * [[갈사왕]]: 본명은 알려지지 않았으며 금와왕의 막내 아들이라고 한다. 대소왕 사후 해두국을 공격해서 멸망시키고 갈사국을 건국한다. * 2대 국왕: 이름 미상. 도두왕이 갈사왕의 손자인 점을 미뤄보면, 갈사왕의 아들일 가능성이 있지만 확실치는 않다. * [[차비 해씨]]: 이름 미상. 삼국사기에 따르면 [[대무신왕]]의 둘째 왕비가 되어 [[호동왕자]]를 낳았다고 기술되어 있다. * [[도두왕]]: 갈사국의 3대 국왕이자 마지막 국왕. == [[광개토대왕릉비]]에 등장하는 동부여 인물 == '압로(鴨盧)'는 관직명으로 추정된다. * [[미구루압로]] * [[비사마압로]](卑斯麻鴨盧) * [[타사루압로]] * [[숙사사압로]] * ○○○鴨盧[* 비문의 글자가 마멸되어 해독이 불가능하다.] == 기타 == === 번외: 중국 북조에서 활약한 여(餘)씨 관련 인물 === 부여가 [[전연]]에 의해 멸망한 뒤에 주로 [[모용선비]] 세력 휘하에서 활동하는 인물들. 여호규, 강종훈 교수는 이들을 부여 유민으로 보았다.[* 출처는 여호규, 백제의 요서진출설 재검토: 4세기 후반 부여계 인물의 동향에 관련하여(2001), 강총훈, 4세기 백제의 요서 지역 진출과 그 배경.]다만 [[여울(부여)]]과 달리 확실하게 부여인으로 나오지 않았다. 다만 부여왕의 아들로 기록된 여울, 동이로 표현된 여화를 제외한 여씨 인물들은 부여계로 볼 수 있다는 견해가 있는 정도일 뿐이다. * [[여울(부여)]]: 항목 참조. * 여화(餘和): 생몰년도 미상.[[모용농]]이 한단 일대에서 군사를 모았을 때 호응했다. 칙륵과 함께 동이라고 언급한 점이 있어 선비족이 아닌 부여인으로 볼 여지가 있다. * 여암(餘巖) 형제: ? ~ 385년. 385년 7월 무읍에서 반란을 일으킨 뒤 요서로 넘어가 요서의 하구인 영지 일대에 거점을 잡았지만 동년 11월 [[모용농]]에게 패배하고 동생과 함께 참수당했다.[* 모용농은 이후 요동과 현도를 장악한 고구려를 공격하여 요동과 현도를 재탈환하게 된다. 단, 고구려가 요동을 완전히 상실하지 않고 지역 일부를 점거하고 있었다는 주장도 있다.] * 여숭(餘嵩): ? ~ 396년. 396년 후연에서 평규가 반란을 일으키자 진압하기 위해 파견되었지만 싸움에서 패배하고 사망한다. * 여숭(餘崇): ? ~ 398년. 위의 여숭의 아들. 후연의 외척이었던 난한에게 암살당한다. * 여초(餘超): ? ~ 399년. [[후연]]의 산기상시. [[모용성]]에게 역모죄로 399년에 처형당했다. * 여울(餘鬱): ? ~ 406년. [[남연]]에서 서중랑장을 지내다가 북위로 달아났던 봉연의 공격을 받고 사망한다. * 여치(餘熾): 생몰년도 미상. [[남연]]의 인물. 지위는 수강공에 이르렀으며 단풍의 과부인 모용씨를 아내로 맞이했는데 두 남편을 섬길 수 없던 모용씨는 자살로 생을 마감했다고 한다. 이들은 대부분 모용씨가 건국한 후연과 남연에서 관료 생활을 했다. 이중 여암의 반란에 대한 견해 중에서는 중국에서 벗어나 부여로 달아나려던게 아닌가하는 주장도 있다.[* 출처: 위진남북조시기 중국의 코리안 디아스포라-고조선・고구려・부여계 이주민 집단 연구] [각주] [[분류:부여의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