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fff {{{+1 부채머리새}}}(투라코)[br]Turaco}}}'''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Tauraco persa.jpg|width=100%]]}}} || || [[학명|{{{#000 '''학명'''}}}]] || ''' ''Musophagidae'' '''[br](Lesson, 1828) || ||<-2> {{{#000 '''분류'''}}} || || [[생물 분류 단계#계|{{{#000 '''계'''}}}]] ||[[동물|동물계]](Animalia) || || [[생물 분류 단계#문|{{{#000 '''문'''}}}]] ||[[척삭동물문]](Chordata) || || [[생물 분류 단계#강|{{{#000 '''강'''}}}]] ||조강(Aves) || || [[생물 분류 단계#목|{{{#000 '''목'''}}}]] ||부채머리목(Musophagiformes) || || [[생물 분류 단계#과|{{{#000 '''과'''}}}]] ||부채머리과(Musophagidae) || [목차] [clearfix] == 개요 == 부채머리새는 부채머리목 부채머리과에 속하는 아프리카에 서식하는 조류들을 말한다. go-away bird와 Turaco를 포함하고 있는 집단은 총 21종으로 구성되어 있다. == 생김새 == 발 모양이 대지족과 삼전지족의 중간이다. 즉, 4번째 발가락은 회전이 가능하지만 [[쥐새]]와는 달리 1번째 발가락은 고정되어 있다. 대다수의 새의 깃털이 빛에 반사되어 화려한 색깔을 띄는 반면, 부채머리새는 깃털에 진짜 색소를 가지고 있다. == 생태 == [[앵무새]], [[호아친]]과 마찬가지로 [[초식동물|초식성]] 조류며 주로 과일을 먹는다. 아프리카 사람들은 부채머리새의 깃털과 고기를 얻기 위해 부채머리새를 사냥한다. 21종 중 가장 큰 부채머리새는 큰청투라코 (큰파랑투라코 또는 관머리부채머리새)라고도 한다. 새끼는 호아친처럼 나무에 오르기 위한 날개 발톱이 있다. == 분류 개정 == 이전까지는 두견이목 (Cuculiformes)의 부채머리과로 분류하였지만, 현대에 와서 두견이목에서 떨어져 나온 신종 분류군으로 두견이목에는 두견이과 1과만 남게 되었다. 하지만 그 전의 상의 단계까지는 두견이목과 같은 위치에 속하며, 이 집단은 부채머리목, 호아친목, 두견이목 이렇게 3목을 포함하고 있다. == 창작물에서 == [[3rd & Bird]]에서 미혼인 암컷 투라코인 투라코 아가씨가 주역이 아니지만 보조역으로 등장한다. 영어로는 Missy라고 한다. [[분류:부채머리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