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폐선)] [[파일:부일96-1번_그린시티.jpg|width=900]] [목차] == 노선 정보 == ||<-6><:> [[파일:부천시 BI_White.svg|width=35]] {{{#ffffff 부천시 일반시내버스 96-1번}}}|| ||<-2><:>기점||<:>경기도 부천시 상동(송내역)||<-2><:>종점||<:>인천광역시 부평구 삼산동(서해그랑블)|| ||<|2><:>종점행||<:>첫차||<:>05:35||<|2><:>기점행||<:>첫차||<:>04:50|| ||<:>막차||<:>23:30||<:>막차||<:>23:15|| ||<-2><:>평일배차||<:>출퇴근 12분/평시 15분||<-2><:>주말배차||<:>15~20분|| ||<-2><:>운수사명||<:>[[부일교통(부천)|부일교통]]||<-2><:>인가대수||<:>4대(예비 1대)|| ||<-2><:>노선||<-4><:>송내북부역 - 부인초교 - 부천정보산업고 - 상일고 - 부개주공6단지 - 삼부.한신아파트 → 삼산월드체육관 → 삼산타운6단지 → 부평역사박물관 → 서해그랑블 → 한국만화박물관 → 삼부.한신아파트 → 이후 역순|| == 개요 == 부일교통에서 운행했던 시내버스 노선. [[http://map.naver.com/?busId=7001&enc=b64|전체 정류장 목록]] == 역사 == * 2013년 5월 10일에 [[부천 버스 96|96번]]에서 수요가 적은 '송내역 - 삼산2동' 구간을 분리신설했다. 이 때는 [[소신여객]]에서 운행했다. ~~근데 96번도 수요 없어서 불법감차하잖아? 안될꺼야~~ [[https://twitter.com/cjnckd1/status/332351510551879680|관련 트윗]] * 2015년 12월에 모든 차량이 [[현대 카운티]]로 교체되었으며, 기존 NEW BS090은 예비차로 교체되었다. * 2016년 4월 18일에 폐선이 예정되어 있다는 공지문이 차량에 붙었다. [[http://www.sosinbus.co.kr/index//bbs/board.php?bo_table=comm_01&wr_id=29|소신여객 공지사항]] * 2016년 7월 1일에 운수업체가 [[소신여객]]에서 [[부일교통(부천)|부일교통]]으로 바뀌었다. [[소신여객]]에도 공지사항이 올라왔는데, 폐선된 걸로 써놓았다. [[http://www.sosinbus.co.kr/index/bbs/board.php?bo_table=comm_01&wr_id=31|소신여객 공지사항]] 이관과 동시에 차량은 [[현대 카운티]]에서 [[현대 그린시티]]로 교체되었다. 당시 굴리던 카운티 차량은 소신 33번에서 운행하다가, [[시흥교통]]으로 넘어갔다. * 배차 불편민원으로 인하여 2017년 6월 28일에 1대가 증차되었고 배차간격이 5분 정도 줄었다.[* 6620호, 현대 그린시티] * 2017년 12월 30일에 적자와 수요부족으로 폐선되었다. == 특징 == * '삼산체육관 → 한국만화박물관' 구간은 편도 구간이라 이용에 주의. * 휴식은 송내역 근처나 [[소신여객]] 상동차고지에서 했었다. * 배차가 별로 좋은 편은 아니지만, 마을버스로 운행해도 될 거리라 적은 차량으로 운행하고 있었다. 보통 1대로 운행하며, 어떤 때는 2대로 운행하다가, 또 어떤 때는 아예 운행을 안 하기도 했다. * 부천시 소속 노선 중에서 [[부천 버스 16|16번]], [[부천 버스 53|53번]]과 함께 인천 부평구 삼산동으로 나가는 노선이었다. [* 부천 구간보다 인천 구간이 더 긴 [[부천 버스 88|88번]]의 경우를 제외하면 구산동([[부천 버스 20|20번]])만 살짝 훑거나 인천이 바로 코 앞인 송내역이나 상동/대장동을 기점으로 삼는다.] * 부개동(부개주공 3단지)에서 상동, 송내역환승센터로 이동하기 적합한 노선이었다. [* 특히 저녁시간대에 수요가 많지는 않아서 부개, 상동 구간은 거의 공기수송이었고, 인천버스로 따지면 인천e음버스 수요보다는 나은 편이다.] * 노선 자체의 굴곡도 크지 않고 정체구간도 많이 없어서 [[송내역]]까지 빨리 갈 수 있었다.[* [[인천 버스 37]]과 [[인천 버스 87]]은 상습정체 구간([[상동역(부천)|상동역]], 부천시청)을 지나고 상동택지지구로 돌아서 가므로 96-1번보다 오래 걸린다. 그리고 결정적으로 송내역환승센터가 아니라 지하차도 옆에서 정차한다.] 그러나 중복노선이 많고 배차간격도 길고 수요가 될 만한 곳을 다 비껴 가 메리트가 없어 차라리 다른 노선을 타고 송내역이나 [[부개역]], [[부평역]]으로 가는 게 속 편하다. 평일 낮 시간대는 운이 없으면 배차가 '''50분'''까지 벌어졌었다. ~~흔한 부천군의 농어촌버스~~ 실제로 출퇴근시간을 빼면 버스를 전세낸 기분. [[부일교통(부천)|부일교통]]으로 이관되고 나선 배차간격이 그럭저럭 유지되고 있었다. == 연계 철도역 == * [[파일:Seoulmetro1_icon.svg|width=20]] [[수도권 전철 1호선]] : [[송내역]] * [[파일:Seoulmetro7_icon.svg|width=20]] [[서울 지하철 7호선]] : [[삼산체육관역]] [[분류:부천시 시내버스]][[분류:2013년 개업한 버스 노선]][[분류:2017년 폐지된 버스 노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