夫淸河 [[1943년]] [[9월 1일]] ~ ([age(1943-09-01)]세) [목차] == 개요 == [[대한민국]]의 사회기관단체인, [[정치인]]이다. 본관은 [[제주 부씨|제주]](濟州)[* 열공계(悅公系) 20세 하(河) 항렬.]이다. == 생애 == 1943년 9월 1일 [[전라남도]] [[제주도]] [[조천읍|조천면]](現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조천읍]]) 선흘리에서 아버지 부사림(夫仕琳, 1917. 10. 5 ~ 1948. 10. 26)[* 제주부씨족보 권2 361쪽에는 夫仕'''{{{+1 林}}}'''으로 등재되어 있다.]과 어머니 [[순흥 안씨]] 안인수(安仁洙, 1923. 3. 20 ~ 2007. 12. 1)[* 안성오(安成五)의 딸이다.] 사이의 1남 1녀 중 [[외아들]]로 [[http://www.jejusori.net/news/articleView.html?idxno=1718|태어났다]]. 외도국민학교, 귀일중학교, [[제주제일고등학교]], [[중앙대학교]] [[사회사업학과]]를 졸업하고 어느 대학교 [[대학원]]에서 [[석사]] 과정을 수료했다. 6살 되던 1948년 [[제주 4.3 사건]] 당시 아버지가 외출한 뒤 고향 마을 몇 사람과 함께 어느 굴에 피신했다가 1948년 10월 26일[* 양력 11월 26일] 토벌대의 손에 [[http://www.jejusori.net/news/articleView.html?idxno=318531|변을 당했고]], 그 또한 토벌대를 피해 마을에 있는 어느 굴에서 3일간 숨어 있었다. 외조부 안성오(安成五)가 아버지의 시신을 수습했고, 외조모와 함께 친조모 [[광산 김씨]](1875. 12. 1 ~ ?. 1. 28)[* 김승영(金承永)의 딸이다.]의 집안 사람으로서 [[순경]]으로 근무하던 '김 순경'을 찾아 [[구좌읍|구좌면]] 김녕리로 갔다. 그러나 그로부터 '폭도들은 여기에 있을 수 없다'는 말을 듣고 조천면 북촌리로 가서 외조모의 손에서 자라났다. 이후 인근 동복리에서 공비들의 기습으로 토벌대 소속 군인 2명이 전사했고, 이에 대한 보복으로 1949년 1월 17일 조천면 북촌리에서 마을 주민 300여 명이 학살당한 '[[https://jeju43peace.or.kr/kor/sub01_06_01_04.do|북촌사건]]'이 벌어졌다. 이때 그 또한 '너븐숭이' 근처 밭으로 끌려나갔으나 토벌대가 총살형을 집행하던 순간에 외조모가 치맛자락에 그를 숨겼고, 때마침 사격중지 명령이 떨어져 [[구사일생]]으로 살아났다. 이튿날 군인들의 지시로 조천면 함덕리로 갔다가 그 사이 어머니가 [[박씨]] 집안으로 [[재혼|개가]]했기 때문에 제주보육원[* [[제주시]] [[이도동(제주시)|이도일동]] [[삼성혈]] 근처, [[용담동(제주시)|용담동]], [[화북동]], [[외도동]] 등지에 있었다.]에 보내졌고, 이곳에서 12년간 [[http://www.sangrokwon.or.kr/pds/index.php?uid=25&fid=-25&mode=view&boardid=walfare&sfield=&keywd=&orderby=&page=1|생활했다]]. 중앙대학교 졸업 후 1972년 11월부터 1979년 4월까지 사회복지법인 [[홀트아동복지회]] 회장을 지냈고, 1973년 2월 28일부터 1981년 1월 18일까지 제4·5·6·7대 [[한국사회복지사협회|한국사회사업가협회]](現 [[한국사회복지사협회]]) 회장을 [[https://www.welfare.net/welfare/cm/cntnts/cntntsView.do?mi=1091&cntntsId=1056|역임했다]]. 1976년에는 [[서울특별시]] [[관악구]] [[남현동(관악구)|남현동]]에 있는 사회복지법인 상록보육원 [[대표이사]] 겸 원장에 [[http://www.sangrokwon.or.kr/pds/index.php?uid=25&fid=-25&mode=view&boardid=walfare&sfield=&keywd=&orderby=&page=1|취임해]] 현재에 이른다. 1978년 [[제1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무소속]] 후보로 제주도 제주시·북제주군·남제주군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민주공화당]] [[현오봉]] 후보와 무소속 [[변정일]]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2004년 [[제1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무소속]] 후보로 제주시·북제주군 을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열린우리당]] [[김우남]]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분류:대한민국의 남성 정치인]][[분류:대한민국의 사회복지사]][[분류:제주 부씨]][[분류:제주시 출신 인물]][[분류:1943년 출생]][[분류:제주제일고등학교 출신]][[분류:중앙대학교 출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