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미개통)] ||<-6><)>{{{#!wiki style="margin: -0px -5px;" [[싱가포르 MRT|[[파일:싱가포르 MRT 로고.svg|height=50&align=left]]]]}}}[[싱가포르 MRT|{{{#facb29 싱가포르 MRT}}}]][br]{{{#fff '''{{{+2 부킷브라운}}}'''}}}|| ||<:><-2> --[[싱가포르 MRT 서클선|{{{-2 {{{#585858 외선순환}}}}}}]][br][[칼데콧역|칼데콧]][br]← ㎞--||<-2><:>[[싱가포르 MRT 서클선|{{{#ffffff 서클선[br]{{{-2 (CC18)}}}}}}[br]{{{-2 {{{#ff0000 (미개통)}}}}}}]]||<:><-2>--[[싱가포르 MRT 서클선|{{{-2 {{{#585858 내선순환}}}}}}]][br][[보타닉가든역|보타닉가든]][br] ㎞ →--|| ||<-6> [include(틀:지도, 장소=Bukit Brown MRT Station, 너비=100%, 높이=300px)] || ||<-6> {{{#fff '''다국어 표기'''}}} || ||<-2> 영어 ||<-4> Bukit Brown || ||<-2> 중국어(간체) ||<-4> 武吉布朗 || ||<-2> 타밀어 ||<-4> புக்கிட் பிரவுன் || ||<-6> {{{#fff '''주소'''}}} || ||<-6> 490 Jalan Mashhor[br]Singapore 299176 || ||<-6> {{{#fff '''승강장 구조'''}}} || ||<-6> 복선 [[상대식 승강장]] || ||<-6> {{{#fff '''운영 기관'''}}} || ||<-6> [[SMRT#s-2.1|SMRT Trains]] || ||<-6> {{{#fff '''개업일'''}}} || ||<-6> 미상 || [목차] [clearfix] == 개요 == 부킷브라운역은 MRT 서클선의 미개통역으로, 역번호는 CC18이 될 예정이다. == 상세 == 연장구간을 제외한 현재 서클선상의 유일한 미개통역으로, 현재 역의 콘크리트 구조물만 완성되어 있고 출구 및 내부 설비는 시공되지 않은 상태이다. 역 건설 계획은 서클선의 타 역들과 마찬가지로 2005년을 전후로 최종적으로 확정되었으나, 주변 지역의 개발이 미비한 상태로 완공 및 개통이 미루어지고 있다. 역 주변은 부킷 브라운 공동묘지가 위치한 곳으로, 무려 싱가포르 최초의 화교 공동묘지이다. 공동묘지에 죽은 사람을 매장하는 것은 당시 싱가포르 화교들에게는 생소한 개념이었음에도 불구하고 굉장히 빨리 받아들였고, 1920년대 초반에 첫 매장이 이루어진 이후 약 20년만에 포화상태에 도달했으며, 이 이후에도 맡아놓은 묏자리가 있으면 매장은 계속 할 수 있었다. 그리고 1970년대에 들어서며 신규 매장도 중단했다. 지금도 매년 청명절 등의 시기에 가족이나 후손들이 와서 벌초 및 묘지 청소를 하며, 이들 중 일부는 이 일대에 지하철역 건설과 부동산 개발 계획이 발표되었을 당시에 도로가 공동묘지 부지를 관통한다는 소식을 듣고 반대시위를 하기도 했었다. 2024년 기준으로도 개발 진척이 없으며, 역 주변은 말 그대로 허허벌판이다. 근처에 위치한 것은 좁은 길을 따라 무덤이 곳곳에 위치한 숲속 공동묘지와 단독주택 몇 채 정도가 전부고, 역 관련 시설물이라고는 역 출구 구조물과 터널과 이어지는 비상용 계단 출구가 끝이다. 역 위를 지나가는 도로도 고작 왕복 2차선인데, 차후 역 개통을 전후로 도로가 확장될지는 두고 볼 일. === MRT 서클선 === 상대식 승강장의 구조를 취하고 있으며, 승강장이 있는 외측 2선의 가운데에 벽으로 가로막힌 유치선이 있다. == 버스 연계노선 == [[분류:싱가포르의 철도역]][[분류:2026년 개업 예정인 철도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