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미공개, this=문서는, 대상=플레이어블 캐릭터, 주제=베타 버전의 정보, 회사=miHoYo 및 HoYoverse)] [include(틀:붕괴: 스타레일 플레이어블 캐릭터)] ||<-2>
{{{#!wiki style="border-bottom:5px solid #B19872; margin: -5px -10px; padding: 3px 5px;" {{{#B19872 '''{{{+1 부트힐}}}'''[br]Boothill}}}}}}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스타레일_부트힐.png|width=100%]]}}} || || '''이름''' ||부트힐 || || '''성별''' ||남성 || || '''소속''' ||[[갤럭시 레인저]] || || '''속성''' ||[include(틀:물리 속성)] 물리 || || '''운명의 길''' ||[include(틀:운명의 길 수렵)] 수렵 || || '''언어별 표기'''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부트힐[br][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Boothill[br][include(틀:국기, 국명=중국, 출력= )][ruby(波提歐, ruby=bōtíōu)][br][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ブートヒル || || '''성우'''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김단(성우)|김단]][* [[원신]]의 세자르, 쥐리에를 담당함.][br][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앤드루 러셀]][* [[원신]]의 [[아이드]]를 담당함.][br][include(틀:국기, 국명=중국, 출력= )] [[기향천외 #펑보(彭博, 팽박)|펑보]][* [[붕괴: 스타레일]]에서 [[웰트(붕괴: 스타레일)|웰트]]와 중복. [[원신]]에서는 [[종려]]를, [[붕괴3rd]]에서는 지크프리트 카스라나를 담당함.][br][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코니시 카츠유키]] || [목차] [clearfix] == 개요 == [[파일:부트힐 캐릭터 카드.jpg]] {{{#!wiki style="width: 100%; max-width: 1000px; margin: 5px -5px 0px 0px; padding: 0px; border: 2px #B19872 dashed; border-left: 5px solid #B19872;" ||'''「이렇게 설명해 주지. 내 공감각 비콘은 개조됐어. 아무튼 너흰 내가 이 사랑스러운 베이비들과 이렇게 대화하는 것밖에 못 들을 거야. 베이비, 베이비, 베이비! 봤지?」''' 은하를 떠도는 개조 인간 카우보이. 극도로 낙관적이고 자유분방하다. 「갤럭시 레인저」의 일원으로, 악을 처단하기 위해서라면 무슨 짓이든 할 수 있다 그의 대담한 행동은 복수의 대상인 「스타피스 컴퍼니」의 이목을 끌기 위함이다.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1 《[[붕괴: 스타레일]]》 공식 홈페이지 캐릭터 소개}}}}}}|| }}} 《[[붕괴: 스타레일]]》의 등장 캐릭터. == 관련 매체 == === HoYoLAB === ## '관련 매체'는 HoYoLAB 스타레일 홈페이지 내 공식 게시글을 이용하며 게시글의 작성 일자 순으로 나열합니다. * [[https://www.hoyolab.com/article/25874939|[[파일:HoYoLAB 로고.jpg|width=25]]「천외 위성 통신」 부트힐]] * [[https://www.hoyolab.com/article/|[[파일:HoYoLAB 로고.jpg|width=25]]캐릭터 소개 | 부트힐]] * [[https://www.hoyolab.com/article/|[[파일:HoYoLAB 로고.jpg|width=25]]캐릭터 프리뷰 | 부트힐]] === 소개 동영상 === ## '소개 동영상'은 공식 유튜브 '캐릭터 PV'와 '은하탐구생활'을 첨부합니다. 해당하는 영상 링크에 관해서는 각국의 공식 유튜브를 참조해 첨부해주세요. ## 한국어 - https://www.youtube.com/@Honkaistarrail_kr ## 일본어 - https://www.youtube.com/@Houkaistarrail_jp ## 중국어 - https://www.youtube.com/@HonkaiStarRail_ZH ## 영어 - https://www.youtube.com/@HonkaiStarRail ||
'''부트힐 캐릭터 PV「」'''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PV주소)]}}} || ||유튜브 동영상 소개 스크립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wiki style="min-width: 100px; display:inline-table;" {{{#!folding [ JP ] {{{#!wiki style="margin:-10px -1px"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PV주소)]}}} || }}}}}}}}}{{{#!wiki style="min-width: 100px; display:inline-table;" {{{#!folding [ CN ] {{{#!wiki style="margin:-10px -1px"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PV주소)]}}} || }}}}}}}}}{{{#!wiki style="min-width: 100px; display:inline-table;" {{{#!folding [ EN ] {{{#!wiki style="margin:-10px -1px"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PV주소)]}}} || }}}}}}}}} }}} || ||
'''은하탐구생활「부트힐: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PV주소)]}}} || ||유튜브 동영상 소개 스크립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wiki style="min-width: 100px; display:inline-table;" {{{#!folding [ JP ] {{{#!wiki style="margin:-10px -1px"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PV주소)]}}} || }}}}}}}}}{{{#!wiki style="min-width: 100px; display:inline-table;" {{{#!folding [ CN ] {{{#!wiki style="margin:-10px -1px"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N-PV주소)]}}} || }}}}}}}}}{{{#!wiki style="min-width: 100px; display:inline-table;" {{{#!folding [ EN ] {{{#!wiki style="margin:-10px -1px"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PV주소)]}}} || }}}}}}}}} }}} || == 인게임 정보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width: 100%; max-width: 450px; float:left" [[파일:스타레일_부트힐.png|width=100%]]}}}[include(틀:붕괴: 스타레일/인게임 정보, 5성=, 물리=, 수렵=, 캐릭터=부트힐, 문서명=부트힐, 소속=갤럭시 레인저, 출시=2024/05/29, 한정=, 캐릭터 소개=은하를 떠도는 개조 인간 카우보이. 극도로 낙관적이고 자유분방하다.
「갤럭시 레인저」의 일원으로\, 악을 처단하기 위해서라면 무슨 짓이든 할 수 있다
그의 대담한 행동은 복수의 대상인 「스타피스 컴퍼니」의 이목을 끌기 위함이다, )] [clearfix] === 속성 === ## 캐릭터 스펙은 출시 이전부터 데이터 언팩 사이트를 통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정식 출시 전, 해당 데이터를 참고하여 기재하는 것은 자유입니다. ## 하지만 캐릭터 최종 스펙은 출시 이후 변경될 수 있으므로 정식 업데이트 이후에는 ## 호요위키(https://wiki.hoyolab.com/pc/hsr/aggregate/character) 데이터를 기준으로 하는 것을 원칙으로 합니다. ## 해당 위키의 캐릭터 페이지의 '승급' 란을 확인하면 기초 HP, 기초 공격력, 기초 방어력 등의 수치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수치값은 소수점 단위로 나오기 때문에 정보 사이트마다 1정도 값이 차이나는 경우가 있습니다. 가급적 호요위키 공식 수치를 기재하는 것을 원칙으로 합니다. {{{#!wiki style="word-break:keep-all; letter-spacing: -1px" ||
'''승급''' || '''레벨''' || [[파일:스타레일_HP 아이콘.webp|width=28]] '''HP''' || [[파일:스타레일_공격력 아이콘.webp|width=28]] '''공격력''' || [[파일:스타레일_방어력 아이콘.webp|width=28]] '''방어력''' || [[파일:스타레일_속도 아이콘.webp|width=28]] '''속도''' || ||<|2> 0 || 1 || 164 || 84 || 59 ||<|14> 107 || ||<|2> 20 || 319 || 165 || 116 || ||<|2> 1 || 385 || 199 || 140 || ||<|2> 30 || 466 || 241 || 169 || ||<|2> 2 || 532 || 275 || 193 || ||<|2> 40 || 614 || 317 || 223 || ||<|2> 3 || 679 || 351 || 247 || ||<|2> 50 || 761 || 393 || 276 || ||<|2> 4 || 827 || 427 || 300 || ||<|2> 60 || 908 || 469 || 330 || ||<|2> 5 || 974 || 503 || 353 || ||<|2> 70 || 1056 || 545 || 383 || ||<|2> 6 || 1121 || 579 || 407 || || 80 || 1203 || 621 || 437 || }}} ==== 승급 재료 ==== [include(틀:붕괴: 스타레일/육성 재료, 승급=, 5성=, 승급재료=스타피스 사원증, 강화재료1=생각의 가루, 강화재료2=인상의 파편, 강화재료3=욕망의 거울 조각)] === 행적 === [include(틀:붕괴: 스타레일/육성 재료, 행적=, 5성=, 행적고급재료=공동의 염원의 유음, 강화재료1=생각의 가루, 강화재료2=인상의 파편, 강화재료3=욕망의 거울 조각, 행적재료1=운철 탄환, 행적재료2=숙명적인 사인, 행적재료3=시간을 역행하는 일격, 추가능력1=캐릭터 추가 능력1, 추가능력2=캐릭터 추가 능력2, 추가능력3=캐릭터 추가 능력3)] ==== 일반 공격: 두개골을 부수는 발굽 ====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100%; background: #425483; color:#ffffff; font-size: .8em; letter-spacing: -1px; " 일반 공격}}}[[파일:부트힐_일반 공격.png|width=100%]] ||<^|1>'''{{{+1 두개골을 부수는 발굽}}}'''[br]{{{#F19D38 [단일 공격]}}} || ||<-2>지정된 단일 적에게 부트힐 공격력 {{{#F19D38 n%}}}만큼의 물리 속성 피해를 준다 || ||
'''레벨''' || 일반 공격 피해 || || '''Lv.1''' || 50% || || '''Lv.2''' || 60% || || '''Lv.3''' || 70% || || '''Lv.4''' || 80% || || '''Lv.5''' || 90% || || '''Lv.6''' || 100% || || '''Lv.7''' || 110% || ## 일반 공격 레벨은 더미 데이터 상으론 9까지 존재하지만, 인게임에서 찍을 수 있는 7까지 표기하는 것을 원칙으로 합니다. ## 테이블 넓이는 모바일 가독성과 PC 가독성을 둘다 고려한 수치입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빈 정사각형 이미지.svg|width=100%]]}}} || || '''두개골을 부수는 발굽''' || ## 캐릭터 모션 움짤은 호요위키(https://wiki.hoyolab.com/pc/hsr/aggregate/character)에서 획득 가능합니다. ## '행적'란에 일반 공격/전투 스킬/필살기 등을 클릭하면 GIF 파일을 구할 수 있습니다. ##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할 수 없다면, 크롬 기준 '개발자 도구(F12)-Settings-Disable JavaScript' 옵션을 활성화하면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일반 공격 대사)''' ===== 리볼버 패닝 =====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100%; background: #425483; color:#ffffff; font-size: .8em; letter-spacing: -1px; " 일반 공격}}}[[파일:부트힐_일반 공격 강화.png|width=100%]] ||<^|1>'''{{{+1 리볼버 패닝}}}'''[br]{{{#F19D38 [단일 공격]}}} || ||<-2>지정된 단일 적에게 부트힐 공격력의 {{{#F19D38 n%}}}만큼 물리 속성 피해를 가한다. 강화된 일반 공격은 전투 스킬 포인트를 회복할 수 없으며, [목숨 건 대치] 상태의 적만을 목표로 삼을 수 있다 || ## 데이터 언팩 사이트 등지에서는 고정 계수도 {{{#F19D38 주황색}}}으로 강조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지속 시간 등) ## 고정 계수는 강조하지 않습니다. 기준은 인게임으로 하며, 인게임 캐릭터가 없을 경우 호요위키(https://wiki.hoyolab.com/pc/hsr/aggregate/character)의 '행적' 부분을 통해 확인 가능합니다. ||
'''레벨''' || 일반 공격 피해 || || '''Lv.1''' || 110% || || '''Lv.2''' || 132% || || '''Lv.3''' || 154% || || '''Lv.4''' || 176% || || '''Lv.5''' || 198% || || '''Lv.6''' || 220% || || '''Lv.7''' || 242% || ## 일반 공격 레벨은 더미 데이터 상으론 9까지 존재하지만, 인게임에서 찍을 수 있는 7까지 표기하는 것을 원칙으로 합니다. ## 테이블 넓이는 모바일 가독성과 PC 가독성을 둘다 고려한 수치입니다. ==== 전투 스킬: 뜨거운 자갈 위 탱고 ====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100%; background: #427983; color:#ffffff; font-size: .8em; letter-spacing: -1px; " 전투 스킬}}}[[파일:부트힐_전투 스킬.png|width=100%]] ||<^|1>'''{{{+1 뜨거운 자갈 위 탱고}}}'''[br]{{{#F19D38 [방해]}}} {{{#!wiki style="margin:5px 0px; padding:0px 5px; width:100%; display:inline-block; background-color:#ffffff33;" 전투 스킬 포인트 소모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vertical-align: top;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 }}} || ||<-2>지정된 단일 적과 자신이 [목숨 건 대치] 상태에 진입한다. 부트힐의 일반 공격이 강화되고 전투 스킬을 발동할 수 없다, 지속 시간: 2턴, 부트힐의 턴이 시작될 때마다 지속 턴 수가 1 감소한다. [목숨 건 대치] 상태의 적은 도발 상태에 진입한다. 해당 목표/부트힐이 상대의 공격을 받을 시 받는 피해가 {{{#F19D38 n%}}}/15% 증가한다. 해당 목표가 처치되거나 약점이 격파된 후, 부트힐은 [포켓 어드벤티지]를 1스택 획득하고, [목숨 건 대치]가 해제된다. 해당 전투 스킬은 에너지를 회복할 수 없다. 해당 전투 스킬 발동 후, 이번 턴은 종료되지 않는다 || ## 데이터 언팩 사이트 등지에서는 고정 계수도 {{{#F19D38 주황색}}}으로 강조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지속 시간 등) ## 고정 계수는 강조하지 않습니다. 기준은 인게임으로 하며, 인게임 캐릭터가 없을 경우 호요위키(https://wiki.hoyolab.com/pc/hsr/aggregate/character)의 '행적' 부분을 통해 확인 가능합니다. ##가변 계수의 개수에 따라 아래의 표 중 하나를 골라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
'''레벨''' || 받는 피해 증가 || || '''Lv.1''' || 15% || || '''Lv.2''' || 16% || || '''Lv.3''' || 18% || || '''Lv.4''' || 19% || || '''Lv.5''' || 21% || || '''Lv.6''' || 22% || || '''Lv.7''' || 24% || || '''Lv.8''' || 26% || || '''Lv.9''' || 28% || || '''Lv.10''' || 30% || || '''Lv.11''' || 31% || || '''Lv.12''' || 33%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빈 정사각형 이미지.svg|width=100%]]}}} || || '''뜨거운 자갈 위 탱고''' || ## 캐릭터 모션 움짤은 호요위키(https://wiki.hoyolab.com/pc/hsr/aggregate/character)에서 획득 가능합니다. ## '행적'란에 일반 공격/전투 스킬/필살기 등을 클릭하면 GIF 파일을 구할 수 있습니다. ##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할 수 없다면, 크롬 기준 '개발자 도구(F12)-Settings-Disable JavaScript' 옵션을 활성화하면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전투 스킬 대사)''' ==== 필살기: 더스트 데빌의 선셋 로데오 ====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100%; background: #634283; color:#ffffff; font-size: .8em; letter-spacing: -1px; " 필살기}}}[[파일:부트힐_필살기.png|width=100%]] ||<^|1>'''{{{+1 더스트 데빌의 선셋 로데오}}}'''[br]{{{#F19D38 [단일 공격]}}} {{{#!wiki style="margin:5px 0px; padding:0px 5px; width:100%; display:inline-block; background-color:#ffffff33;" 에너지 소모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vertical-align: top;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color:#ffc870"> 115}}} }}} || ||<-2>지정된 단일 적에게 물리 약점을 부여한다. 지속 시간: 2턴. 해당 목표에게 부트힐 공격력의 {{{#F19D38 n%}}}만큼 물리 속성 피해를 가하고, 행동 게이지를 {{{#F19D38 n%}}} 감소시킨다. || ## 데이터 언팩 사이트 등지에서는 고정 계수도 {{{#F19D38 주황색}}}으로 강조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지속 시간 등) ## 고정 계수는 강조하지 않습니다. 기준은 인게임으로 하며, 인게임 캐릭터가 없을 경우 호요위키(https://wiki.hoyolab.com/pc/hsr/aggregate/character)의 '행적' 부분을 통해 확인 가능합니다. ##가변 계수의 개수가 2개 또는 3개라면 위의 '전투 스킬' 부분에서 가져와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
'''레벨''' || 스킬 피해 || 행동 게이지 감소 || || '''Lv.1''' || 240% || 30% || || '''Lv.2''' || 256% || 31% || || '''Lv.3''' || 272% || 32% || || '''Lv.4''' || 288% || 33% || || '''Lv.5''' || 304% || 34% || || '''Lv.6''' || 320% || 35% || || '''Lv.7''' || 340% || 36% || || '''Lv.8''' || 360% || 38% || || '''Lv.9''' || 380% || 39% || || '''Lv.10''' || 400% || 40% || || '''Lv.11''' || 416% || 41% || || '''Lv.12''' || 432% || 42%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빈 정사각형 이미지.svg|width=100%]]}}} || || '''더스트 데빌의 선셋 로데오''' || ## 캐릭터 모션 움짤은 호요위키(https://wiki.hoyolab.com/pc/hsr/aggregate/character)에서 획득 가능합니다. ## '행적'란에 일반 공격/전투 스킬/필살기 등을 클릭하면 GIF 파일을 구할 수 있습니다. ##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할 수 없다면, 크롬 기준 '개발자 도구(F12)-Settings-Disable JavaScript' 옵션을 활성화하면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필살기 대사)''' (활성화) >'''(필살기 대사)''' (발동) ==== 특성: 실린더 속 다섯 발 ====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100%; background: #569080; color:#ffffff; font-size: .8em; letter-spacing: -1px; " 특성}}}[[파일:부트힐_특성.png|width=100%]] ||<^|1>'''{{{+1 실린더 속 다섯 발}}}'''[br]{{{#F19D38 [강화]}}} || ||<-2>[포켓 어드벤티지] 1스택마다 강화된 일반 공격으로 가하는 강인성 감소 피해가 50% 증가한다. 최대 중첩수: 3스택. 강화된 일반 공격 발동 중에 목표가 약점 격파 상태일 경우, [포켓 어드벤티지] 스택 수에 따라 목표에게 부트힐 물리 속성 격파 피해의 {{{#F19D38 n%}}}/{{{#F19D38 n%}}}/{{{#F19D38 n%}}}만큼의 격파 피해를 가한다. 해당 피해에 계산되는 강인성 최대치는 일반 공격 [두개골을 부수는 발굽]의 기초 강인성 감소 피해의 16배를 넘을 수 없다. 전투 승리 후, 부트힐은 [포켓 어드벤티지]를 다음 전투까지 보류할 수 있다 || ## 데이터 언팩 사이트 등지에서는 고정 계수도 {{{#F19D38 주황색}}}으로 강조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지속 시간 등) ## 고정 계수는 강조하지 않습니다. 기준은 인게임으로 하며, 인게임 캐릭터가 없을 경우 호요위키(https://wiki.hoyolab.com/pc/hsr/aggregate/character)의 '행적' 부분을 통해 확인 가능합니다. ##가변 계수의 개수가 2개 또는 3개라면 위의 '전투 스킬' 부분에서 가져와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
'''레벨''' || 격파 피해 || || '''Lv.1''' || 35% / 60% / 85% || || '''Lv.2''' || 38.5% / 66% / 93.5% || || '''Lv.3''' || 42% / 72% / 102% || || '''Lv.4''' || 45.5 / 78% / 110.5% || || '''Lv.5''' || 49% / 84% / 119% || || '''Lv.6''' || 52.5% / 90% / 127.5% || || '''Lv.7''' || 56.875% / 97.5% / 138.125% || || '''Lv.8''' || 61.25% / 105% / 148.75% || || '''Lv.9''' || 65.625% / 112.5% / 159.375% || || '''Lv.10''' || 70% / 120% / 170% || || '''Lv.11''' || 73.5% / 126% / 178.5% || || '''Lv.12''' || 77% / 132% / 187%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빈 정사각형 이미지.svg|width=100%]]}}} || || '''실린더 속 다섯 발''' || ## 캐릭터 모션 움짤은 호요위키(https://wiki.hoyolab.com/pc/hsr/aggregate/character)에서 획득 가능합니다. ## '행적'란에 일반 공격/전투 스킬/필살기 등을 클릭하면 GIF 파일을 구할 수 있습니다. ##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할 수 없다면, 크롬 기준 '개발자 도구(F12)-Settings-Disable JavaScript' 옵션을 활성화하면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특성 대사)''' ==== 비술: 3-9x의 미소 ====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100%; background: #BC7248; color:#ffffff; font-size: .8em; letter-spacing: -1px; " 비술}}}[[파일:부트힐_비술.png|width=100%]] ||<^|1>'''{{{+1 3-9x의 미소}}}'''[br]{{{#F19D38 [강화]}}} || ||<-2>비술 사용 후 다음번 전투에서 처음 전투 스킬을 발동할 시, 목표에게 필살기와 동일한 물리 약점을 부여한다. 지속 시간: 2턴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빈 정사각형 이미지.svg|width=100%]]}}} || || '''3-9x의 미소''' || ## 캐릭터 모션 움짤은 호요위키(https://wiki.hoyolab.com/pc/hsr/aggregate/character)에서 획득 가능합니다. ## '행적'란에 일반 공격/전투 스킬/필살기 등을 클릭하면 GIF 파일을 구할 수 있습니다. ##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할 수 없다면, 크롬 기준 '개발자 도구(F12)-Settings-Disable JavaScript' 옵션을 활성화하면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장전!''' ==== 추가 능력 ==== ||
[[파일:부트힐_추가 능력1.png|width=100%]] ||<^|1>'''{{{+1 고스트 로딩}}}'''[br]{{{#F19D38 [추가 능력]}}} || ||<-2>자신의 치명타 확률 / 치명타 피해가 증가한다. 증가 수치는 격파 특수효과의 10% / 50%이며, 치명타 확률 / 치명타 피해는 최대 30% / 150% 증가한다 || ||
[[파일:부트힐_추가 능력2.png|width=100%]] ||<^|1>'''{{{+1 어보브 스네이크}}}'''[br]{{{#F19D38 [추가 능력]}}} || ||<-2>[목숨 건 대치] 상태가 아닌 목표에게 받는 피해가 30% 감소한다|| ||
[[파일:부트힐_추가 능력3.png|width=100%]] ||<^|1>'''{{{+1 포인트 블랭크}}}'''[br]{{{#F19D38 [추가 능력]}}} || ||<-2>[목숨 건 대치] 상태에서 [포켓 어드벤티지] 획득 시, 에너지를 10pt 회복한다. 해당 효과는 [포켓 어드벤티지]를 초과해 획득할 때도 발동된다 || === 성혼 === ||
<#1A1D23> {{{#!wiki style="margin: -5px -10px; margin-bottom:1px; color:#fff; font-size:0.9em;" {{{#!wiki style="width: calc(100% / 3); max-width: calc(860px / 6); display:inline-block; text-align: center; word-break: keep-all;" [[파일:부트힐_성혼1.png|width=100%]] '''''' [include(틀:글배경r, 디스플레이=inline-block, 곡률=10px, 여백=1px 5px, 배경색=#ffffff33, 글자색=#ffffff, 내용=1)] 황야의 론스타}}}{{{#!wiki style="width: calc(100% / 3); max-width: calc(860px / 6); display:inline-block; text-align: center; word-break: keep-all;" [[파일:부트힐_성혼2.png|width=100%]] '''''' [include(틀:글배경r, 디스플레이=inline-block, 곡률=10px, 여백=1px 5px, 배경색=#ffffff33, 글자색=#ffffff, 내용=2)] 마일스톤 딜러}}}{{{#!wiki style="width: calc(100% / 3); max-width: calc(860px / 6); display:inline-block; text-align: center; word-break: keep-all;" [[파일:부트힐_성혼3.png|width=100%]] '''''' [include(틀:글배경r, 디스플레이=inline-block, 곡률=10px, 여백=1px 5px, 배경색=#ffffff33, 글자색=#ffffff, 내용=3)] 대리석 과수원의 파수꾼}}}{{{#!wiki style="width: calc(100% / 3); max-width: calc(860px / 6); display:inline-block; text-align: center; word-break: keep-all;" [[파일:부트힐_성혼4.png|width=100%]] '''''' [include(틀:글배경r, 디스플레이=inline-block, 곡률=10px, 여백=1px 5px, 배경색=#ffffff33, 글자색=#ffffff, 내용=4)] 냉육 주방장}}}{{{#!wiki style="width: calc(100% / 3); max-width: calc(860px / 6); display:inline-block; text-align: center; word-break: keep-all;" [[파일:부트힐_성혼5.png|width=100%]] '''''' [include(틀:글배경r, 디스플레이=inline-block, 곡률=10px, 여백=1px 5px, 배경색=#ffffff33, 글자색=#ffffff, 내용=5)] 그루터기 연설가}}}{{{#!wiki style="width: calc(100% / 3); max-width: calc(860px / 6); display:inline-block; text-align: center; word-break: keep-all;" [[파일:부트힐_성혼6.png|width=100%]] '''''' [include(틀:글배경r, 디스플레이=inline-block, 곡률=10px, 여백=1px 5px, 배경색=#ffffff33, 글자색=#ffffff, 내용=6)] 쇠창살 여관의 라쿤}}}}}} || ||
<|2>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100%;background: #F5DAB2; color:#262626; font-size: .8em; letter-spacing: -1px; " 성혼 1}}}[[파일:부트힐_돌파1.png|width=100%]] ||<^|1>'''{{{+1 황야의 론스타}}}''' || ||전투 시작 시 [포켓 어드벤티지] 1스택을 획득한다. 부트힐이 피해를 가할 시 적의 방어력을 16% 무시한다|| ||<|2>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100%;background: #F5DAB2; color:#262626; font-size: .8em; letter-spacing: -1px; " 성혼 2}}}[[파일:부트힐_돌파2.png|width=100%]] ||<^|1>'''{{{+1 마일스톤 딜러}}}''' || ||[목숨 건 대치] 상태에서 [포켓 어드벤티지] 획득 시, 전투 스킬 포인트를 1개 회복하고 격파 특수효과가 30% 증가한다. 지속 시간: 2턴. 해당 효과는 1턴 내에 중복 발동할 수 없으며, [포켓 어드벤티지]를 초과해 획득할 때도 발동된다 || ||<|2>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100%;background: #F5DAB2; color:#262626; font-size: .8em; letter-spacing: -1px; " 성혼 3}}}[[파일:부트힐_돌파3.png|width=100%]] ||<^|1>'''{{{+1 대리석 과수원의 파수꾼}}}''' || ||필살기 레벨+2, 최대 Lv.15. 일반 공격 레벨+1, 최대 Lv.10 || ||<|2>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100%;background: #F5DAB2; color:#262626; font-size: .8em; letter-spacing: -1px; " 성혼 4}}}[[파일:부트힐_돌파4.png|width=100%]] ||<^|1>'''{{{+1 냉육 주방장}}}''' || ||[목숨 건 대치] 상태의 적이 부트힐에게 피격 시 받는 피해가 추가로 12% 증가한다. 부트힐이 [목숨 건 대치] 상태의 적에게 피격 시 받는 피해 증가 효과가 12% 감소한다 || ||<|2>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100%;background: #F5DAB2; color:#262626; font-size: .8em; letter-spacing: -1px; " 성혼 5}}}[[파일:부트힐_돌파5.png|width=100%]] ||<^|1>'''{{{+1 그루터기 연설가}}}''' || ||전투 스킬 레벨+2, 최대 Lv.15. 특성 레벨+2, 최대 Lv.15 || ||<|2>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100%;background: #F5DAB2; color:#262626; font-size: .8em; letter-spacing: -1px; " 성혼 6}}}[[파일:부트힐_돌파6.png|width=100%]] ||<^|1>'''{{{+1 쇠창살 여관의 라쿤}}}''' || ||특성을 발동하여 격파 피해를 가할 시, 목표에게 추가로 기존 피해 배율의 40%만큼 격파 피해를 가하고, 인접한 목표에게 추가로 기존 피해 배율의 70%만큼 격파 피해를 가한다 || === 정보 === ==== 음성 ==== {{{#!wiki style="word-break:keep-all;" ||
음성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상호작용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첫 만남''' ||<(> 대사 {{{#!wiki style="width:100%; margin-top:5px; display:inline-block" [include(틀:video, src=https://upload-static.hoyoverse.com/hoyolab-wiki-voice/.mp3, width=100%, height=25)]}}} || || '''인사''' ||<(> 대사 || || '''작별''' ||<(> 대사 || || '''자신에 대해''' ||<(> 대사 || || '''잡담''' ||<(> 대사 || || '''취미''' ||<(> 대사 || || '''고민''' ||<(> 대사 || || '''공유''' ||<(> 대사 || || '''견문''' ||<(> 대사 || || '''에 대해''' ||<(> 대사 || || '''성혼 활성화''' ||<(> 대사 || || '''캐릭터 승급''' ||<(> 대사 || || '''캐릭터 최고 레벨''' ||<(> 대사 || || '''행적 활성화''' ||<(> 대사 || || '''파티 편성 · ''' ||<(> 대사 ||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전투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전투 시작 · 약점 격파''' ||<(> 대사 || || '''전투 시작 · 위험 경보''' ||<(> 대사 || || '''턴 시작 · 1''' ||<(> 대사 || || '''턴 시작 · 2''' ||<(> 대사 || || '''턴 대기''' ||<(> 대사 || || '''일반 공격''' ||<(> 대사 || || '''일반 공격 강화''' ||<(> 대사 || || '''전투 스킬 · 1''' ||<(> 대사 || || '''전투 스킬 · 2''' ||<(> 대사 || || '''약공격 피격''' ||<(> 대사 || || '''강공격 피격''' ||<(> 대사 || || '''필살기 · 활성화''' ||<(> 대사 || ||<|2> '''필살기 · 발동 · 1''' ||<(> 대사 || ||<(> 대사 [*⏩ 배속] || || '''필살기 · 발동 · 2''' ||<(> 대사 || || '''필살기 · 발동 · 3''' ||<(> 대사 || || '''특성 · 1''' ||<(> 대사 || || '''특성 · 2''' ||<(> 대사 || || '''특성 · 3''' ||<(> 대사 || || '''전투 불능''' ||<(> 대사 || || '''전투 복귀''' ||<(> 대사 || || '''HP 회복''' ||<(> 대사 || || '''비술''' ||<(> 장전! || || '''전투 승리''' ||<(> 대사 || || '''전리품 오픈 · 1''' ||<(> 대사 || || '''전리품 오픈 · 2''' ||<(> 대사 || || '''진귀한 전리품 오픈''' ||<(> 대사 || || '''수수께끼 풀이 성공 · 1''' ||<(> 대사 || || '''수수께끼 풀이 성공 · 2''' ||<(> 대사 || || '''적 발견''' ||<(> 대사 || || '''도시로 복귀''' ||<(> 대사 || }}}}}}}}} || }}} ==== 이야기 ==== ||
이야기 || ||<^|1>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캐릭터 상세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 은하를 떠도는 개조 인간 카우보이. 극도로 낙관적이고 자유분방하다. 「갤럭시 레인저」의 일원으로, 악을 처단하기 위해서라면 무슨 짓이든 할 수 있다 그의 대담한 행동은 복수의 대상인 「스타피스 컴퍼니」의 이목을 끌기 위함이다 ||}}}}}}}}} || ||<^|1>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캐릭터 스토리 · 1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 {{{#808080 캐릭터 레벨 Lv.20 개방}}} 「그레이, 눈속에 저거, 아이 아니야?!」 그레이와 닉은 조심스럽게 다가가 빨개진 얼굴로 계속 울고 있는 아이를 안아 들었다. 아이에게는 「아에라간-에파르셸」의 고대어로 장전한 총을 의미하는 멋진 이름이 있었다. 그는 그레이와 닉의 사랑을 받으며 다른 형제자매들과 함께 행복하게 자랐다. 그들은 각기 다른 곳에서 왔지만, 지금은 광활한 대륙 「아에라간-에파르셸」에 속해 있었다. 그레이는 그에게 식물과 새, 강에 대해 가르쳐주었고, 닉은 말을 길들이는 법과 소와 양을 방목하는 법을 가르쳐주었다. 어린 그는 망아지를 타고서 시냇물을 건너 닉과 함께 햇살 아래서 소와 양을 몰고 풀이 우거진 목장으로 향했다. 찬란한 구름 아래, 닉은 늘 소리내어 노래를 불렀다. 그 아득한 노랫소리가 들릴 때마다 그도 경쾌한 소리를 내며 더 빨리 달리려고 망아지의 배를 찼다. 그들의 즐거운 웃음소리는 더 먼 곳까지 퍼져 나갔다. 그레이와 닉이 입양한 아이들은 하루가 다르게 자라고, 그들의 허리도 하루가 다르게 굽어 갔다. 카우보이가 된 그는 모든 사냥 기술을 숙지했다. 그들은 모래 먼지가 자욱한 황야를 내달리고, 도적과 싸웠으며, 상단과 거래하고, 야수와 생존 공간을 두고 싸웠다. 그는 죽음을 모면하는 위기를 겪었다. 라이벌 패거리에 복수하는 맛을 느꼈으며, 친구가 총알 하나에 목숨을 잃고, 한 가정이 순식간에 붕괴되는 것을 보았다. 그는 많은 사람을 잃었고, 많은 것을 얻었다. 결국 그는 자신의 용맹함으로 지위와 존경을 얻었다. 이제 형제자매를 거의 못 만나지만, 그들이 잘 지내고 있다는 것은 알고 있었다. 깊은 밤, 그가 하늘을 보며 더 큰 세계를 생각하는데 울음소리가 고요한 밤에 유달리 또렷하고 선명하게 울렸다. 목소리를 따라가 보니 빨개진 얼굴로 계속 울고 있는 아기가 보였다. 허둥지둥하던 그는 결국 당시 그레이가 그랬던 것처럼 아이를 데리고 집으로 갔다. 닉의 거친 목소리가 그의 귓가를 맴돌았다. 「이곳의 물은 맛있는 술 같고, 이곳의 눈은 칼날처럼 차가워. 여기가 바로 최고의 세계야」 ||}}}}}}}}} || ||<^|1>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캐릭터 스토리 · 2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 {{{#808080 캐릭터 레벨 Lv.40 개방}}} 우주선이 드리운 그림자가 초원의 달빛을 가렸다. 그는 굉음을 내며 지나가는 열차에서 뛰어내렸다. 짙은 연기와 먼지가 걷혔을 때, 그는 이미 전리품을 가지고 캠프로 돌아왔다. 그는 고개를 들어 그 불청객들을 바라보았다. 검은 옷을 깔끔하게 차려입은 사람이 완전 무장을 한 경호원들의 호위를 받으며 갑판에서 내려와 카우보이 캠프로 걸어 들어왔다. 그는 검은 옷을 입은 사람이 공감각 비콘이라고 부르는 것을 건네받았다. 낯설고도 웅장한 단어가 그의 머릿속으로 뛰어들어왔다. 그는 초원, 숲, 강, 레일 말고도 은하에 수많은 찬란한 세계가 있다는 것을 처음으로 알게 되었다. 현지인의 반대를 무시하고 초원의 지평선에 거대한 굴착기가 나타났다. 대지에서는 검은색 광물이 쏟아져 나오기 시작했다. 완전 무장을 한 경비병들은 그들의 신앙을 모독하고, 그들을 터전에서 쫓아냈으며, 미미한 배상으로 그들의 존엄을 능멸했다. 전처럼 그와 동료는 유격 작전으로 검은 옷을 입은 사람의 걸음을 지연시켰다. 하지만 절대적인 무력 앞에서 카우보이의 계략과 백발백중의 사격술, 하루에 천리를 달리는 준마는 원시적이고 가소로워 보일 뿐이었다. 가족이 하나둘씩 세상을 떠나자 그는 이 모든 것을 시작한 원흉을 찾지 못한다면, 이 일을 영원히 해결할 수 없다는 것을 깨달았다. 그는 훔친 직원 제복을 입고 밤을 틈타 우주선에 잠입했다. 그는 다년간 사냥으로 단련된 직감과 민첩함으로 길을 지키고 있던 경비병을 조용히 쓰러뜨리고, 겹겹의 관문과 검문을 피해 핵심 선실에 도착했다. 그는 부하들에게 뭔가 이야기하고 있는 듯한 남자의 뒷모습을 봤다. 「아에라간-에파르셸에는 중요한 전략적 자원이 있다. 먼저 차지하는 자가 부서의 경쟁에서 우위를 점할 수 있지. 야만스럽고 무례한 카우보이들이 시장개척부에 협력하지 않겠다니, 우리가 이 세계를 대신 관리하는 수밖에 없어. 시간이 없으니 무력을 사용해도 된다. 이 세계에 문명을 가져다주라고」 그의 머릿속에 끔찍한 생각이 엄습했다. 그는 부리나케 밖을 향해 달려갔다. 주위의 직원들은 여전히 시시덕대고 있었다. 그는 숨을 죽이고 분노와 눈물을 참았다. 그의 가족에게는 아직 그가 필요하다. 그는 걸음을 멈출 수 없었다. 하늘에서 포화가 떨어졌다. 그가 비틀대며 지옥이 된 목장으로 돌아와 보니 연로한 그레이와 닉, 어려서부터 함께 자랐던 동료는 이미 불바다에 목숨을 잃었다. 그는 그곳에서 그 어린 아이의 모습을 찾을 수 있기를 바랐다. 그녀는 걸음마를 뗀 지 얼마 되지도 않았고, 그가 만들어준 조그만 통기타를 두드리고는 깔깔 웃고는 했다. 하지만 없었다. 아무것도 남지 않았다. 그곳엔 오직 까맣게 그을린 땅뿐이었다. 심지어 그는 그들을 위한 묘비를 세울 시간조차 없었다. 「스타피스 컴퍼니 시장개척부」 이 악몽과도 같은 이름과 광경이 그의 뼛속 깊이 새겨졌다. 다시 태어난다고 해도 결코 잊지 못할 것이다. 「아에라간-에파르셸」 행성 기록에 따르면, 이곳에서 대대로 유목하던 민족이 알 수 없는 재난으로 자취를 감췄다고 한다. 생존한 노인과 어린아이는 갈수록 좁아지는 주거지에 머물고 있다. 지금도 그 검은 광물은 여전히 희귀한 금속으로서 고출력 무기 제작에 대거 사용되고 있으며, 컴퍼니의 화물선에 실려 더 많은 행성으로 운송되고 있다 ||}}}}}}}}} || ||<^|1>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캐릭터 스토리 · 3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 {{{#808080 캐릭터 레벨 Lv.60 개방}}} 「이 길은 당신한테 안 어울리니 얼른 떠나요. 다른 일을 찾거나 뭔가를 찾아서 배워요」 키가 작은 의사가 반쯤 먹은 샌드위치를 내려놓고는 사이즈가 한참 큰 흰색 가운에 손을 닦았다. 남자가 아무 말 없이 옷을 벗어 온몸의 상처를 보여주는데도 의사는 잔소리를 멈추지 않았다. 「당신 같은 젊은 사람은 더 나은 미래를 누릴 자격이 있어요. 이 길은 막다른 길에 몰린 사람들, 다시 시작할 능력이 없지만 악에 죄를 물으려 하는 사람들 것이죠」 차가운 총이 의사의 이마혹은 일단 이마라고 할 수 있는 부위에 닿았다. 「수업을 들으려고 했다면 학교에 갔겠지」 남자는 협박했다. 「날 협박하고 싶겠지만, 총은 나한테 아무 소용 없어요. 됐으니까 누워요」 의사는 체념했다. 수술대의 조명이 켜졌다. 그는 깊은 바다에 빠진 것 같았다. 감싸진 육체가 주변에 녹아들더니 점차 멀어지고, 공허한 생각만 제자리에서 남아 몸부림치는 듯했다. 이상하게도 공포, 불안, 고독, 어둠, 분노 이런 감정들은 육체와 함께 사라지기는커녕 다른 모습으로 남아서 한층 더 무거워졌다. 타는 냄새가 났다. 의사의 나긋한 숨소리까지 느낄 수 있었다. 그녀가 숨을 쉴 수 있다고? 때에 맞지 않은 생각이 들었다. 윙윙거리는 전자 기계 소리가 그의 귓가에서 맴돌고, 파란색 새 피는 그의 굶주린 심장을 향해 흐르기를 거부했다. 그는 깨어나지 않고 그대로 잠들고 싶었다. 그 거친 노랫소리, 그 상냥한 당부, 과거의 기억이 다시 떠올랐다. 뼈에 사무친 원한은 어둠 속에서 희미한 빛으로 변했다. 그는 빛을 따라 끝으로 걸어갔고, 온 힘을 다해 수면 위로 떠올랐다. 「축하해요. 당신은 죽이기 꽤 힘드네요」 의사가 흰 가운에 피범벅이 된 손을 문지르고는 다시 반쪽짜리 샌드위치를 집어 들었다. 「내가 죽을 줄 알았어?」 그는 양손을 꼭 쥐었다. 이제 손은 강철이라서 차가웠다. 「대부분은 죽어요」 의사는 솔직하게 말했다.「하지만 내 솜씨가 부족해서는 아니에요」 「좋은 소식이 있어. 난 진작에 죽었어」 「이름이 뭐죠?」 그는 잠깐 망설였다. 귓가의 상냥한 목소리, 거친 목소리가 모두 사라졌다. 이제 그 낭랑하고도 기운찬 이름을 불러주는 이가 없었다. 「부트힐. 우리 고향에서 죽은 총잡이한테 쓰는 이름이지」 그는 돌아서 웃으며 입안 가득한 날카로운 이를 드러냈다. 「하지만 이건 시작에 불과해, 의사 선생. 복수를 위해 치를 모든 대가 중에서 가장 가벼운 거라고」 그는 새로운 몸을 끌고 비틀대며 대문을 나섰다. 「그럼 즐거운 『수렵』이 되길 바랄게요. 『갤럭시 레인저』 부트힐!」 키 작은 의사는 그의 뒷모습에 대고 외쳤다. 문밖은 깊은 밤이었다. 부트힐은 저도 모르게 고개를 들었다. 펼쳐진 별들 사이, 또 하나의 별이 밝혀졌다. ||}}}}}}}}} || ||<^|1>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캐릭터 스토리 · 4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 {{{#808080 캐릭터 레벨 Lv.80 개방}}} 그는 여러 번 「아에라간-에파르셸」로 돌아가 당시 몰살을 지시한 남자를 조사했지만, 역사 기록에서 그의 모습은 지워졌다는 것을 발견했다. 그는 기억의 정원에 숨어들어 「아에라간-에파르셸」과 관련된 기억 거품을 읽으려 했다. 진열대에 진열된 기억 거품이 굴러떨어졌다. 기억하는 자들은 벌떼처럼 몰려들어 희귀한 기억을 구해내느라 그를 막을 여력이 없었다. 기억의 정원에서 쫓겨나면서 그는 마침내 혼란한 틈에 「아에라간-에파르셸」에 관한 기억에서 그 남자를 볼 수 있었다. 「오스왈도슈나이더, 스타피스 컴퍼니 『시장개척부』 부장」 「들었어? 최근 정체를 알 수 없는 개조 인간이 피어포인트의 은하 항구에서 컴퍼니의 함대를 습격했대」 「시장개척부의 사업이 엉망이 되었으니, 우린 뒤에서 구경이나 하자고. 그렇게 거들먹거리고 다니더니 꼴 좋네」 「구경? 내일이면 피어포인트로 돌아가야 하는데, 누가 머리에 총구를 들이미는 건 싫다고」 제복을 입은 컴퍼니 직원이 커피를 들고 삼삼오오 분수 광장을 지나갔다. 나무 그늘 아래, 카우보이는 모자를 눌러쓴 채 신문의 수배령을 읽으며 한가하게 싱글 맥아 주스를 마시고 있었다. 「부트힐. 출생지 미상. 갤럭시 레인저. 죄명: 피어포인트 습격 다섯 건, 스타피스 컴퍼니 시장개척부 무기 창고 습격 세 건, P40 이상 컴퍼니 직원 습격 여러 건, 그 외에도 마리-루인 은하계 보물 실종 사건, 콩어 행성 고리 폭동 사건, 갈릴레오별 대폭발 등 여러 컴퍼니 관할 행성에서 발생한 사건」 「이런 베이비, 총알이 빗발치고 죽음에서 살아남은 일을 무슨 귀염둥이처럼 써 놨어」 그는 신문을 집어던지고 컴퍼니 지부를 드나드는 함대를 노려봤다. 그의 목에 걸린 현상금이 계속 늘어나고 있지만, 그는 미꾸라지 같은 오스왈도의 흔적을 전혀 찾지 못하고 있었다. 그는 공식 발표에 모습을 드러내지 않을 뿐더러, 중간 관리자도 그의 행방을 몰랐다. 항구, 저급 지능 기계가 일사불란하게 화물을 운송하고 소박한 화물 운송선이 오갔다. 그가 화물선을 359척까지 셌을 때, 항구의 직원들이 모자를 벗고 인사를 하기 시작했다. 화려한 우주선 한 척이 호위함의 호위를 받으며 항구에서 빠져나와 축제의 별로 향했다. 그는 과하게 화려한 함선을 보며 고개를 젓고는 계속 뭔가를 기다렸다. 몇십 분 후, 회색 소형 생태 함선 한 척이 상업 함대를 따라 조용히 항구를 떠났다. 그게 바로 그의 진짜 목표였다. 「영원한 철옹성은 없어. 오스왈도 네놈을 못 찾는다고 해도, 네놈을 못마땅해하는 컴퍼니의 앞잡이를 찾는 건 쉽지 않겠어?」 「전에 적과 손을 잡은, 내가 처치했던 녀석들이 지금 지옥에서 날 비웃고 있는 건 아닌지」 그는 손에 든 빈 병을 버리고 날카로운 이를 드러냈다. 「상관없어. 우린 곧 만나게 될 테니까」 ||}}}}}}}}} || == 운용 == === 광추 === * '''5성''' * '''[[붕괴: 스타레일/광추/수렵#두 번째 생명을 향해|두 번째 생명을 향해]]''' 부트힐의 전용 광추 * '''4성''' * '''[[붕괴: 스타레일/광추/수렵#광추 이름|광추 이름]]''' (광추 설명) === 유물 === ## 퍼센트 옵션 입력시 백분율=, 변수 추가 ## 유물 부위의 명칭이 머리-팔-몸통-다리로 변경됨 ||<-2>
권장 유물 속성 || ||<-2>{{{#!wiki style="padding:0px 7px; display:inline-block; background-color:#ffc870; color:#1A1D23" '''+'''}}} 메인 속성 || || [[파일:붕괴: 스타레일-유물 머리.png|width=20]] {{{-3 머리}}} ||<^|1>[include(틀:붕괴: 스타레일/유물 속성, 속성=HP)] || || [[파일:붕괴: 스타레일-유물 핸드.png|width=20]] {{{-3 팔}}} ||<^|1>[include(틀:붕괴: 스타레일/유물 속성, 속성=공격력)] || || [[파일:붕괴: 스타레일-유물 바디.png|width=20]] {{{-3 몸통}}} ||<^|1>[include(틀:붕괴: 스타레일/유물 속성, 속성=치명타 확률)][include(틀:붕괴: 스타레일/유물 속성, 속성=치명타 피해)] || || [[파일:붕괴: 스타레일-유물 신발.png|width=20]] {{{-3 다리}}} ||<^|1>[include(틀:붕괴: 스타레일/유물 속성, 속성=속도)][include(틀:붕괴: 스타레일/유물 속성, 속성=공격력, 백분율=,)] || || [[파일:붕괴: 스타레일-차원 구체.png|width=20]] {{{-3 차원 구체}}} ||<^|1>[include(틀:붕괴: 스타레일/유물 속성, 속성=물리 속성 피해 증가)][include(틀:붕괴: 스타레일/유물 속성, 속성=공격력, 백분율=,)] || || [[파일:붕괴: 스타레일-연결 매듭.png|width=20]] {{{-3 연결 매듭}}} ||<^|1>[include(틀:붕괴: 스타레일/유물 속성, 속성=격파 특수효과)] || ||<-2>{{{#!wiki style="padding:0px 7px; display:inline-block; background-color:#ffc870; color:#1A1D23" '''+'''}}} 보조 속성 || ||<-2>[include(틀:붕괴: 스타레일/유물 속성, 속성=격파 특수효과)][include(틀:붕괴: 스타레일/유물 속성, 속성=속도)][include(틀:붕괴: 스타레일/유물 속성, 속성=공격력, 백분율=,)][include(틀:붕괴: 스타레일/유물 속성, 속성=치명타 확률)][include(틀:붕괴: 스타레일/유물 속성, 속성=치명타 피해)] || ==== 유물 세트 ==== * '''[[붕괴: 스타레일/유물#유성을 쫓는 괴도|유성을 쫓는 괴도]] 4세트''' 유물 세트 설명 * '''[[붕괴: 스타레일/유물#유물 세트 이름|유물 세트 이름]] 2세트 + [[붕괴: 스타레일/유물#유물 세트 이름|유물 세트 이름]] 2세트''' 유물 세트 설명 ==== 차원 장신구 ==== * '''[[붕괴: 스타레일/유물#도적국 탈리아|도적국 탈리아]] 2세트''' 차원 장신구 설명 === 파티 구성 === *  [include(틀:운명의 길 파멸)] | '''파멸''' * 캐릭터 이름 (설명) *  [include(틀:운명의 길 수렵)] | '''수렵''' * 캐릭터 이름 (설명) *  [include(틀:운명의 길 지식)] | '''지식''' * 캐릭터 이름 (설명) *  [include(틀:운명의 길 화합)] | '''화합''' * [[완·매]] (설명) * [[개척자(붕괴: 스타레일)/허수·화합|화합 개척자]] (설명) * [[브로냐(붕괴: 스타레일)|브로냐]] 부트힐의 딜링 메커니즘은 고전적으로 한 턴에 한 번 때리고 여기에 아무 가속도 붙지 않는 방식이기 때문에 이런 고전적인 턴 메커니즘을 가진 캐릭터의 턴을 끌어와주는 브로냐의 가치가 당연히 높다. *  [include(틀:운명의 길 공허)] | '''공허''' * 캐릭터 이름 (설명) *  [include(틀:운명의 길 보존)] | '''보존''' * 캐릭터 이름 (설명) *  [include(틀:운명의 길 풍요)] | '''풍요''' * 캐릭터 이름 (설명) == 평가 == * '''{{{+1 장점}}}''' * '''내용''' ---- * '''{{{+1 단점}}}''' * '''내용''' ---- * '''{{{+1 종합}}}''' == [[/작중 행적|작중 행적]]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부트힐/작중 행적)] == 인간관계 == * [[아케론(붕괴: 스타레일)|아케론]] 갤럭시 레인저를 사칭했다보니 총알을 박아주겠다고 벼르고 있다. 그녀를 존재해선 안 되는 사도라고 칭하는데 정황상 그녀가 공허의 [[에이언즈]], IX의 사도라는 사실을 파악한 것으로 보인다. 처음 만났을때는 이를 박박갈며 총을 겨누었지만 그녀가 혈죄령이 된 다른 갤럭시 레인저들과 티어난을 성불시켜줬다는걸 뒤늦게 알게되어 관계가 우호적으로 개선될 여지가 보인다. * [[블랙 스완(붕괴: 스타레일)|블랙 스완]] 아케론의 호텔방에 전화를 걸었을 때 블랙 스완이 대신 받으면서 알게 되었다. 화나있는 상태였다보니 처음엔 아케론과 한편이든 제3자이든 상관하지 않고 총알을 박겠다고 으름장을 놓았으나 블랙 스완이 아케론의 정체에 대해 추궁하자 그녀를 아군으로 여기고 아케론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는 모습을 보였다. * [[어벤츄린]] * [[단항]] 은하열차에서 가장 처음 만난 무명객이면서 같은 수렵의 길을 걷는 선주 출신 사람이다보니 굉장히 호의적으로 대하고 있다. 반면 단항은 부트힐의 똘기와 하이텐션을 감당하기 힘들어한다. * 오스왈드 슈나이더 == 여담 == === 게임 내 === * [[아젠티]]와는 다른 느낌의 개그 캐릭터로 보여질 수 있는데, 공감각 비콘 개조로 인해 본인의 말 일부분이 '''베이비'''로 변조된다고 한다. 한국어의 경우에는 전부 베이비로 통일중이나, 중국어로는 귀염둥이(小可爱), 영어로는 cutie, 일본어로는 '''큐티, 허니, 달링, 베이비'''까지 등장한다. 물론 진짜 저런 말투인 건 아니고 첫등장하는 개척임무 3장 2막에서 일본어판 한정으로 욕설인 Holy Shit이 Holy Sweet라고 순화되는 걸로 욕설이 검열된다는 걸 알 수 있다. 어떻게 보면 공감각 비콘이 흔히 방송에 쓰이는 삐처리를 억지로 입에다 적용하는 것으로 보인다. 2.2 공식 방송 영어판에서는 muddle fudger, son of a nice lady(='''[[mother fucker]], son of a bitch''')를 예로 들었다. 상술한 언어판의 해석을 보았을 때 한국어판의 베이비와 혹은 진짜로 욕설인 [[ㅅㄲ]], [[좆|ㅈ]]을 의미하는 것으로 추측된다. 그리고 원래는 [[씨발|ㅆ발]]이라고 해야 할 것을 '''족발'''이라고 한 걸 보면 일부러 그렇게 검열했다는 것이 거의 확실시된다. 성질머리상 이런 상황이 굉장히 마음에 들어하지 않고 있다. * [[스타피스 컴퍼니]]와 견원지간이다. 온몸이 사이보그로 개조된 사연과 관련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특히나 성혼 6돌파 이미지를 보면 현재의 기계 몸이 아니라 평범한 사람의 몸이다.] 그리고 이 설정에 걸맞게 컴퍼니의 현상 수배 명단의 단골이라고 한다. 컴퍼니의 주요 인물인 오스왈드 슈나이더를 쫓고 있다고 한다. * 이름인 부트힐(Boothill)은 [[카우보이]], 그중에서도 [[총잡이]]들의 공동 묘지를 뜻한다. 갤럭시 레인저가 수많은 레인저들을 잃고 조직이 괴멸 직전까지 몰렸었음을 생각하면 묘한 작명이다. 본인도 사이보그 신체에 대해 자조하면서 부트힐이란 이름이 살아있는 자에게 붙힐 만한 이름은 아니라고 한다. * 아케론이 공허의 사도로 밝혀진 현재, 작중에서 처음으로 등장하게 되는 정식 갤럭시 레인저 소속이다. 아케론을 사칭범으로 부르며, 죽이러 간다고 선전포고하며 등장한다.[* 특히 한국판에선 이를 바득바득 갈고 있는 듯한 말투가 강하다.] 하지만 스토리에서 아케론의 무지막지한 전투력이 드러나자, 플레이어들은 반대로 부트힐의 안위를 걱정하고 있다. 부트힐의 자신만만한 태도를 보면 나름 믿는 구석이 있거나 실력에 대한 자부심이 엄청난 것으로 보이지만 블랙 스완과의 통화 내용[* 처음 듣는 목소리에도 일단 시비조로 말하다가 블랙 스완이 아케론의 동료가 아님을 알자 갑자기 그럼 협력해 주겠다며 싱글벙글 태도가 돌변한다. 진지한 2막에서 몇 안되는 개그 포인트.]을 보면 강함과는 별개로 성격 자체가 겁이 없고 단순한 타입일 가능성도 있다. * 일러스트에서는 벗겨져 날아가는 중이지만 인게임에서는 카우보이 모자를 계속 쓰고 다닌다. * [[상어]]를 모티브로 디자인되었다. 전반적인 컬러링도 그러하고 [[상어이빨]]을 가졌으며 옷 이곳저곳에 달려 있는 지퍼가 안에 입은 붉은 셔츠와 어울려서 상어 입을 연상시킨다. * 일반 공격 모션을 보면 다른 캐릭터에 비해 [[롱다리|다리가 유난히 길다는 걸 알 수 있다.]] 몸이 개조된 영향인지 본래부터 길었는지는 불명. * 온몸이 개조된 영향인지 공감각 비콘을 사용해서인지는 불명이나 목소리에 살짝 노이즈가 끼었다. 다만 전투 시에는 멀쩡히 목소리가 나온다. * 사이보그인만큼 팔에 실린더가 내장되어있으며 강화 공격 시전 시 왼팔(검지와 중지)이 총구로 변환된다. 또한 동공에 [[조준경]]이 새겨져 있다. * 서부극과 카우보이를 모티브로 한 모습을 보면 서부시대를 모티브로 한 살소토 출신으로 보인다. * 서부 카우보이 이미지가 강하긴 하지만 의외로 개척임무에서 무협지의 강호인 느낌이 나는 경우가 종종 있다. * 대기 모션 중 하나는 총알을 공중에 던진 후 입에 넣는 동작인데 필살기 시동 시 입에서 꺼내는 총알이 바로 이것으로 보인다. * 입이 거친 데다가 여차하면 인질극도 펼칠 정도로 무모한 성정이다 보니 근육바보 이미지로 보이나 아케론이 갤럭시 레인저를 사칭했다는 사실에 눈이 멀지 않고 그녀의 의중을 어느 정도 파악해내는 등 나름 두뇌파적인 면모도 갖추고 있다 === 게임 외 === * 외모가 [[HoYoverse|같은 개발사]]에서 서비스 중인 게임 [[원신]]의 [[아를레키노(원신)|아를레키노]], [[붕괴3rd]]의 [[코랄리]]와 상당히 비슷하다.[* [[호요버스]]는 자사 게임에 [[HoYoverse#호요 멀티버스|스타 시스템]]을 적극적으로 차용하는 개발사이기도 하다.] 아를레키노 역시 부트힐이 공개되기 이틀 전에 출시 예고 일러스트가 올라왔다.[[https://x.com/genshinimpactoc/status/1767765772389027924|#]] 일각에선 색상과 높은 노출도(...)[* 아시야 도만은 1,2차 재림에선 상반신 왼쪽을 노출했고 최종 재림에선 아예 전라이며 부트힐은 사이보그 신체 때문에 크게 부각되진 않으나 가슴 위쪽을 제외하고 상반신이 전부 노출되었다.]를 들어 [[Fate/Grand Order]]의 [[아시야 도만(Fate 시리즈)|아시야 도만]]과 닮았다는 반응이 나오기도 했다. * 천외 위성 통신이 공개되었을 당시에 상당히 의외라는 반응이 대부분이었는데 이유는 이때까지 개척 임무에서 등장은커녕 언급조차 없던 캐릭터가 5성으로 갑자기 나왔다는 점도 있지만 부트힐 공개 전, 2.2버전 출시가 유력했던 5성 캐릭터가 [[반디(붕괴: 스타레일)|반디]]였기 때문. [[https://m.dcinside.com/board/staraiload/1718058|#]][* 비슷한 사례로는 [[아젠티]]가 있긴 하나 아젠티의 경우 개척 임무 2장의 주요 캐릭터들이 다 나오고 출시된 사례라 부트힐과 경우가 다르다. 또한 등장 이전에 시뮬레이션 우주에서 사건으로 종종 만날 수 있었기에 존재가 이미 암시된 바 있다.] 그래도 2.1 버전에 업데이트 된 개척 임무 3장 2막에 목소리로나마 등장을 해서, 2.2 본인 출시 직전까지 메인 스토리에 언급조차 없는 상황이 되는 것은 그나마 피했다. * 2.2 동버전 전반 출시인 5성 [[로빈(붕괴: 스타레일)|로빈]]과 같은 물리 속성을 가져 스타레일 최초로 한 버전 내에 같은 속성의 한정 캐릭터가 연속으로 픽업되는 사례가 되었다. * 부트힐의 몸도 샘처럼 은색 기갑으로 되어있으며 아케론이 갤럭시 레인저를 사칭한다는 점을 기반으로 [[갤러거(붕괴: 스타레일)|갤러거]]가 반디를 밀입국자로 오해한 부하들에게 말한 '은색 녀석'이 사실 샘이 아니라 부트힐이 아닌가라는 추측이 나왔다.[[https://arca.live/b/hkstarrail/101586935?mode=best&p=2|#]] 다만 개척 임무 2막에서 아직 페나코니로 가고 있는 중이라고 했기에 해당 추측이 맞을 가능성이 낮아졌다. 그러다 3막에서 '은색 녀석'은 아젠티로 밝혀졌다. * 사이보그+카우보이라는 컨셉이라 그런지 서양에서 많은 주목을 받았다. 서양에서 매우 인기 있는 컨셉들이라 아직 스토리에 나오지도 않은 시점에서 팬아트가 수두룩하게 나올 정도. 게다가 같은 버전 출신이고 같은 물리 속성이라는 이유로 로빈이랑 같이 엮이는 팬아트도 있는 편이다.[* 여담으로 이렇게 조합할 경우 인게임에서는 그리 좋은 조합이 아니다. 로빈은 라운드당 행동이 많은 캐릭터와 조합하는 게 이상적이지만 부트힐은 자체적으로는 턴을 가속할 아무 기능도 없어 [[브로냐(붕괴: 스타레일)|브로냐]] 같이 남의 턴 순서에 관여하는 캐릭터가 필수다.] * 유출 요소를 제외하면 예고도 없다시피한 상태에서 뜬금없이 등장한 남캐지만 간지나는 디자인, 테섭에 등장하며 공개된 카우보이 다운 화끈한 사격 모션들 덕분에 호평이 많다. 하지만 하필 전후 픽업 예정 캐릭터가 워낙 쟁쟁하다보니 출시 시기가 불행해서 넘긴다 여기는 사람도 많으며,[* 전반인 2.1에는 아케론과 어벤츄린, 동시기인 2.2에는 로빈과 토파즈, 후반인 2.3에는 반디와 제이드. 심지어 같은 픽업 복각인 부현과도 경쟁해야 한다.] 부트힐 덕분에 반디를 뽑을 원석을 아낄 수 있겠다는 사람도 있다. 여러모로 개그 캐릭터, 물리 5성 남캐, 멋있는 디자인 이라는 점에서 아젠티와 공통점이 많은데 보유율까지 아젠티를 따라가게 생긴 바람에 출시 전부터 불쌍한 이미지가 생겨버렸다. * 한국 한정으로 '''부형'''[* 부트힐 + 형], 성옥 수호자, 성옥 보존의 사도 등의 별명으로 불린다. * 영어판 성우가 같은 [[원신]]의 [[아이드]]가 맵스에서 아이템 위치를 가리키는 밈으로 유명하듯 부트힐도 일반 공격 모션의 긴 다리를 활용해 아이템 위치를 가리키는 밈이 되고 있다[[https://twitter.com/cloienv/status/1784355677785526567?s=46&t=6C21QjN-pSzNkhXaicdkag|예시]] 심하게는 온갖 사물을 떠받치거나 시계 바늘이 되는 밈도 있다(...) * 의외로 개척임무 3장 3막을 살린 1등 공신인데 이유는 단항이 옥조를 사용해 운기군과 경원을 부르려했던 걸 부트힐이 만류했기 때문. 이로 인해 끔찍했던 폐사 구간[* 1.2버전부터 1.4버전까지.]을 버틴 유저들 사이에선 찬양받는 중이다(...) 그리고 대사가 다소 난해한 여러 등장인물 중 언행이 직설적이고 알아듣기 쉬운 것도 호평 요솟 중 하나이다. * [[어벤츄린]]과 마찬가지로 출시 전에 개척 임무에서 체험이 가능하다. 대신 필드에서만 사용 가능하며 전투는 불가능하다. * {{{#!folding 성우 참여 공식 콘텐츠 일람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성우 - 공식 프로그램 타이틀 및 주소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성우 - 공식 프로그램 타이틀 및 주소 *  [include(틀:국기, 국명=중국, 출력= )] 성우 - 공식 프로그램 타이틀 및 주소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성우 - 공식 프로그램 타이틀 및 주소}}} == 둘러보기 == [include(틀:붕괴: 스타레일)] {{{-2 {{{#!wiki style="word-break: keep-all; letter-spacing: -1px;" ||<-5>
[[붕괴: 스타레일|[[파일:붕괴 스타레일 로고.png|width=80]]]] || ||<-5>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45deg, #dcc8a0, #6e739b 40%, #6e739b 60%, #7ab7db)" '''[[붕괴: 스타레일/업데이트|{{{#fff 업데이트 버전별}}}]] 신규 캐릭터'''}}} || ||<^|1> [[붕괴: 스타레일/업데이트#2.1|{{{#B19872 {{{-1 2.1}}}[br]심연을 향한 광란의 질주}}}]] ||<|3>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스타레일 화살표.png|width=40%]]}}} ||<^|1> [[붕괴: 스타레일/업데이트#2.2|{{{#B19872 {{{-1 2.2}}}[br]눈물은 잠에서 깬 후에}}}]] ||<|3>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스타레일 화살표.png|width=40%]]}}} ||<^|1> [[붕괴: 스타레일/업데이트#2.3|{{{#B19872 {{{-1 2.3}}}[br]???}}}]] || || [[붕괴: 스타레일/업데이트#2.1|{{{#!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스타레일-2.1.jpg|width=100%]]}}}]] || [[붕괴: 스타레일/업데이트#2.2|{{{#!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스타레일-2.2.jpg|width=100%]]}}}]] || [[붕괴: 스타레일/업데이트#2.3|{{{#!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스타레일-2.3.jpg|width=100%]]}}}]] || ||<^|1> {{{#!wiki style="margin: -5px -10px;" ## 이전 버전 신규 캐릭터 시작 ▼ [[아케론(붕괴: 스타레일)|{{{#!wiki style="width: 100%; display:inline-block; 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top; border: none;" {{{#!wiki style="margin: -10px 0px"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공허 운명의 길.png|width=24]]}}} || {{{#!wiki style="margin: -5px -10px" 아케론}}} ||}}}}}}]] [[어벤츄린|{{{#!wiki style="width: 100%; display:inline-block; 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top; border: none;" {{{#!wiki style="margin: -10px 0px"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보존 운명의 길.png|width=24]]}}} || {{{#!wiki style="margin: -5px -10px" 어벤츄린}}} ||}}}}}}]] [[갤러거(붕괴: 스타레일)|{{{#!wiki style="width: 100%; display:inline-block; 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top; border: none;" {{{#!wiki style="margin: -10px 0px"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풍요 운명의 길.png|width=24]]}}} || {{{#!wiki style="margin: -5px -10px" 갤러거}}} ||}}}}}}]] ## 이전 버전 신규 캐릭터 끝 ▲ }}} ||<^|1> {{{#!wiki style="margin: -5px -10px" ## 기준 버전 신규 캐릭터 시작 ▼ [[로빈(붕괴: 스타레일)|{{{#!wiki style="width: 100%; display:inline-block; 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top; border: none;" {{{#!wiki style="margin: -10px 0px"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화합 운명의 길.png|width=24]]}}} || {{{#!wiki style="margin: -5px -10px" 로빈}}} ||}}}}}}]] [[부트힐|{{{#!wiki style="width: 100%; display:inline-block; 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top; border: none;" {{{#!wiki style="margin: -10px 0px"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수렵 운명의 길.png|width=24]]}}} || {{{#!wiki style="margin: -5px -10px" 부트힐}}} ||}}}}}}]] [[개척자(붕괴: 스타레일)/허수·화합|{{{#!wiki style="width: 100%; display:inline-block; 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top; border: none;" {{{#!wiki style="margin: -10px 0px"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화합 운명의 길.png|width=24]]}}} || {{{#!wiki style="margin: -5px -10px" 개척자·화합}}} ||}}}}}}]] ## 기준 버전 신규 캐릭터 끝 ▲ }}} ||<^|1> {{{#!wiki style="margin: -5px -10px" ## 다음 버전 신규 캐릭터 시작 ▼ [[반디(붕괴: 스타레일)|{{{#!wiki style="width: 100%; display:inline-block; 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top; border: none;" {{{#!wiki style="margin: -10px 0px"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파멸 운명의 길.png|width=24]]}}} || {{{#!wiki style="margin: -5px -10px" 반디}}} ||}}}}}}]] [[제이드(붕괴: 스타레일)|{{{#!wiki style="width: 100%; display:inline-block; 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top; border: none;" {{{#!wiki style="margin: -10px 0px"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지식 운명의 길.png|width=24]]}}} || {{{#!wiki style="margin: -5px -10px" 제이드}}} ||}}}}}}]] ## 다음 버전 신규 캐릭터 끝 ▲ }}} ||}}}}}} [각주][[분류:붕괴: 스타레일/플레이어블 캐릭터/물리]][[분류:운명의 길/수렵]]